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359

A Study of Prim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Multicultural Embedded English Education  

Yoon, Tecnam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Choi, Ga Young (강릉 남산초등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rveyed 63 pre-service teacher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an online survey. A quantitative method is used in order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pre-service primary English teachers stand at a considerably high level in their overall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tudents and clear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Second, concerning the difference that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major make in the subject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grad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gender and major are responsible for a slight difference. Third, an analysis was mad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having or not having receiv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grade, and major,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Gaining or not g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does not correlate with gender, but does significantly with grade and major.
Keywords
Primary English;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Quantitativ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홍기영, 김일구, 박진규, 국제이해와 다문화이해의 초.중등 영어교육에서 교육적 적용가능성 연구: 본 개념을 적용한 영어교과과정 모델개발 및 워크북 개발,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창의주제연구), 2008.
2 임소혜, 임희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6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 내용 분석," 한국초등교육, 제31권, 제3호, pp.181-195, 2020.   DOI
3 김민아, 어도선, 영어교육과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기반 영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교육개발평가원, 2017.
4 장인실, 전경자,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다문화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73-104, 2013.
5 안정임, 전경란, 김양은, 다문화와 미디어교육,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2009.
6 김혜리, 김은하, "다문화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반응저널 쓰기를 통한 초등영어와 문화의 통합교육," 초등영어교육, 제16권, 제2호, pp.81-110, 2010.
7 우지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고1 영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최수진,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교육: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다문화 교사교육의 교수방법," 교육과정 연구, 제32권, 제3호, pp.123-150, 2014.
9 문종석,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10 이미우, 초등학교 영어지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방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1 B. Norton, "Language and identity," N. Hornberger & S. McKay (Eds.), Socio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Bristol, UK: Multilingual Matters, pp.349-369, 2010.
12 성기완, "다문화교육과 영어교육의 연계 필요성 고찰 및 교과과정 모형연구,"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제12권, 제1호, pp.48-73, 2007.
13 김정덕, "예비교사의 문화성향에 따른 다문화 교육 인식 연구," 사고개발, 제10권, 제2호, pp.89-112, 2014.
14 김태식, 오영일, "영어발음 교육의 PBL적 접근: 영어 교육과 1학년의 사례연구," 외국어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325-354, 2019.   DOI
15 박명희, 김경식,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다문화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55-176, 2012.
16 지성애, 정대현, 김경숙, 김현주, 채영란, 김지예,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제10권, 제4호, pp.351-369, 2006.
17 장인실, "미국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4호, pp.25-5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