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565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gender differences-  

Kim, Seok-Keu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Kim, Kwang-Ho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on the satisfaction of life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data of 4,698 the elderly through SPSS V22.0 in the 12th edition of the Korea Welfare Panel(2017). First, First, subjective health status in health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chronic disease has a negative effect. Second, in th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of the elderly, the family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and in the chronic disease and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the family support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Third,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men than women, more negative effects on men than women in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s on life satisfaction, and more positive effects on men than women in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Keywords
Elderly;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Satisfaction of Life; Family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정은, 최희정,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정의남, 최혜정, 심문숙, 차남현, 최인희, 지역사회 간호학, 현문사, 2018.
2 노종숙,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 효과와 거주지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 김보미, 노인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 탄력성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 임영아,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 권재일, 노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 J. S. House, C. Robbins, and H. L. Metzner, "The associ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with mortality: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Tecumseh Community Health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16, No.1, pp.123-140, 1982.   DOI
7 김동배,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 효과," 한국노년학회,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8 한국 복지패널, https://www.kowepr.re.kr:442/
9 이미란,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영향경로에서 가족지지 매개효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80-290, 2012.   DOI
10 박애란,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212-221, 2017.   DOI
11 보건복지부,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7.
12 정문진, 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3 K. Ell,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 Review," The Social Service Review, Vol.1984, pp.133-49, 1984.   DOI
14 권미애, 노인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 효과와 자아 탄력성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5 A. Bowling, Z. Gabriel, J. Dykes, A. Fleissing, D. Banister, and S. Suton, "Let's Ask Them: A National Survey of Definition of Quality of Life and Its Enhancement Among Peo People Aged 65 and 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6, No.4, pp.269-306, 2003.   DOI
16 장정은, 노년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련 요인,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정재훈, "농촌 노인의 주거환경과 생활만족도 변화추이," 한국농촌건축 학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pp.1-8, 2015.
18 최형주, 김정석, "자녀 관계와 자아 통합감-세대 간 거주형태별 분석," 한국 인구학, 제36권, 제2호, pp.89-103, 2013.
19 이상주, 최용민, "사회적 지원 망이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193-217, 2003.
20 김미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 자녀와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7권, pp.159-82, 2017.
21 신원우, "노인의 신체 및 정신건강 문제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자원봉사 활동 참여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135-163, 2011.
22 오연례, 구직자의 취업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지지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3 김미정, 가족 지지 및 교수지지와 대학생의 진로 결정수준과의 관계 : 자기 결정성 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매개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4 구본진, 임세현, 임은의,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567-590, 2014.
25 얌점도, 이금자, 박영국, "노인의 자아존중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농촌, 제18권, 제1호, pp.1-25, 2008.
26 A. Campbell, P. Converse, W.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27 M. Huber, J. A. Knottnerus, L. Van der Green, H. Horst, A. R. Jadad, and D. Kromhout, How Should We Define Health?, Bmj, 2011.
28 김수현, 이은주,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이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2호, pp.195-203, 2008.   DOI
29 B. L. Neugarten, R. J. Harvin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DOI
30 W. Burr, G. Leigh, R. Day, and J. Constantine, "Symbolic and the Family," In Contemporary, Vol.14, No.10, pp.43-111, 1979.
31 김민성,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의 매개 효과 중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726-737, 2020.   DOI
32 임광빈, 주거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정서적요인과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3 김귀분, 송기숙, 석소현, "노인의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5-74, 2008.
34 김은이, 노병일,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이에 따른 케어복지적 함의," 대한케어복지학, 제7권, pp.5-19, 2007.
35 G. Caplan, M. Killilea, and R. B. Abrahams, Support systems and mutual help: Multidisciplinary explorations, Grune & Stratton, 1976.
36 통계청, http://kosis.kr/search/search.do, 통계청, 2020.
37 M. Medle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ours of Age and Elder," Journal of Gerontology, Vol.31, No.4, pp.448-455, 1976.   DOI
38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29-643, 2009.
39 김원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 성격특성, 가족 지지,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0 방극천,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 효과,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41 유재남,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종단분석," 노인복지연구, 제68권, pp.331-356, 2015.
42 김경식, 박보현, "한국 노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pp.520-3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