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7.281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nversion of Fire Services to State Affairs  

Lee, Jae-Hak (건국대학교 법무학과)
Jang, Seong-Ho (건국대학교 국가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scope of fire services has been expanded from local fire prevention to rescue and first aid services, and the fire services system has been converted from an autonomous fire services system to a wide-area fire services system, and the status of fire officers has been unified as a national public servant. However, the underlying problem remains unsolved. One is a problem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fire services to state affairs, and the other is that Fire officers converted to national public servants are in charge of fire services which are evaluated as local autonomous affairs. The controversy over the nature of fire service stems from uncertainty and redundancy in the coordination of office function and distribution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nd incomplete legislation that fundamentally fails to achieve systematic unity of office work and status. The fire service has a national responsibility as an affair that includes the existence of the state and the welfare and order of the people along with the police affairs. That is, affair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people that protect the lives, bodies and properties of the people should be understood as State affairs. 「The LOCAL AUTONOMY ACT」 stipulates that local governments cannot perform State affairs such as affairs necessary for the existence of the nation, affairs requiring performance in a uniform manner throughout the nation, and affairs of nationwide or similar scale unless otherwise provided by the law. Fire Service should be regarded as such affairs. Considering that the rights to the safety and life of the people and the duty to protect the people are the duty of the n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the reason for the change fire officers to the national public servants was not basically just a matter of treatment and finance.
Keywords
Fire Service; State Affair; Systematic Unity; National Responsibility; Safety and Life of the Peop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국지방자치연구원, 소방 국가직화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용역-지방분권과 소방 국가직화의 상관관계 및 논점 중심으로, 소방청, 2017.
2 서울행정학회, 소방사무의 국가적 책무 이행을 위한 소방업무종합계획 연구, 소방청, 2012.
3 서울행정학회, 소방정책개발 및 소방교육 체계구축을 위한 소방학 정립 연구, 소방청, 2009.
4 이재은, 권건주, 김겸훈, 김은정, 노섭, 류상일, 박광길, 박덕근, 박재규, 성기환, 손영수, 심기오, 심재현, 양기근, 오재호, 이은애, 이호동, 장태곤, 정창화, 조종묵, 조호대, 최진종, 최호택, 한동우, 황은하, 재난관리론, 대영문화사, 2006.
5 한국지방재정학회, 안정적인 소방재원 확충 방안, 행정안전부, 2012.
6 한국지방자치연구원, 소방 국가직화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용역-지방분권과 소방 국가직화의 상관관계 및 논점 중심으로, 소방청, 2017.
7 손형섭, "국민 안전보장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연구," 공법학연구, 제15권, 제4호, pp.3-34, 2014.
8 한국지방자치연구원, 소방 국가직화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용역-지방분권과 소방 국가직화의 상관관계 및 논점 중심으로, 소방청, 2017.
9 http://fpn119.co.kr/114303
10 http://m.fpn119.co.kr/104494
11 소방청, 2019 소방청통계연보, 2019.
12 헌재 2004. 11. 25. 2002헌바66.
13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7.
14 전광석, "국민의 안전권과 안전보호의무," 법과인권교육연구, 제8권, 제3호, pp.143-157, 2015.
15 김대환, "국가의 국민안전보장의무," 공법학연구, 제15권, 제3호, pp.3-41, 2014.
16 헌재 1995. 7. 21. 94헌바136.
17 이부하, "생명.신체의 안전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과 정책, 제25집, 제2호, pp.119-142, 2019.   DOI
18 한국지방자치학회, 효율적 소방력 운영방안, 소방청 2010.
19 윤수정, "국민 안전권 보장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_ 안전권의 공법적 논의구조를 중심으로_," 공법학연구, 제20권, 제3호, pp.3-27, 2019.
20 http://m.fpn119.co.kr/104494
21 서울행정학회, 소방사무의 국가적 책무이행을 위한 소방업무종합계획 연구, 소방청, 2012.
22 https://www.sedaily.com/NewsVIew/1VO99AA44V
23 김홍환, 소방행정의 변화에 따른 소방재정구조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8.
24 법제처, 법령입안심사기준, 1996.
25 이한태, 전우석, "한국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16권, 제4호, pp.121-145, 2015.
26 한국지방자치학회, 효율적 소방력 운영방안, 소방청, 2010.
27 헌재 1996. 2. 29. 94헌마213.
28 김재호, 임재만, "국민의 안전권 보장수단으로서의 소방사무 -소방공무원의 국가직전환과 소방사무의 국가사무화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제47집, 제4호, pp.269-297, 2019.
29 서울행정학회, 소방사무의 국가적 책무이행을 위한 소방업무종합계획 연구, 소방청, 2012.
30 박영도, 입법기술의 이론과 실제, 한국법제연구원, 1997.
31 서울행정학회, 소방사무의 국가적 책무 이행을 위한 소방업무 종합계획 연구, 소방방재청, 2012.
32 노동영, "자치경찰제 논의와 법정책적 소고," 법학연구, 제28권, 제2호, pp425-443, 2017.
33 김재호, 임재만, "국민의 안전권 보장수단으로서의 소방사무 -소방공무원의 국가직전환과 소방사무의 국가사무화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제47집, 제4호, pp.269-297, 2019.
34 국회사무처 법제실,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사유와 입법상 유의사항, 2000.
35 김재호, 임재만, "국민의 안전권 보장수단으로서의 소방사무 -소방공무원의 국가직전환과 소방사무의 국가사무화에 관한 소고-," 공법연구, 제47집, 제4호, pp.269-297, 2019.
36 한국지방자치연구원, 소방 국가직화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용역-지방분권과 소방 국가직화의 상관관계 및 논점 중심으로, 소방청, 2017.
37 한국지방자치학회, 국가.지방간 소방사무의 합리적 분담 및 재원확보방안, 경기도, 2012.
3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조직 인력 운영 선진화 방안 연구, 국민안전처,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