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6.744

University Professor's Experience and Demands of Online Teaching Method Content  

Min, Hyeree (서울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education for professo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content and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online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trategies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and needs of professors who have taken online teaching content. A university surveyed 83 professors who took the seve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between 2015 and 2018, and took them from 2017 to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professors often took online teaching content for self-development purpose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content, and cited the low psychological burden and resistance of education through personal learning, and the possibility of repeated learning online.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in content composition, the area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easy-to-understand delivery,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terest and motiv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ppropriate difficulty, reflection of current trends, appropriate presentation order and ethical composition. The importance level recognized by professors in the area was higher than execution level. In conclusion, opinions for improving online teaching content were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 the area of content composition, interest and motivation, and reflection of the latest trends. In the area of ease of use, there was stable playback, relay function, and location-independent.
Keywords
Online Teaching Method Content; Content Taking Experience; Ease of Use of Content; Importance Level and Execution Lev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S. Carrell and J. West, "Does Professor Quality Matter? Evidence from Random Assignment of Students to Professo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118, No.3, pp.409-432, 2010.   DOI
2 김민성, "대학생이 인식하는 '배려하는 교수자'의 특성 및 유형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61-86, 2011.
3 L. Shulman, "Those who understand: Knolw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Vol.15, No.2, pp.4-14, 1986.   DOI
4 M. Kunter, U. Klusmann, J. Baumert, D Richter, T. Voss, and A. Hachfeld,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Effects on instructional quality and student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5, No.3, pp.805-820, 2013.   DOI
5 D. E. Tigelaar, D. H. Dolmans, I. H. Wolfhagen, and C. P. Van der Vleut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48, No.2, pp.253-268, 2004.   DOI
6 정인호, 이은진,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HRD연구, 제7권, 제1호, pp.1-22, 2012.
7 E. J. Burge,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in computer conferencing: a qualitative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1993.
8 A. Paivio, Mental representation: A dual coding approac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9 Rah, Instructional contents delivery through SPAT format in mobile environment: Introduction to gglearn system, Global Knowledge Alliance International Forum. Retrieved from http://www.slidechare.net. 2015.
10 박종선, 이영민,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51-59, 2010.   DOI
11 J. B. Biggs,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 What the student does. Buckingham, McGraw-Hill Education (UK), 2011.
12 안홍선, 박현주, 조상식, "원격연수 실태 및 교원의 인식 분석: 교원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연수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5호, pp.215-239, 2018.   DOI
13 https://ibus.hanyang.ac.kr/front/graduatesch ool/notice-2/file-load?id=212&fileId=813
14 송상호, 김세리, 홍영일, "원격대학 평가지표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4호, pp.79-111, 2007.
15 D. V. Eastmond, Adult learning of distance students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Syracuse University. 1993.
16 J. S. Fairweather, "The mythologies of faculty productivit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3, No.1, pp.26-48, 2002.   DOI
17 고은현, 박혜림,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상호 동료 코칭 가능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616-5626, 2013.   DOI
18 박명희, 김성훈, 박명숙, 박종호, 이성림, 이중권,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II: 동국대학교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제17권, pp.5-36, 2006.
19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0 최영, 이무상, 송명섭,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 과학교육연구지, 제34권, 제2호, pp.369-382, 2010.
21 이혜정, 홍영일, "대학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이러닝 교수법 온라인 콘텐츠 개발,"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67-90, 2010.   DOI
22 Mayer, R. E. Multimedia learning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
23 https://www.kaoce.org:9227/new/cm/02.asp
24 노혜란, 최미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모델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7권, pp.1-28, 2004.
25 고은미, 이희경, 한은옥,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 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Vol.31, pp.365-394, 2013.
26 염시창, "대학 강의평가 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교육평가연구, Vol.21, No.2, pp.25-52, 2008.
27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1권, 제4호, pp.77-100, 2005.
28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제35권, 제35호, pp.165-187, 2009.
29 G.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1, pp.39-42, 1980.   DOI
30 김동일, 이혜정, 손지영,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방안 연구: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7-123, 2005.
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교육정보화백서,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32 천세영, 이옥화, 전미애, "ICALT 관찰도구를 활용한 교사의 교실수업 전문성 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2호, pp.517-536, 2017.
33 박은숙, 이은실, 유정아, "대학 CTL의 지속 프로그램과 중단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공적인 운영전략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8권, 제3호, pp.153-174, 2012.
34 민혜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pp.195-219, 2012.
35 김현숙, "사이버대학교에서의 강의평가 분석과 적용," 사이버사회문화, 제5권, 제2호, pp.133-168, 2011.
36 최윤희, 윤린,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도 연구-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6권, 제1호, pp.25-49, 2020.
37 R. E. Mayer and R. Moreno,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8, No.1, pp.43-52, 2003.   DOI
38 민혜리, "서울대 강의현황 분석과 강의개선 방안 탐색," 가르침과 배움, 제28권, pp.25-34, 2014.
39 김경언, 우혜정, 김지영, 김우철,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6권, 제4호, pp.1-26, 2018.
40 이혜정, 이지현, "대학 '교수(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평가지표 개선 방안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9, No.3, pp.173-204, 2008.   DOI
41 김정원, 강민석, 신성욱,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427-445, 2012.   DOI
42 F. P. Duarte,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by good teachers: Case studies from an australian university," Journal of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Vol.10, No.1, pp.1-15, 2013.   DOI
43 이옥화, 장순선, "교사 경력에 따른 수업전문성 발달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4권, 제4호, pp.755-777, 2018.
44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pp.369-394, 2010.
4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운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1), 2005.
46 길양숙, "대학교원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및 지원활동의 조건," 교육학연구, 제39권, 제2호, pp.329-350, 2001.
47 백순연, 엄우용, "대학 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시비스에 대한 수용 및 활용 정도," 학습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145-169, 2015.
48 김종우, 이용환,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능력과 수행기준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1호, pp.111-138, 2009.
49 김진희,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0호, pp.1283-1305, 2020.
50 Y. Levy, Assessing the value of e-learning system, PA: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2005.
51 정인성, 최성희,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분석,"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pp.78-91, 1999.
52 황석, "멀티미디어 콘텐츠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3권, 제6호, pp.14-23, 2010.
53 이상수, 강정찬, 이유나, 오영범,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 컨설팅, 서울: 학지사, 2012.
54 J. C. Witt, B. K. Martens, and S. N. Elliott, "Factors affecting teachers' judgements of the acceptability of behavioral interventions: Time involvement, behavior problem severity, and type of intervention," Behavior Therapy, Vol.15, pp.204-209, 198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