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2.631

A Study o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Focusing on Customized Benefits  

Nam, Eun-hee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ark, Yun-yung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im, Woo-hyun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and explain the policy-determining factor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revising customized wages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on December 30, 2014. This is an analysis of the reasons why the rapid revision of the welfare system could have been made at a certain time in a situation that did not progress despite the specific demand for revision of the law surrounding the blind spot. To this end, using Kingdon's policy flow model, which emphasizes the contingency of policy decisions, the flow of problems, political flows, and policy alternatives were reviewed respectively. In the course of each of these flows, the suicide incident of mother and 2 daughters in Songpa served as a major medium that played a large ro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window of policy could be opened. As a result, This incident triggered social and policy interest in the issue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t was found that the law was revised quickly, causing a great wave of waves as a social issue.
Keyword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Customized Benefits; Kingdon; Songpa's Mother and 2 Daughters Suicide Ca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475022
2 https://www.nocutnews.co.kr/news/1212295
3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180002
4 https://blog.naver.com/newsbeminor/220112114567
5 조준용, 강성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맞춤형 개별급여 개편방안의 시뮬레이션 적용에 따른 보장시설생계급여 적절성 검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06-217, 2014.
6 석재은, 맞춤형 최저생활보장을 위한 빈곤 정책의 제도개선 방향, 보건복지포럼, 2011.
7 이루세, 한국 보수주의 정부의 복지개혁에 관한 연구: 박근혜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8 노대명,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평가와 향후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2016.
9 김원득, 기초생활보장제도 맞춤형 급여 개편 1주년 평가와 전망, 보건복지 포럼, 2016.
10 김윤영, "맞춤형 개별급여 평가와 전망," 월간 복지동향, 제205호, pp.48-54, 2015.
11 박혜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체계 개편에 관한 고찰: 맞춤형 개별급여를 중심으로,"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제6권, 제1호, pp.79-92, 2016.
12 이승윤, 김윤영, "박근혜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급여체계 개편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판사회정책, 제51호, pp.92-132, 2016.
13 J. W. Kingdon,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14 김종수, "사회보장위원회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회보장법학, 제3권, 제2호, pp.79-117, 2014.
15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 맞춤형 급여 운영방안, 2015.
16 노대명,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
17 최정민, 배관표, 최성락,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43-252, 2013.
18 유은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정책결정에 관한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65-185, 2008.
19 이영환, 영구임대주택정책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20 박윤영,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9호, pp.264-295, 2002.
21 김일재, 국민연금제도 개혁의 정책결정과정 연구:정책흐름모형과 웅호연합모형의 융합모형의 적용,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2 박윤영, "국민임대주택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6호, pp.133-161, 2006.
23 박윤영, "사회복지사업법 개정과정 연구 2012년 1월 26일 개정법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제40호, pp.74-177, 2013.
24 이란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정에 나타난 시민단체의 정책전략에 관한 연구: Kingdon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5 이진숙, 안대영, "건강가정기본법의 정책결정과정 분석: 킹돈의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3호, pp.159-181, 2005.
26 이진숙, 이석형, "장애인연금법의 정책결정과정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37권, 제3호, pp.1-25, 2010.
27 여유진, 김미곤, 김성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재산기준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8 http://beminor.com/detail.php?number=8849
29 박윤영,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제정과정," 대한케어복지학, 제13권, pp.29-47, 2010.
30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40907000028
31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0102431001301
32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2020401013126060004
33 https://blog.naver.com/livingright/80124089426
34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28456.html
35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900290
36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645795
37 http://www.peoplepower21.org/Politics/534931
38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2314
39 https://beminor.com/bbs_detail.php?bbs_num=315&tb=statemant
40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672077
41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007988
42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653999
43 http://www.peoplepowerparty.kr/renewal/policy/data_pledge.do
44 https://beminor.com/detail.php?number=5152
45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030246
46 http://likms.assembly.go.kr/record/mhs-10-030.do
47 김미곤, "개혁적 사회정책, 변화는 가능한가?," 한국사회정책연합학습대회, 2019.
48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070570
49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046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