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6.248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ystem Element Effect Analysis  

Park, Myung-Hee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Lee, Dong-Young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ssumes that the smooth school lif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multicultural support policies and practices as a basis for realizing an integrated society, and system elements that are meaningful for their flexibility to adapt to school (individuals, families, school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we tried to bring out highly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a multidimensional practic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is a causal model in which self-identity (individual factor) and parental parenting attitude (family factor),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for each system level,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chool support (school factor) consisting of teacher support and companion support is set as control variables. After collecting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by interviews with 16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the effect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support has a very important static moderating effect in the positive (+) effect of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adap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ulating effect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Keywords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chool Resilience; System Elements; Self-identity; Parenting Attitude; School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신예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차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 최애라. 부정적 자아인식, 가족지지, 교사지지가 빈곤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박순희, 이주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적응유연성(Resilience) 측정도구의 개발," 청소년학연구, Vol.16, No.6, 2009.
4 천우영, 다문화가정에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 서봉연, 발달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1983.
6 김영봉,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학교 생활적응역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 김순규,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 손혜진,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이성휘, 박정윤, 김양희, 장영은, 어성연, "빈곤가정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7, No.2, 2009.
10 신경숙, 청소년기 부모자녀 갈등관리를 위한 독서치료적 접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이희영, 이미연,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 요소 탐색," 인문학논총, Vol.11, No.2, 2006.
12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13 최은희, 부모의 학대 및 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5.
14 문호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5 이지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6 이종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자아정체성 및 학교적응의 상관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임선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좌현숙, 빈곤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간 종단적 상호관계 : 심리, 사회, 학교 적응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E. H. Erikson, Identity and the life cycle, Psychological Issues, 1, 1. 1959.
20 김인창,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 친밀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박진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고유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외국인 어머니 가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3 박순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적응유연성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4 N. R. Ahern, "Adolescent resilience: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21, No.3, pp.175-185 2006.   DOI
25 V. Anders, et al.. Diversity and Diversity Management in Berliner Unternehmen, Im Fokus: Personen mit Migrationshintergrund, Muenchen/Mering, 2008.
26 천우영, 다문화가정에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제갈종기,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8 노현주, 특수학교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9 김종선,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0 오은영,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한 학교적응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1 G. Krell and B. Sieben, "Diversity Management," Politische Bildung, No.4, pp.33-45, 2009.
32 김진선, 특수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학생과 교사 요인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