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580

The effect of Self-sufficiency Project on Participants' Self-reliance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Self-sufficiency Participa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Park, Ju Young (울산광역자활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self-reliance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elf-sufficiency business program of the Ulsan Metropolitan Regional Self-Sufficiency Center. A self-fill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on self-sufficiency participants in five Borough and Country in Ulsan for 4 weeks from September 1 to 30, 2020, and final 233 copies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as found to be good at 71.7%, for questions on the degree of support to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Second, in response to a system or service that would like to be supported or needed in the future, support for living expenses and support for health and medical expenses appeared and as a result of gender differe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pport for children's education expenses and support for housing funds. Among the factors of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self-reliance(self-control,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work), the factor of self-control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llowed by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work. Overall satisfaction with work was the highest among 9 satisfaction items such as salary and working hours.
Keywords
Self-sufficiency; Self-reliance; Confidence; Self-control;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송지현, 정소희,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7권, pp.31-57, 2014.
2 조준용, "자활제도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13-324, 2013.   DOI
3 김앙래,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강화가 탈수급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지역자활센터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 강정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민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191, 1977.   DOI
6 이현주, 이태진, 김보영, 진재문, 전세나, 유정예, 이은혜, 차상위계층 실태분석및 정책제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5.
7 천보경,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무기력 감소 및 자립의지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대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8 김미곤, "예산없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과 부실화의 우려," 복지동향, 제116권, pp.33-37, 2008.
9 한상진, 김용식, "사회적 배제 과정과 자활의 측면들: 울산 동구 빈곤층의 생애과정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139-171, 2007.   DOI
10 박숙희, 조인주,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 만족도 관련 요인,"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2호, pp.213-232, 2014.
11 이정만, 자활사업 참여수급자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P. P. Heppner and C. H. Petersen,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9, No.1, p.66, 1982.   DOI
13 권용신, 자활서비스 질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4 정혜숙,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자활, 복지의존, 일의 의미,"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pp.251-277, 2015.   DOI
15 노대명, "자활사업에 대한 평가와 정책제안," 보건복지포럼, 제10권, pp.47-59, 2001.
16 정원오, 김진구, "자활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8권, pp.35-67, 2005.
17 장용언, 정은주,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사회적배제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pp.1049-1058, 2019.
18 진재문, "시.군.구 지역의 사회복지예산 불평등에 관한 연구: 2000-2010년의 1인당 사회복지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1호, pp.205-227, 2012.
19 K. I. Hoe, "Poverty Dynamics in Korea : Poverty Duration and its Determinants,"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Vol.57, No.2, pp.351-374, 2005.
20 백학영, 조성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수급 지위와 노동시장 지위 변동,"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143-178, 2012.
21 엄태영, 임진섭, "자활사업 참여자의 조직헌신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제20권, 제2호, pp.9-34, 2013.   DOI
22 김지혜, 조성희,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478-490, 2020.   DOI
23 P. Y. Hong, S. Choi, and W. Key,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A bottom-up theory of change in workforce development," Social Work Research, Vol.42, No.1, pp.22-32, 2018.   DOI
24 조원탁, 이형하, 김형수, 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2004.
25 엄태영, 주은수,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영향요인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pp.169-187, 2011.
26 장용언, "서울지역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응집력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3호, pp.127-156, 2015.
27 류만희,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의 만족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2권, pp.51-72, 2007.
28 박경숙, 박능후, 저소득층 여성 가장 생활실태조사 및 자활프로그램 개발, 경기도 여성정책과, 2001.
29 http://www.jahwal.or.kr/
30 최한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자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1 김은자,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 인식수준과 정서적 자활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제6권, 제2호, pp.321-340, 2016.
32 최종혁, 유영주, 박동진. "사회서비스이용과정에서 스티그마 인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제44권, 제2호, pp.231-264, 2013.
33 최상미, "자활행동(behavioral self sufficiency BSS) 척도 개발과 자활 과정에 대한 이해:정서적 자활이론의 확장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21권, 제3호, pp.75-100, 20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