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278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Latent Class of Changing Trajectories: Comparison by Gender Differences  

Lee, SooBi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연구개발팀)
Lee, Suyoung (충남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a longitudinal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ity of problem drinking and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meaning the inequalit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rough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argeting total 3,770 men and 5,632 women by using the 6th-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from 2013 to 2018, and then conduct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factors on this latent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according to gender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groups in both men and women while the development aspec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le latent group with 'moderate level' or higher showed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an women. However, in case of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according to gender, as time passed, the men tended to maintain it while the women tended to increase it.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e 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deprivation and the wo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security deprivation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compared to the 'drinking group with low level'. Based on such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ussed the preventive/intervention measures for problem drinking according to gender.
Keywords
Gender; Problem Drinking; Multidimentional Deprivation; Latent Class Growth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 Muthen and K. Shedden, "Finite mixture modeling with mixture outcomes using the EM algorithm," Biometrics, Vol.55, No.2, pp.463-469, 1999.   DOI
2 K. L. Nylund, T. Asparouhov, and B. O. Muthen,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14, No.4, pp.535-569, 2007.   DOI
3 이정진, 문은수, 박제민, 이병대, 이영민, 정희정, 최윤미, 정영인,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주행동 관련 요인," 생물치료정신의학, 제20권, 제1호, pp.54-62, 2014.
4 고숙자, 정영호, "고위험음주 및 위험음주의 질병 발생 위험도 분석,"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9권, 제1호, pp.43-52, 2018.
5 김민혜, 조병희, 손슬기, 양준용, 손애리, "문제 음주자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한 성별 차이,"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9권, 제1호, pp.17-32, 2018.
6 이수비,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의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세대별 경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7 정우진, 이선미, 김재윤,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집문당, 2009.
8 Institute of Medine, Broadening the base of treatment for alcohol problems: report of a study by a committee of the Institute of Medicine, Division of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Medicine, National Academy Press, 1990.
9 정슬기,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 남자 대학생과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7호, pp.176-198, 2007.
10 도은영, 김연화, 김정화, "여대생, 여성 직장인 및 주부의 문제음주와 음주기대 비교," 알코올과 건강행동 연구, 제10권, 제1호, pp.93-106, 2009.
11 L. Y. Wang, S. L. You, S. N. Lu, H. C. Ho, M. H, Wu, C. A. Sun, H. I. Yang, and C. J. Chen,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abits of alcohol drinking, betel quid chewing and cigarette smoking: a cohort of 2416 HBsAg-seropositive and 9421 HBsAg-seronegative male residents in Taiwan," Cancer Causes & Control, Vol.14, No.3, pp.241-250, 2003.   DOI
12 김미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문제음주 예측 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487-494, 2017.   DOI
13 정슬기, 이민욱, "사회경제적 박탈과 문제음주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검증: 연령에 따른 집단 비교,"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46권, 제3호, pp.5-33, 2018.
14 주소희, 정영숙, 박현숙, "지역사회 저소득노인의 문제성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제24권, 제2호, pp.1-25, 2014.
15 정성식, 정경화. "한국 성인의 음주 유형에 대한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5호, pp.441-453, 2012.   DOI
16 T. Jung and K. A. Wickrama,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2, No.1, pp.302-317, 2008.   DOI
17 이웅, 임란, "박탈경험과 불평등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93-122, 2014.   DOI
18 김희진, 송인한, "기혼 직장인의 우울과 자살생각, 그리고 음주의 관계,"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36권, pp.1-30, 2010.
19 노소영, 장수현, "중년 여성의 우울, 무력감, 가족지지 및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43-151, 2018.
20 허만세,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2호, pp.203-230, 2013.
21 황지영, 정슬기, "주관적 계층의식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44권, 제3호, pp.238-265, 2016.
22 E. S. Greenberg and L. Grunberg, "Work alienation and problem alcohol behavio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pp.83-102, 1995.
23 M. Baumann, E. Spitz, F. Guillemin, J. F. Ravaud, M. Choquet, B. Falissard, and N. Chau, "Associations of social and material deprivation with tobacco, alcohol, and psychotropic drug use, and gender: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Vol.6, No.1, pp.1-12, 2007.   DOI
24 E. Lahelma, P. Martikainen, O. Rahkonen, and K. Silventoinen,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Finland: patterns, magnitude and chang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8, No.1, pp.7-19, 1999.   DOI
25 P. Moisio, "A latent class application to the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poverty," Quality and Quantity, Vol.38, No.6, pp.703-717, 2004.   DOI
26 C. G. Ellison and J. S. Levin, "The religion-health connection: Evidence, theory, and future directio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Vol.25, No.6, pp.700-720, 1998.   DOI
27 H. Wechsler, G. W. Dowdall, A. Davenport, and S. Castillo, "Correlates of college student binge drink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85, No.7, pp.921-926, 1995.   DOI
28 김진희, 최만규, "성별에 따른 아파트 주민의 음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연결망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05-115, 2010.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der disparities in mental health, 2001.
30 전근성, 국민연금 보장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31 도은영, 홍연란,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371-380, 2014.   DOI
32 김수연, 장세진, 김형렬, 노재훈,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 노동과 우울 수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4 권, 제3호, pp.227-235, 2002.
33 윤명숙, 조혜정, "지역사회 노인의 음주행위,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26권, pp.254-287, 2007.
34 김환, 한수미, 최혜라, "서비스직과 비서비스직의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4권, 제20호, pp.177-188, 2019.
35 김현주, "일하는 여성의 감정노동과 건강," 이화젠더 법학, 제7권, 제1호, pp.33-50, 2015.
36 신원우, "성인 여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8호, pp.923-232, 2017.
37 진경, 손애리, 김성민, 김용범, 홍영성, "사회규범인식과 음주태도에 대한 성별 차이,"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3-24, 2018.   DOI
38 K. A. Brown-Rice, S. Furr, and M. Jorgensen, "Analyzing Greek members alcohol consumption by gender and the impact of alcohol education interventions," Journal of Alcohol and Drug Education, Vol.59, No.1, pp.19-38, 2015.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der disparities in mental health, 2001.
40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과 빈곤의 여성화: 가족, 노동시장, 복지정책에 관한 여성주의적 재고," 아시아여성연구, 제44권, 제1호, pp.5-51, 2005.
41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8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2019.
42 이복임, 정혜선, 김순례, 이경용, "서비스직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566-576, 2004.
43 강시온, 강소랑, 문상호,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9권, 제4호, pp.763-780, 2019.
44 김용석, 이석호, "소득수준, 음주수준 및 음주폐해의 관계: 음주폐해역설의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8권, 제3호, pp.35-56, 2020.
45 A. B. Atkinson,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contrasting social welfare and counting approaches," The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Vol.1, No.1, pp.51-65, 2003.   DOI
46 Chandy, K. Mani and Jayadev Misra, "The drinking philosophers problem," ACM Transactions on Programming Languages and Systems(TOPLAS), Vol.6, No.4, pp.632-646, 1984.   DOI
47 이숙현, 한창근,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집단 간 다집단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1호, pp.293-333, 2019.   DOI
48 김미영, 강은희, "남자대학생의 음주결과기대, 대인 관계능력 및 우울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8권, 제1호, pp.537-548, 2006.
49 정원철,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347-371, 2006.
50 H. Andruff, N. Carraro, A. Thompson, P. Gaudreau, and B. Louvet, "Latent class growth modelling: a tutorial," Tutorials in Quantitative Methods for Psychology, Vol.5, No.1, pp.11-24, 2009.   DOI
51 김미곤, 여유진, 양시현, 최현수, 김계연, 고연분 외, 2004 년 최저생계비 추정 및 계측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2 A. M. Kavanagh, R. Bentley, G. Turrel, D. H. Broom, and S. V. Subramanian, "Does gender modify associations between self rated health and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60, No.6, pp.490-495, 2006.   DOI
53 C. E. Ross and C. E. Bird, "Sex stratification and health lifestyle: Consequences of men's and women's perceive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Vol.35, pp.161-178, 1994.   DOI
54 이숙현, "패널자료를 이용한 주거빈곤과 문제음주의 관계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1호, pp.520-559, 2020.   DOI
55 J. Perez-Mayo, "Measuring deprivation in Spain," IRISS at CEPS/INSTEAD, No.2003-09, 2003.
56 정슬기, 이수비, "빈곤과 소득불평등 인식에 따른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변화,"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5호, pp.43-51, 2015.   DOI
57 백종환, 이선미, 김경화, 곽동선,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한 만성질환관리 통합서비스 제공모델 개발,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6.
58 T. Pitkanen, K. Kokko, A. L. Lyyra, and L.Pulkkinen, "A developmental approach to alcohol drinking behaviour in adulthood: a follow-up study from age 8 to age 42," Addiction, Vol.103, No.5, pp.48-68, 2008.   DOI
59 허종호, 조영태, 권순만, "사회경제적 박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44권, 제2호, pp.93-120, 2010.
60 Y. C. Chuang and K. Y. Chuang,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in Taiwan,"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7, No.8, pp.1321-1330, 2008.   DOI
61 S. Ferlander and I. H. Makinen, "Social capital, gender and self-rated health," Evidence from the Moscow Health Survey 2004,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9, No.9, pp.1323-1332, 2009.   DOI
6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복지패널 유저가이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63 이수비, 정슬기, 이수영, "경제적 박탈경험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 소득불평등 인식과 우울의 매개효과,"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제17권, 제2호, pp.79-91, 2016.
64 J. Roy,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 neurobiological perspective," Medical Hypotheses, Vol.62, No.2, pp.222-227, 2004.   DOI
65 J. N. Morris, A. J. M. Donkin, D. Wonderling, P. Wilkinson, and E. A. Dowler, "A minimum income for healthy living,"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Vol.54, No.12, pp.885-889, 2000.   DOI
66 정슬기, "젠더관점을 통해 본 한국여성의 음주: 결혼, 출산, 취업 및 성역할 태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제47권, pp.158-195, 2015.
67 천희란, 정진주, "젠더와 건강: 성인지적 보건정책을 위한 시론," 보건행정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30-156, 2008.   DOI
68 Doyal, Lesley, 무엇이 여성을 병들게 하는가, 한울 아카데미, 2010.
69 김미숙, 김윤영, "물질적 박탈과 음주가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29권, pp.63-88, 2018.
70 박규희, 허원구, "음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우울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509-519, 2016.   DOI
71 M. L. Cooper, M. Russell, J. B. Skinner, M. R. Frone, and P. Mudar, "Stress and Alcohol Us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Coping, and Alcohol Expectanci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1, No.1, pp.139-152, 1992.   DOI
72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70, 2015.   DOI
73 이현주, 빈곤에 대한 대안적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74 이재경, 이래혁, "저소득층의 물질적 어려움과 음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552-565, 2016.   DOI
75 E. Brunner and M. Marmot, "Social Organization, Stress and Health," In Marmot, M. & Wilkinson, R. G. (Ed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6-3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