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3.518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tpartum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Bae, Yeon Wook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Yu, Kum Lan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among Self-Determination Theory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 sample of 313 mothers who raises her child within a year of giving birth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it to the data. Meanwhile, when compared with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path between all variables is established, the competitive model excluding the path from spousal support to postpartum depression has no difference in fitness, and was relatively simple and adopted as the final model. In the final model, the link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tpartum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comple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would be helpful to identify the statu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pouse support,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counseling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Keywords
Basic Psychological Needs; Spous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Postpartum Dep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E. L. Deci and R. M. Ryan,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Vol.11, pp.227-268, 2000.   DOI
2 M. Vansteenkiste and R. M. Ryan, "On psychological growth and vulnerability: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s a unifying principle,"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Vol.23, No.3, pp.263-280, 2013.   DOI
3 K. J. Bartholomew, N. Ntoumanis, R. M. Ryan, J. Bosch, and C. Thogersen-Ntouman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diminished functioning: The role of interpersonal control and psychological need thwart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7, pp.1459-1473, 2011.   DOI
4 Katrijn Brenning and Bart Soenens,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nd Early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73, pp.1729-1743, 2017.   DOI
5 E. Robertson, S. Grace, T. Wallington, and D. E. Stewart, "Antenatal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A synthesis of recent literature,"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26, No.4, pp.289-295, 2004.   DOI
6 박영주, 신형정, 유호신, 천숙희, 문소현, "산후우울 예측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제34권, 제5호, pp.722-728, 2004.
7 이은주, 박정숙, "산후우울 예측 모형 개발: 산전우울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제45권, 제2호, pp.211-220, 2015.
8 권정혜, "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pp.55-66, 1997.
9 M. W. O'Hara, S. Staurt, L. L. Gorman, and A. Wenzel, "Effcacy of interpersonal psychotherapy for postpartum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Vol.57, pp.1039-1045, 2000.   DOI
10 M. M. Weissman, "Advances in psychiatric epidemiology: Rates and risks in maj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77, pp.445-451, 1987.   DOI
11 박시성, 한귀원, "산후 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정신신체의학, 제7권, 제1호, pp.124-133, 1999.
12 김수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APIM의 적용,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3 정명희, 김증임, "산욕기 산모의 임신시 정서 상태, 분만준비도, 산후 사회적 지지도 및 산후 우울감과의 관계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38-45, 2005.   DOI
14 조희원, 우주영, "산후 우울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3권, pp.549-573, 2013.
15 조윤진, 유성경, "기혼 취업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일, 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 중심 대처와 우울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2호, pp.441-463, 2012.
16 조현주, 최주연, 이정재, 이임순, 박문일, 나중열, 이근영, 이종민, 권정혜, "산후 우울증에 대한 예측 및 임신 중 우울증의 회복 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주산회지, 제15호, 제3권, pp.245-254, 2004.
17 윤수란, 한국 기혼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과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8 R. M. Ryan, J. G. La Guardia, J. Solky-Butzel, V. Chirkov, and Y. Kim, "On the interpersonal regulation of emotions: Emotional reliance across gender, relationships, and culures," Personal Relationship, Vol.12, pp.145-163, 2005.   DOI
19 박상희, 유금란, "기혼여성이 느끼는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부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8권, 제3호, pp.459-475, 2013.
20 한귀원, 김명정, 박제민, "한국판 에딘버러 산후우울척도: 신뢰도와 타당도,"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0권, 제2호, pp.201-206, 2004.
21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22 신서연, "한국어판 단축형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들의 타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장춘미, "스트레스가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지지 및 갈등해결행동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제14권, pp.83-96, 2000.
24 B. Chen, M. Vansteenkiste, W. I. Beyers, L. Boone, E. L. DEci, J. Van der Kaap-Deeder, and Verstuy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need frustration, and need strength across four cultures," Motivation and Emotionm, Vol.39, pp.216-236, 2015.   DOI
25 이진현, 기본심리욕구 만족-좌절 척도(BPNSFS)의 한국 타당화 연구,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6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1998권, 제1호, pp.35-51, 1998.
27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pp.1-816, 1998.
28 김시연, 서영석,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4호, pp.1243-1265, 2008.
29 오숙영,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다차원 척도에 대한 다양한 문항 묶음 방법 적용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9권, 제2호, pp.313-345, 2017.   DOI
30 S. Hong, M. Malik, and M. Lee,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3, No.4, pp.636-654, 2003.   DOI
31 김성수, "기본심리욕구, 생애 목표,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제29권, 제1호, pp.1-25, 2015.
32 김시연, 서영석,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2호, pp.189-213, 2010.
33 김시연, 서영석,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4호, pp.1245-1267, 2008.
34 이주리, 출산 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의 관계: 배우자 지지의 중재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5 World Helth Organization,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 Disorder: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36 C. T. Beck and R. K. Gable,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scale with two other depression instrument," Nursing Research. Vol.50, No.4, pp.242-250, 2001.   DOI
37 안영미, 김정현, "일반아모와 추후관리를 받은 저체중아모의 모성자존감, 산후우울, 가족기능의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5호, pp.580-590, 2003.   DOI
3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V. Arlington, VA: American, 2013.
39 M. W. O'Hara and A. M. Svain, "Rates and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Vol.8, pp.37-54, 1996.   DOI
40 강민철, 김수임, 김동민,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Vol.13, No.1, pp.149-168, 2012.
41 KiHASA, 저출산.고령화 대응 학술심포지엄 : 저출산부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42 이지원, 어용숙, 문은혜, "산욕초기 산모의 산후우울에 자기효능감, 신체상,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pp.4011-4020, 2015.   DOI
43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4호, pp.1147-1168, 2010.
44 S Gale and B. L. Harlow, "Postpartum mood disorders: a review of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factors,"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24, No.4, pp.257-266, 2003.   DOI
45 한주희, 산후우울증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6 E. E. Cameron, I. D. Sedov, and L. M. Tomfohr-Madsen, "Prevalence of paternal depression in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An updated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06, pp.189-203,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