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6.237

Poverty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Noh, Hye-Jin (KC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o poverty allevi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basic pension, child-rearing allowance, disability allowance, basic living security subsidy, EITC, and other government subsidies using 2019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ecurity benefits lowered the poverty rate by 6.8%p. Second, in terms of the poverty gap reduction effect, the public pension for the elderly male households, the basic pension for the elderly female householder, and the basic guarantee for the working female householder contributed the most. Finally, in terms of poverty alleviation efficiency, about 33% of social security benefits contribute to narrowing the poverty gap. Social security benefits f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were found to serve as a function of alleviating poverty gap and for male heads of households to supplement household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scovery of various poverty states, expansion of basic security for the female elderly,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rpose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key targets.
Keywords
Social Security Benefit; Poverty Alleviation Effectiveness; Poverty Reduction Efficiency; Public Transfer Inco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제54권, pp.120-159, 2017.
2 이석민, "공적이전소득이 근로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미치는 영향: 국민기초생활보장 장기수급자의 구조적 문제 분석," 행정논총, 제53권, 제3호, pp.171-195, 2015.
3 W. Beckerman, Poverty and the Impact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in Four Developed Countries. Geneva: ILO, 1979.
4 노혜진, 김윤민,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 페미니즘연구, 제20권, 제2호, pp.51-87, 2020.
5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노인가구의 빈곤 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율, 빈곤갭, 소득이전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3호, pp.239-258, 2014.   DOI
6 F. G. Castle, and D. Mitchell,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or Four?," LIS Working Paper, No.63, Differdange, Lumembourg: CEPS/INSTEAD, 1991.
7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148만원으로 오른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0.01.02.)
8 통계청, 올해 근로장려금, 평균 110만원 받을 것으로 기대, 통계청 보도자료(2019.05.07.)
9 D. Pearce, "The Feminization of Poverty: Women, Work and Welfare," Urban and Social Change Review, Vol.11, No.1-2, pp.28-36, 1978.
10 S. Bradshaw, S. Chantn and B. Linneker, "Challenges and Changes in Gendered Poverty: The Feminization, De-feminization, and Re-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Feminist Economics Vol.25, No.1, pp.119-144, 2019.   DOI
11 이정화, "여성노인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기초연금의 효과성 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4권, 제3호, pp.49-67, 2014.
12 최옥금, 이은영,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빈곤 실태분석, 국민연금공단, 2017.
13 김환준,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3호, pp.5-28, 2017.   DOI
14 이용재,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591-600, 2016.   DOI
15 노혜진, 이지은, "근로장려금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7권, 제3호, pp.63-95, 2020.   DOI
16 박진화, 이진숙, "국민연금 수급권을 통해 본 한국여성의 사회권," 인문논총, 제34권, pp.137-166, 2014.
17 허수정, 박희란, "기초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빈곤감소 및 소득불평등 정도 완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9권, 제3호, pp.179-200, 2018.
18 김정현, 전미애,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 가구 소득액과 소득구성의 변화: 성별 및 가구유형별 비교," 사회복지정책, 제47권, 제1호, pp.31-50, 2020.   DOI
19 김지훈, 강욱모,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감소효과: 기초연금 도입 전후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3호, pp.127-144, 2020.
20 이현주, 2019년 빈곤통계연보,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1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 불평등 개선," 페미니즘연구, 제15권, 제2호, pp.205-236, 2015.
22 신혜리, 남승희, 이다미,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17-138, 2014.
23 우해봉, 한정림, "국민연금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4호, pp.193-217, 2016.
24 이래혁, 남재혁,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이 빈곤층의 물질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3호, pp.85-113, 2020.   DOI
25 남상호, "기초연금 지급액 확대가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분석," 재정정책논집, 제20권, 제1호, pp.143-17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