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8.236

Exploring Operational Dire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Yoon, Ok-Han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olve the problem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its operation plans for both career guidance and the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udy's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search; it examined prior research, public hearings, press releas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plans to promo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fa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organized around general subjects. Second, students need to be able to study subjects related to their desired fields in depth. Thir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basis for organizing the curriculum. Meanwhile, the following step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career guidance. First, a career curriculum committee for career learning and coaching should be formed and operationalized. Second, the teachers' work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Third, career aspira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should be researched. Fourth, career and academic design guidance coaching books should be provided. Fifth, it is the role of the career and academic design guidance teacher. Sixth,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responsibility for subject selection and preparation for re-taking program.
Keywords
High School Credit System; Career Guidance; 2015 Revised Curriculum;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Ope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윤혜진, 조정원,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 변천과 양상 분석: 제6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원교육, 제37권, 제1호, pp.245-264, 2021.
2 안정희, 배성아, "국가교육과정 개정과 대학입학전형 제도 변화에 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제31권, 제3호, pp.95-120, 2013.
3 http://ncic.go.kr/mobile.kri.org4 2021. 12.05
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고등학교," 교육부 보도자료, 2015.
5 설규주, "민주시민교육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선 방향," 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169-197, 2020.
6 손찬희, 정광희, 박경호,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 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017.
7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안), 교육부 보도자료, 2017. 11. 27. 2017.
8 홍후조, "고교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699-724, 2018.
9 안홍선, "중등교원의 양성 및 임용 실태와 고교학점제 도입의 의의," 교육비평, 제40권, p.123, 2017.
10 이상은, 장덕호,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4호, pp.109-136, 2019.
11 김정빈,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기초 논의," 교육비평, 제40권, pp.11-36, 2017.
12 이현, "고교학점제에 대한 비판적고찰과 대안의 모색," 교육비평, 제40권, pp.44-75, 2017.
13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추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제41권, pp.77-144, 2018.
14 안상진, "고교학점제도입과 고교평가 혁신," 교육비평, 제40권, pp.76-98, 2017.
15 우원재, "고교학점제 성공적 실행 및 정착 에 대한 선결조건, 외적환경 및 운영방법의 영향력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 연구, 제19권, 제10호, pp.311-330, 2019.
16 송영준,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를 어떻게 바꿀까?," 교육비평, 제40권, pp.115-119, 2017.
17 이광우, 김진숙, 이근호,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8 허주, 김갑성, 최수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수급 관련쟁점: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8호, pp.651-672, 2020.
19 교육부, 실시간, 양방향 화상수업으로 일반고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보도자료(2018, 4. 17).
20 이광우,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고교 학점제 도입 추진 방향과 과제, 2018년 제1차 고교학점제 정책포럼자료집, pp.1-45, 2018.
21 서봉언,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교의변화," 교육사회 연구, 제30권, 제3호, pp.55-79, 2020.
22 박균열, 엄준용, "고교학점제도입의 쟁점과 과제 탐색," 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pp.1-29, 2018.
23 김지혜,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국어교육학연구, 제55권, 제3호, pp.99-130, 2020.   DOI
2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고교학점제의 이해 및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공개강의, 2019.
25 주주자, 김위정, 이현미, 고교 무학년 학점제 구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26 권오현, 박은지, 안성환, 진로진학과 연계한 고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보고서, 2017.
27 박균열, 주영효, 이인수,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 제32권, 제4호, pp.87-113, 2018.
28 박혜진, 박수진, 이윤정, 고교학점제운영 활성화를 위한 학교간 공동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정책연구2018-13, 경기도교육연구, 2018.
29 정광희, 김주아, 손찬희,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도입을 위한 진로 수요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35권, 제4호, pp.201-22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