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622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Genders and Ages  

Baeg, Hyunhye (청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Hwang, Hyewon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spousal support, and organization's family-friendly work culture on work-life balance in social workers. For this purpose, married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Chungcheongbuk-do were surveyed, and 331 collected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resilience and optimism in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spousal support, and expectations on working hours in organizations' family-friendly work cult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work-life balanc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enhance awareness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elf-care program,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work-life balance, and implementation of work-life balancing system, are needed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Keywords
Social Workers; Work-Life Balance;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Spousal Support; Organization's Family-friendly Work Cult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 R. Frone, "Work-family balance, Inj, C. Quick and I, E, tetrick(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2 김형진, 심덕섭, "심리적 자본이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 및 사회적자본 개발 노력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 제2011권, 제11호, pp.13-26, 2011.
3 김주엽, "일과 가정의 균형에 관한 문헌적 검토," 인적자원개발연구, 제8월, 제1호, pp.83-117, 2006.
4 박은혜, 가족친화적 직장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5 손영미, 박정열, 김정운, "중앙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조직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검증 연구," 여가학연구, 제9권, pp.101-131, 2011.   DOI
6 전병석, 탁진국, "일중독성향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2호, pp.295-317, 2009.   DOI
7 M. E. P. Seligman, Learned optism: New York: Pocket Book, 1998.
8 황보은, 김완일, "군 초급간부의 긍정심리자본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일-삶 균형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8권, 제8호, pp.257-278, 2020.
9 정영금,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균형감과 자원용이도/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pp.107-118, 2006.
10 T, D. Allen,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 Journal of Voc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2, pp.278-308, 2001.
11 문은하, 조정은, 장유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근무환경은 가족친화적인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34-246, 2014.   DOI
12 손영미,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조직, 지역사회 변인의 영향력에 대한 국가비교연구: 한국, 일본, 영국 기혼 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9권, 제2호, pp.51-74, 2015.
13 하경희, 직무환경 요인이 사회복지사의 일-가정 균형에 미치는 영향: 직무요구, 참여적 의사결정, 상사의 지지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4 M. Valcour, "Work-based resources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hour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6, pp.1512-1523, 2007.   DOI
15 J. Pfeffer, "Management as symbolic action: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organizational paradigm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3, pp.1-51, 1981.
16 김경재, 사회자본 및 지적자본과 조직혁신의 관계에 있어서 심리자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7 박정열, 신규리, "기혼 직장여성의 사회적지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제11권, pp.69-81, 2016.
18 김의종, 허창구,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가정,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3권, 제3호, pp.267-296, 2020.
19 C, A. Thompson and K, S. Lyness,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 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No,3, pp.392-415, 1998.   DOI
20 D. H. Olson, D. H. Sprenkle, and C. S. Russel, "Circumplex model of narital and family system III Cohesion and adaptability demension, Family type clinical application," Family Process, Vol.18, pp.3-28, 1983.   DOI
21 정미숙, 김현리, 이윤정, "한국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14-123, 2017.   DOI
22 J. H. Greenhaus and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a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3, pp.72-92, 2006.   DOI
23 F. Luthans, K. W. Luthans, and B. C. Lutha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oing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 Vol.47, pp.45-54, 2004.
24 김정운,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제5권, pp.53-69, 2008.   DOI
25 박예송, 박지혜, "일-생활균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HRD연구, 제15권, 제1호, pp.1-29, 2013.
26 T. A. Revenson, "Social support and maritalcoping with chronic illnes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Vol.16, pp.122-130, 1994.
27 취창성, 조직구성원의 심리자본이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8 N. P. Rothbard, "Enriching or depleting? The dynamics of engagement in work and family rol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6, No.4, pp.655-684, 2001.   DOI
29 김기재, 사회복지조직 내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손영미, 박정열,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9권, pp.161-191, 2014.
31 D. E. Guest,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Vol.41, No.2, pp.255-279, 2002.   DOI
32 김요섭, 어영훈, "기혼여성 관리자의 일-삶 균형 변화: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07-125, 2020.   DOI
33 장영은, 박정윤, 이승미, 권보라,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pp.63-72, 2011.
34 이병철, 이채익, "지방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3호, pp.67-85, 2009.
35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일.가족지향성, 사회적 지지가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제14권, pp.41-83, 2013.
36 F. Luthans,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3, No.6, pp.695-706, 2002.   DOI
37 김현근, 직무 및 조직특성요인과 심리적 자본이 일가정 균형 만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