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292

Subjectivity study of Cooking Major College Student according to Cooking Practice Subject's Untact Online Class -Focusing on using Google Classroom-  

Lee, Kang-Yeon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Kim, Chan-Woo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Google Classroom for Cooking Practice Subject. We would like to present a practice class oper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If the Untact Class in the Practice Subject is conducted in the future, we want to cultivate the core competencies and practical skills of the major. In addition, Q Methodology, which can be extracted by type, was applied by analyzing subjective opinions or perception structures for the cooking maj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the curriculum.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March 23 to April 30, 2020 for first-year Cooking Major students taking the Cooking Practice Subject. Type 1 (N=11): Development of cooking training kit, Type 2 (N=7): Special lectures from industry experts, Type 3 (N=7): Development of practice form self-directed learning,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Q Methodolog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practice subjec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learning methods.
Keywords
Cooking Practice Subject; Online Class; Cooking Major College Student; Google Classroom; Subjectivity; Q Method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진희,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대학에서 오프라인 강의 병행에 대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492-499, 2009.   DOI
2 임철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및 운영전략이 자기조절학습수준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2호, pp.117-137, 2022.
3 이의길, "온라인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수업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제12권, 제1호, pp.87-105, 2006.
4 조은순, e-learning의 활용, 한국능률협회, 2002.
5 정화영, 현대 실기교육방법론, 삼광: 서울, 1993.
6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7 심선경,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 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3호, pp.487-497, 2012.   DOI
8 김병철, 류근호,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53-60, 2005.
9 허균,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업만족 영향요인의 구조적 모델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10권, 제1호, pp.135-143, 2009.
10 P. Sun, R. Tsai, J. Finger, Y. Chen, and D. Yeh,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Computers & Education, Vol.50, No.4, pp.1183-1202, 2008.   DOI
11 전주성, 최은혜, "두려움과 좌절을 넘어서: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정서적 경험 이야기," 평생교육학연구, 제16권, 제2호, pp.93-116, 2010.
12 나영선, 정재홍, 강종현, 이정훈, "전문대학 조리과의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제5권, 제2호, pp.31-56, 1999.
13 이아라, 조리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조사를 통한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 -부산지역 조리과대학생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 2016.
14 박부남, "예술플렛폼을 활용한 예술영어 통합 수업 모형 개발과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제28권, 제2호, pp.293-319, 2020.
15 양정훈, "정보화사회의 사이버교육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10권, 제2호, pp.149-189, 2002.
16 조용현, 김호석,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소비자의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97-403, 2017.
17 정연선,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44-553, 2016.   DOI
18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9 엄주홍, 강대영, 박정철, 윤상진, 전영훈, 구글클래스 룸 실무 레시피, 서울:프리렉, 2017.
20 A. Rana and A. Mostafa, "Students acceptance of Google classroom: An exploratory study using PLS-SEM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Vol.13, No.6, pp.112-123, 2018.   DOI
21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제9권, 제4호, pp.229-257, 2003.
22 김미량, "e-learning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자 몰입 및 강의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원, 제32권, 제1호, pp.165-201, 2005.
23 이제영, "건강 공익광고 수용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 홍보학과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85-93, 2016.   DOI
24 이장익, "대학교육의 정보화: 환상에서 현실로의 연계를 위한 관점들," 한국전산원, 제11권, 제4호, pp.86-95, 2004.
25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dhology, Vol.2, No.1, pp.67-91, 2005.   DOI
26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제1권, 제3호, pp.120-140, 1999.
27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28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제1권, 제3호, pp.120-140, 1999.
29 이제영,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7-510, 2014.
30 S. Iftakhar, "Google classroom: What Works and how?," Journal of Education and Social Sciences, Vol.3, pp.12-18, 2016.
31 S. R. Brown, "Q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6, No.4, pp.561-567, Nov. 199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