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10.22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the Symbol Mark Modeling Performance in Chinese Regional History Museums  

Zeng, Long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Park, Yong-Jin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laws of the symbol mark design of representative regional history museums in China, as well as the preferences of Chinese audiences for the symbol marks of different types of Chinese regional history museums. First, the performance theme, performance type, and type performance tendency of symbol mark modeling of the regional history museums among the top 100 museums in China are analyzed. Second, design law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of performance theme types and design performance types are explored. Finally, the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to explore preference from the aspects of attention, readability, closeness, originality, aesthetics and comprehens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heme of regional history is the most in terms of themes. As for the modeling performance types, the concrete type and the visualization of Chinese character are the most. According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rformance types, the following model characteristics are formed: expressing the theme of regional history, architecture, and regional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the concrete type, expressing the concept through the abstract type, and expressing the concept and implying some building features through the geometric abstract figure. The three forms of the literal type, the concrete type expressing architecture, regional history, and regional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theme content, and the abstract type expressing concep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expressed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character, the mixture of abstract and literal type, the mixture of concrete and abstract type, and the mixture of concrete and abstract literal type in the mixture typ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Chinese audiences have higher preference for the concrete type in the symbol mark performance type and the regional historical theme in the performance content.
Keywords
Symbol Mark; Chinese Regional History Museum; Prefer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야오, 박진숙, "중국 도시브랜드 로고디자인에 나타난 한자문화요인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제18권, 제2호, pp.339-350, 2017.
2 혜군정, 한석원, "도시 브랜딩 로고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중국의 도시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77권, pp.98-109, 2021.
3 杜金金, "谈谈博物馆标志设计中的场所精神," 文化产业, 제15권, 제3호, pp.20-22, 2018.
4 P. Mollerup, Marks of excellence: The function and variety of trademarks, Phaidon., 1997.
5 https://www.sohu.com/~121124764
6 최미옥, 김기영, "디자인을 통한 박물관 브랜드 포지셔닝 사례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91-199, 2014.
7 김수빈, 주혜영, 이현주, 박가미, "병원 아이덴티티 (Hospital Identity) 심벌마크 연구: 성형외과를 중심으로," 국디자인포럼, 제55권, pp.97-106, 2017.
8 임오연, 김정신, "대학병원 HI 심벌마크의 디자인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2권, 제6호, pp.91-99, 2017.   DOI
9 홍일양, "국내 화장품 브랜드 디자인 전략과 시각적 특성의 상관관계: 캘리그래피 로고타입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49권, pp.19-28, 2015.
10 이민영, "서울시 자치구 심벌마크 아이덴티티의 형태론적 상징 유형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19-628, 2017.
11 https://aecom.com/theme-index/
12 안아원, 서울역사박물관의 <조선시대의 서울> 전시에 대한 연구: 도시역사박물관의 장소성 기반 전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3 곽정은, 역사계 박물관의 기획전시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4 김현정, 심벌마크의 조형적 시각화에 따른 적응수준 선호도 연구: 국내 은행 심벌마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5 박효진, 지자체 심볼마크(symbol mark)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동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6 홍일양, "국내 제약회사 심벌마크의 시각적 특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443-450, 2016.   DOI
17 장보윤, 남대문, 남산 주변의 정체성 찾기 위한 건축적 작업: 경사지를 활용한 지역사 박물관,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이태림, 최석중, "지역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박물관 디자인 특성 및 평가 요소,"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1호, pp.545-557, 2014.
19 권순걸, "박물관 마케팅 강화를 위한 문화상품디자인연구: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산학협동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23권, 제1호, pp.13-23, 2020.
20 정다은, 박물관 마케팅 믹스와 브랜드 자산 및 관람객 행동 의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1 신유진, 역사박물관의 스토리텔링 전시와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연계성 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 송종은, 도시역사박물관의 전시 및 운영특성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공립 역사계박물관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曹高雅, 新媒体环境下城市博物馆品牌塑造与传播探究, 南昌大学, 硕士论文, 2020.
24 https://weibo.com/muspress
25 왕샤오리, 김성계, "비언어적 심벌마크의 유형에 따른 선호도에 관한 연구: 중국 인터넷 교육 업체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59-72, 2016.   DOI
26 김지원, 지역박물관의 교육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홍동의, 서울시 소속 역사계박물관의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8 김원길, "박물관 전시디자인 연출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16권, 제4호, pp.395-407, 2021.   DOI
29 왕샤오리, 비언어적 심벌마크의 유형에 따른 선호도 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0 현동희, 임승욱, "병원 심볼 마크의 표현 경향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제2권, 제1호, pp.75-83, 2001.
31 김규영, 심벌마크 유형에 관한 분석연구,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2 장남서, 브랜드 마크 유형과 디자인 전형성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3 박선아, 아이콘 디자인의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4 김시나, 김수정, "그래픽 심볼의 정보 유형과 시각 표현에 관한 연구: 공공시설의 그래픽 심볼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5권, 제5호, pp.135-146, 2014.
35 권오경, 안병학, "시지각 패턴으로 바라본 책 표지 디자인의 추상 그래픽," 기초조형학연구, 제22권, 제6호, pp.61-73,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