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3.375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Local Economy  

Joo, Mijin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Recent years have seen a rapid boom of the 4th industry and relevant policies in region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the 4th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by using a spatial statistical mod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gglomeration of the 4th indus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local economy, while there is not good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th industry and the income of the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the agglomeration of the fourth industry on the local economy is limited. In addition, the impact on the local economy was different by the type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the local economy.
Keywords
The 4th Industry; Agglomeration Economy; Local Economy; Spatial Statistical Model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승빈, 4차 산업혁명 주요 테마분석-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통계청 연구보고서, 2017.
2 오호영, "제 4 차 산업혁명과 한국경제의 일자리 충격. 한국경제포럼," 제11권, 제2호, pp.93-115, 2018.
3 M. Purdy and P. Daugherty, "Wh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future of growth," Remarks at AI Now: The Soc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the Near Term, pp.1-72, 2016.
4 A. McKinsey, Future that Works: Automation, Employment and Productivity, Global Institute, 2017.
5 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지역혁신 전략, 2019.
6 김경희, 한수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지자체별 산업 경쟁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117-131, 2017.   DOI
7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Books, 2017.
8 이민화, 김애선,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모델, AI+12 Tech," 정보와 통신, 제34권, 제8호, pp.13-8, 2017.
9 배영임, 신혜리, 경기도 4 차 산업혁명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7.
10 박종구, 고태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분석과 신용평가 결과의 비교: 지역경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제7권, 제2호, pp.143-165, 2002.
11 조연상, "지방재정과 지역균형발전; 지역경제와 발전의 측정지표," 지방재정, 제4권, pp.37-51, 2007.
12 이연호, 김광민, "인구변화가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충북의 경우,"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4호, pp.1493-1513, 2015.
13 사호석,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25-146, 2020.   DOI
14 이남철, "한국의 인적자본 스톡 (1963-2004)," 국제지역연구, 제10권, 제3호, pp.154-175, 2006.
15 김의준, 이성수, "서울 IT 산업의 공간적 집적경제 효과 추정," 재정논집, 제21권, 제1호, pp.149-165, 2006
16 P. A. P. Moran,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Vol.37, pp.17-23, 1950.   DOI
17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서울: 법문사, 2012.
18 이창효, "공간계량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읍면동의 산업별 집적의 영향요인 분석," GRI 연구논총, 제18권, 제1호, pp.1-33, 2016.
19 L. Anselin, "Lagrange multiplier test diagnostics for spatial dependence and spatial heterogeneity," Geographical analysis, Vol.20, No.1, pp.1-17, 1988.   DOI
20 최열, 이재송, 김성,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용도지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8권, 제4호, pp.5-17, 2018.
21 문동진,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시. 군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4호, pp.79-118, 2019.
22 김희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 동력과 포용적 성장," 한국경제포럼, 제11권, 제2호, pp.59-92, 2018.
23 주재욱, 이지연, 4차 산업혁명과 서울시 산업정책, 서울연구원, 2018.
24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 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25 이종하, 박성훈, "산업집적 외부성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pp.147-170, 2010.
26 박성호, 김진열, 정문기,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2호, pp.173-206, 2012.
27 신학철, 우명제,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입지특성이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2권, 제2호, pp.91-117, 2020.
28 장철순, 문정호, 류승환, 장은교, 이승옥, 정우성, 조성철, 유현아, 4차 산업혁명시대의 新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2017.
29 양준모, 최기산, 이장연, 조인숙, "지역경제발전과 금융시스템의 역할", 지역발전연구, 제23권, 제1호, pp.31-58, 2014.
30 김방룡, 홍재표,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2호, pp.635-657, 2014.
31 권오혁,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생태계 조성방안," 국토, pp.14-21, 2013.
32 강호제, 류승한, 서연미, 표한형,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기업을 위한 입지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019.
33 현대경제연구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촉진자와 수용, 2017.
34 김형만, 강홍렬, 김창환, 김영생, 한애리, 김호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인적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35 김은영, "4차 산업혁명시대 지역의 신산업육성을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에 관한 연구: 포항지역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3호, pp.461-480, 2018.
36 박성호, 김진열, 정문기, "창조산업의 집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2호, pp.173-206, 2012.
37 배수현,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 육성 방향의 전환,"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7-54, 2017.
38 산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지역혁신 전략, 2019.
39 산업연구원, (특집) 4차 산업혁명과 지역산업 육성방향, 2017.
40 한표환, "첨단산업의 집적과 지역경제발전," 국토계획, 제25권, 제3호, pp.55-73, 1990.
41 이번송, 장수명, "제조업체의 도시별 생산성 차이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49권, 제3호, pp.165-188, 2001.
42 김계숙, 민인식, "직접경제가 지역-산업 고용성장에 미친 영향: System GMM 추정방법의 활용," 국토계획, 제45권, 제2호, pp.227-246, 2010.
43 정의철, 이번송, 조찬호, "우리나라 제조업 집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경제연구, 제11권, 제1호, pp.73-110, 2005.
44 오병기, "우리나라 지역별 4 차 산업혁명 대응지수 격차에 관한 분석과 거시정책적 시사점,"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75-292, 2018.
45 김은경, 문영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경기개발연구원, 2016.
46 김동수, 조정환,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산업연관분석," 경제발전연구, 제26권, pp.1-2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