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43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4th Industry  

Joo, Mijin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the fourth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th industry by using LQ, a non-geographical method, and Getis-Ord's Gi*, a geograph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e specialized areas of the fourth industry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cond, industrial clusters and neighborhood areas of the fourth industry were located most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industrial clusters were concentrated o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nd there are no industrial cluster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nature conservation area. This paper shows that the cluster area of the fourth industry i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policies for the 4th industry are needed to solve this unbalance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urth industry.
Keywords
The 4th Industry; Cluster; Location Quotient; Getis-Ord's $Gi^*$;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오현환, "4 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지역의 연구개발방향," 경남발전, 제137권, pp.20-27, 2017.
2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Books, 2017.
3 황우익, 박종화, "벤처기업의 집적지 입지요인과 기술혁신 성과," 국토계획, 제37권, 제7호, pp.85-101, 2002.
4 M.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agglomeration economies, and regional policy,"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Vol.191, No.2, pp.85-90, 1996.   DOI
5 이진면, 이용호, 김재진, 4차 산업혁명과 우리 산업의 중장기 구조변화전망, 산업연구원, 2018.
6 J. K. Ord and A. Getis,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Vol.27, No.4, pp.286-306, 1995.   DOI
7 김은영, "4차 산업혁명시대 지역의 신산업육성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3호, pp.461-480, 2018.
8 김명진, "Getis-Ord's Gi* 와 FLQ 를 이용한 공간 집적 분석: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한국지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07-123, 2014.
9 윤윤규, 배기준, 윤미례, 이상호, 최효미, 김준영, 정준호, 한국의 지역노동시장권2010-방법론, 설정 및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2012.
10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11 A. Losch, The Economics of Loc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4.
12 이상호, 김홍규, "도시별 집적경제효과의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8권, pp.55-70, 1996.
13 오병기, "우리나라 지역별 4차 산업혁명 대응지수 격차에 관한 분석과 거시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75-292, 2018.
14 J. Jeon and Y. Suh, "Analyzing the Major Issu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6, No.3, pp.262-273, 2017.   DOI
15 김태경, 김점산, 정천용,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도시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2017.
16 박승빈,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분석-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통계청 연구보고서, 2017.
17 변창욱, 이상호, 김지수, 최윤기, 김창모, 지역 산업혁신클러스터 발전요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18.
18 김은경, 문영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16.
19 강호제, 류승한, 서연미, 표한형,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기업을 위한 입지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019.
20 주재욱, 이지연, 4차 산업혁명과 서울시 산업정책, 서울연구원, 2018..
21 정진원, 조형진, 변병설,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분포와 성장, 2010-2018," 국토지리학회지, 제54권, 제4호, pp.461-476, 2020.
22 이재호, "4차 산업혁명 기반산업의 R&D 현황 국제비교,"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 702호, pp.1-15, 2017.
23 김성희,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pp.256-266, 2020.   DOI
24 M. Carroll, N. Reid, and B. Smith, "Location quotients versus spatial autocorrelation in identifying potential cluster region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42, No.2, pp.449-463, 2008.   DOI
25 신학철, 우명제,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특성이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2권, 제2호, pp.91-117, 2020.
26 A. T. Flegg and C. D. Webber, "On the appropriate use of location quotients in generat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Reply," Regional Studies, Vol.31, No.8, pp.795-805, 1997.   DOI
27 A. T. Flegg and C. D. Webber, "Regional size, regional specialization and the FLQ formula," Regional Studies, Vol.34, No.6, pp.563-569, 2000.   DOI
28 L. Anselin,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27, No.2, pp.93-115, 1995.   DOI
29 F. Almada-Lobo, "The Industry 4.0 revolution and the future of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MES),"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3, No.4, pp.16-21, 2015.   DOI
30 김택원, 우수한, "한국 물류산업의 공간적 집적과 클러스터 형성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Vol.21, No.1, pp.237-263, 2019.
31 조철주, "혼합적 다단계 접근을 통한 충북 산업클러스터의 집적과 연계성 확인," 국토연구, 제83권, pp.129-149, 2014.
32 이철우, "산업집적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5호, pp.629-65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