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234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ension System's Income Security and Job Commitment  

Kim, Soo-Jung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Choi, Yun-Jin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Lee, Gwang-Il ((주)씨앤아이테크)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on workers' retirement income security and job commi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s retirement income security and job commitment. Employees of domestic K-company, which have been implementing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since 2011, were surveyed, and 403 copies of the fina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ub-factors of the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e guarantee of the retirement benefits right and the income replacement rat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Second, as sub-factors of the retirement income security, the income replacement rate and customized retirement desig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Third,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replacement rate and job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is mediated by diversity and the level of benefits, sub-factors of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tirement pension system enhances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and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and is also important for corporate management.
Keywords
Retirement Pension System; Retirement Income Security; Job Commitment;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주연, 퇴직연금 가입유형별 이해도와 만족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M. Riipine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volvement and well-being,"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31, No.1, pp.81-89, 1997.
3 김호균, 김영식, 이봉주, 성주호, "기업의 조세부담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적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리스크관리연구, 제29권, 제4호, pp.79-105, 2018.   DOI
4 R. N.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
5 김남순, 중년층 근로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 개인적 사회 경제적 특성과 정부정책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6 통계청, 2020 고령자 통계, 2021.
7 보건복지부, 보도설명자료, 2020.05.11.
8 통계청, 2019년 퇴직연금통계 결과, 2020.
9 이상우, 주요국 혼합형 퇴직연금제도 현황과 시사점, 보험연구원, 2018.
10 김명숙,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몰입과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나사렛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1 김환조, 근로자의 퇴직연금제도 유형의 선호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http://www.moel.go.kr/policy/policyinfo/lobar/list12.do
13 권승원, 복지국가유형에 따른 노후소득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https://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678022
15 J. M. Diefendorff, D. J. Brown, A. M. Kamin, and R. G. Lord, "Examining the Roles of Job Involvement and Work Centrality in Predi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3, No.1, pp.93-108, 2002.   DOI
16 R. Dubin, "Industrial Worker's Worlds: a Study of the Central Life Intersts of Industrial Workers," Social Problems, Vol.3, pp.131-142, 1975.   DOI
17 김태균, 이한덕, "퇴직연금제도 도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629-1646, 2010.
18 박길태, "한국 기업복지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경영사연구, 제30권, 제2호, pp.99-117, 2015.
19 A. E. Barber, R. B. Dunham, and R. A. Formisano, "The impact of flexible benefits on employee satisfaction: A field study," Personnel Psychology, Vol.45, No.1, pp.55-75, 1992.   DOI
20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2171
21 권기만, 기업복지와 직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체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최수찬, 최보라, 임은정, "선택적 복지제도의 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4권, pp.209-232, 2010.
23 이정수, 군조직 구성원의 욕구속성과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몰입 조직념도 직무성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4 김상우, 공기업의 퇴직연금제도 운영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전예섬,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6 http://www.kgyonhapnews.net/38974
27 김상호, 김원섭, 원종욱, 우해봉, 정해식, 백혜연, 장인수, 손현섭,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8 주헌, 기업과 종업원 속성에 따른 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유형선택에 대한 실증적 분석,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9 신승희, 손현섭, 이항석,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5권, 제6호, pp.1315-1331, 2014.
30 윤미경, 중소기업의 선택적 복지제도가 기업복지만족도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복지제도의 특성과 자기결정요소의 매개효과,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1 권영국,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특1급 호텔 식음료 부서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12-231, 2015.
32 오창열, 근로자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연기군 중소제조업체 중심, 침례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3 김향겸, 민간조사업 도입에 관한 경찰공무원의 인식 조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4 노윤호, 한국 퇴직연금제도의 유효성 증대 방안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5 D. J. Weiss, R. V. Dawis, G. W. England, and H. L. Lloyd,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sota Stud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1967.
36 유세환, 중소기업의 선택적 복지제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7 H. G. Heneman and D. Schwab, "Pay Satisfaction: Its Multidimensional Nature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20, No.1, pp.129-141, 1985.   DOI
38 신현규, 자기결정성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적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에 관한 연구: 생태관광의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