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7.291

Risk Issue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Groups -Focusing on Cases of Children and Pregnant Women  

Kim, Shin Hye (충북대학교 위기관리학협동과정)
Kwon, Seol A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people in disaster vulnerable groups is rapidly increasing such as the elderly, the disabled, foreigners, and childre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vulnerable to disasters are that they live in residence types that are exposed to disasters because they are impoverished and if they are exposed to disasters, recovery is a slow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w risk issues by performing risk issue analysis on the targets of disaster vulnerable group and provide bas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ie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entered on the cases of children and pregnant women out of the disaster vulnerable groups and focused on the issue data of social media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10~'19) and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issue showed relevance in the occurrence of specific cases. Second, the awareness about the types, targets, and management method of crisis management was analyzed. Third,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entiment words that considered the solution measures of risk issue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word that triggered negative emotion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for the base data to be used for the government and also for the local government to build an effective crisis management system of the rapidly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sentiment analysis performed on the people of the nation as well as public awareness.
Keywords
Disaster Vulnerable Groups; Disaster Vulnerable People; Children; Pregnant Women; Crisis Manag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Wisner, Ben, Piers Blaikie, Terry Cannon, and Ian Davis,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2nd edition, New York, NY: Routledge, 2004.
2 J. R. Finkel, T. Grenager, and C. Manning, Incorporating non-Local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s by Gibbs Sampling. Proceedings of the 43rd Annual Meeting on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ACL '05 (pp. 363-370), Morristown, NJ: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05.
3 Z. Wang and X. Ye, "Social Media Analytics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32, No.1, pp.49-72, 2018.   DOI
4 최선화, 배병걸, "소셜 빅데이터로부터의 재난이슈 탐지 모델," 정보과학회논문지, Vol.20, No.5, pp.286-290, 2014.
5 장한나, "재난약자의 안전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국정관리연구, Vol.11, No.2, pp.1-24, 2016.
6 녹색경제신문, 박완수, "서울시, 어린이도서관에서 소방서까지 137개 공공건축물 지진에 무방비," 2019. 09. 29일자.
7 주간동아, "세월호 참사가 남긴 교훈] 대형 재난 반복...바뀌지 않았다," 2014. 05. 09일자.
8 KBS, "북한 400여명 실종 "홍수로 138명 사망," 2019. 09. 15일자.
9 위키트리,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정책, 어떤 게 있나?," 2016. 07. 07일자.
10 메디털투데이, "재난안전 취약계층에 임산부 추가," 2017. 05. 23일자.
11 연합뉴스, "재난안전 취약계층에 '임산부'도 포함한다," 2017. 05. 25일자.
12 양기근, 서민경,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과 재난복원력 연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 국가위기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pp.63-74, 2018.
13 홍주현,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 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pp.138-147, 2018.   DOI
14 최진봉, "방송 뉴스의 재난보도 콘텐츠에 대한 분석: 지상파 3사와 JTBC의 세월호 참사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pp.539-550, 2016.
15 가스신문, "재난 발생시 사고예방은 이렇게," 2019. 09. 23일자.
16 최경식, 재난안전약자의 보호 및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7 류현숙, 안전취약계층의 안전권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8.
18 송효진, "젠더 관점에서 본 재난안전 관련 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및 재해구호법을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 Vol.7, No.2, pp.147-170, 2015.
19 광주매일신문, "'재난 트라우마' 제로 환경 만든다," 2014. 05. 12일자.
20 미디어오늘, "재난.재해보도 가이드라인' 제정보다 '강제력'이 중요하다," 2014. 04. 23일자.
21 경기일보, "킨텍스서 국내 최대 규모 안전박람회 열려," 2015. 11. 19일자.
22 국토일보. "'제1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26일 개막," 2015. 11. 24일자.
23 이주호,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사회복지시설 재난안전관리 지원정책 방안," 위기관리연구논총, Vol.2, No.2, pp.47-65, 2018.
24 최희천, "재난 재건의 이슈들을 통해 본 한국과 중국 사회의 맥락적 차이 분석: 쓰촨 지진과 태풍 루사의 사례 비교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3, No.11, pp.195-218, 2017.
25 최경식, 재난 취약계층 안전정책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과 정책적 대안제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약자 유형별 생활안전 컨텐츠 발굴, 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27 아주경제, "'재난.재해보도 가이드라인' 제정보다 '강제력'이 중요하다," 2015. 11. 19일자.
28 T. G. Van der Meer and J. W. Verhoeven, "Emotional Crisis Communication," Public Relations Review, Vol.40, No.3, pp.526-536, 2014.   DOI
29 김도형, 라정일, 변성수, 이재은, 대규모 재난 시 재난약자 지원방안, 희망브리지, 2017.
30 서울신문, "북한 400여명 실종 "홍수로 138명 사망...임산부 11명 유산," 2019. 09. 15일자.
31 메디칼업저버, "지진으로 인한 불안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했을 때," 2016. 09. 30일자.
32 이투데이, "사회적 약자 지원 시설 확대...공공질서.안전 예산 20.9조원," 2019. 08. 29일자.
33 채널A, "70쪽 vs 9쪽...너무 다른 지진 매뉴얼," 2019. 09. 14일자.
34 연합뉴스, "北 홍수로 현재까지 138명 사망, 400여명 실종," 2019. 09. 15일자.
35 한국일보, "임산부 배려 "어렵지 않아요," 2017. 05. 23일자.
36 J. R. Ragini, P. R. Anand, and V. Bhaskar, "Big Data Analytics for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through Sentimen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42, pp.13-24, 2018.   DOI
37 Y. Lu and Y. H. C. Huang, "Getting Emotional: An Emotion-cognition Dual-factor Model of Crisis Communication," Public Relations Review, Vol.44, No.1, pp.98-107, 2018.   DOI
38 신동희, 김용문,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pp.377-392, 2015.   DOI
39 김윤희, 류현숙, "국내 거주 외국인의 재난안전 취약성에 관한 연구: 정보요구 사항에 대한 심층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1, No.3, pp.151-176, 2015.
40 뉴시스, "'지진 트라우마' 치료 받으세요...울산북구 이동상담," 2016. 09. 22일자.
41 Bankoff, Gregory, "Rendering the World Unsafe: "Vulnerability" as Western Discourse," Disasters, Vol.25, No.1, pp.19-35, 2001.   DOI
42 성기환, 최일문, "대형 재난 현장에서의 사회적 약자 보호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Vol.7, No.1, pp.1-22, 2011.
43 연합뉴스, 전국재해구호협회, "장애어린이 대상 재난안전 체험 교육," 2019. 09. 19일자.
44 R. E. Morss, C. L. Cuite, J. L. Demuth, W. K. Hallman, and R. L. Shwom, "Is Storm Surge Scary? The Influence of Hazard, Impact, and Fear-based Messag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n Responses to Hurricane Risks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Vol.30(September), pp.44-58, 2018.   DOI
45 김명구, 양기근, 정기성, "자연재난에 의한 재난취약 계층의 재난안전복지 개선 방향: 전라북도 임실군의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0, No.9, pp.113-135, 2014.
46 M. Batouli and A. Mostafavi, "Multiagent Simulation for Complex Adaptive Modeling of Road Infrastructure Resilience to Sea-Level rise,"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Vol.33, No.5, pp.393-410, 2018.   DOI
47 Y. Guo and Y. Li, "Getting Ready for Mega Disasters : The Role of Past Experience in Changing Disaster Consciousness,"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5, No.4, pp.492-505, 2016.   DOI
48 최희천. 재난 이슈 유형에 따른 효과적 재난 거버넌스 모형의 도출: 재난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9 김홍기, 빅데이터환경에서 이슈분석을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프레임워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0 A. J. Faas, "Disaster Vulnerability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nnals of Anthropological Practice, Vol.40, No.1, pp.14-27, 2016.   DOI
51 S. H. Othman, G. Beydoun, and V. Sugumar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saster Management Metamodel(DMM),"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50, No.2, pp.235-271, 2014.   DOI
52 연합뉴스, "[2020예산 요약] ④ 국방.외교.통일.공공질서.안전.행정," 2019. 08. 29일자.
53 뉴스1, "[르포]'지진'경주, 버스소음에도 '화들짝'...학교선 특별수업," 2019. 09. 19일자.
54 헤럴드경제, "'지진 트라우마' 한국, 심리치료 컨트롤 타워는 없다," 2016. 09. 22일자.
55 NIST, Critical Assessment of Lifeline System Performance: Understanding Societal needs in Disaster Recovery(NIST GCR 16-917-39), Prepared for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 Engineering Laboratory by Applied Technology Council,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