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391

A Study of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Based on Elements of Education Publicness-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urriculum-  

Kim, Hyo-Jin (울산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studied to analyze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based on elements of education publicness and to explore policy tasks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Qualitative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and reports from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ublicity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elements of publi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has been promot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public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Nuri course. Quantitative expansion of public nature has been achieved, but now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the qualitative reinforcement of public nature and to supplement the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a re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eneral.
Keywords
Publicness; Education Publicness; Public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Policiy; Education Publicness Reinforcement Poli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나병현,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한국교육, 제29권, 제2호, pp.549-572, 2002.
2 나병현, "교육개혁의 신자유주의적 성격 :오해와 이해," 아시아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p.293-310, 2003.
3 백일우, 정한나, "국내 사교육 문헌 분석,"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4호, pp.1-39, 2013.
4 장명림,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 체계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0.
5 권민경, 김문정,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2.
6 김은영, "유아교육 선진화 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포럼, 제34권, pp.14-23, 2019.
7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75-103, 2020.
8 백선희,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9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006.
10 김병주, 김성기, "사립유치원의 운영현황과 공공성 증진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2호, pp.349-370, 2006.
11 우명숙, 박경호, 전홍주, "사립유치원 재정운영 현황 분석을 통한 재무 회계 규칙 제정기준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1호, pp.5-30, 2013.
12 김성미, 김은혜, "사회서비스 공공성 개념의 재구조화 쟁점과 과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628-637, 2020.   DOI
13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 제13권, 제1호, pp.3-62, 2012.   DOI
14 임의영, "공공성 연구의 풍경과 전망," 정부학연구, 제24권, 제3호, pp.1-42, 2018.
15 엄문영, 최예슬, "공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유아교육 체제 분석교원교육, 제37권, 제2호, pp.389-415, 2021.
16 조한상, "공공성과 공공복리," 영남법학, 제26권, pp.71-97, 2008.
17 주현정, 김용득, "공공성 담론으로 보는 돌봄서비스,"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20권, 제2호, pp.233-262, 2008.   DOI
18 양성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실현에 관한 연구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에서의 공공 가치 실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9 이진권, 대학의 공공성 담론 및 효율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20 소영진,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연구, 제9권, 제1호, pp.5-24, 2003.
21 이병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평가," 한국교육, 제29권, 제2호, pp.33-55, 2002.
22 박청미,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의 변화," 교육사상연구, 제21권, 제3호, pp.159-180, 2007.
23 노석준, 문승태, 장선철, 교육연구방법 및 통계, 동문사, 2008.
24 손지아, "사회복지에서 공공성개념과 기준에 대한 재검토," 비판사회정책, 제62권, pp.131-155, 2019.
25 신현석, 이주영, "교육공공성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교육정치학연구, 제27권, 제3호, pp.129-163, 2020.
26 양미선, 정주영, 임지희, 어린이집 및 유치원 운영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27 이소정, 양지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39권, 제2호, pp.565-592, 2019.1.   DOI
28 신차균, "학교교육의 공공성, 공교육 그리고 학생의 이익 고려," 한국교육, 제26권, 제2호, pp.67-93, 2006.
29 고재권, "행정에서의 공공성에 대한 재고 -공공서비스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1권, 제2호, pp.161-181, 2014.
30 이대균, "유아교육 및 보육의 공공성과 책무성 확립 방안," 인문논총, 제22권, pp.111-130, 2005.
31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32 김용득, "공공성 담론과 사회서비스 원리의 대화 -지역사회복지기관 리포지셔닝을 위하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30, 2018.
33 이종태, "'교육의 공공성' 개념의 재검토 -공공성 논쟁의 분석과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논의-," 한국교육, 제33권, 제3호, pp.3-29, 2006.
34 이진권, "대학에 대한 정부 재정지원의 논리 탐색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나타난 고등교육의 공공성 담론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31-57, 2020.
35 최윤경, 염혜경, 해외 주요국의 유치원 재정지원 관리 체계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7.
36 표이정, 고진호, "민관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유아교육의 공공성 제고 방안," 인문사회 21, 제21권, 제3호, pp.1005-1018, 2021.
37 송기창, 김병주, 김용남, 나민주, 남수경, 엄문영, 오범호, 우명숙, 윤홍주, 이선호, 2017 교육재정백서, 한국교육개발원, 2018.
38 정성수, 이현수,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유치원 3법' 정책형성과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497-521, 2021.
39 남수경, 박주병, 강병수, "고등교육의 공공성과 국립대학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 인식," 담론201, 제21권, 제3호, pp.87-127, 2018.
40 류민정,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평가제도 개선방안: 유보통합의 관점에서," 입법과 정책, 제6권, 제1호, pp.219-252, 2014.
41 최일선,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4권, 제2호, pp.91-111, 2016.
42 최은영, 김정숙, "학부모의 유치원 정보공시 사이트 이용 실태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3호, pp.291-312, 2014.   DOI
43 김은영, 최은영, "유치원 운영위원회 실태 및 개선 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389-411, 2012.
4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2019.
45 임의영,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의 조건," 정부학연구, 제9권, 제1호, pp.23-50, 2003.
46 김철, "공공성 담론의 재정립 필요성: 이명박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안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18, 2008.
47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8권, 제2호, pp.1-2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