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2.330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uperior & Colleague Support  

Kim, Su-Mok (한세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im, Sang-Cheol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superior and co-worke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445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V22.0 as follows. First, it had been shown that in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surface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inner 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in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a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the superior and co-worker, and the inner ac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the superior and co-worker. Third, the superior & co-worker support of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Fourth, superior & co-worker support in the relation to surfac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in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had a negative mediated effect. Superior & co-worker support in relation to inner act and job performance had revealed that it did not have a mediated effect.
Keywords
Social Worker; Emotional Labor; Job Performance; Superior & Colleague Suppo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국가인권위원회, 사회복지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 2013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3.
2 보건복지부,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9.
3 최정민, 조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우울감의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9권, 제6호, pp.655-63, 2019.
4 이상기,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감정 노동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박주성, 안승남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가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 행정 논집, 제9권, 제1호, pp.49-70, 2020.
6 유정아, 김홍범, "항공사의 고객 만족 교육프로그램이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3권, 제5호, pp.27-49, 2015.
7 이주영, 고재욱,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아 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0권, 제4호, pp.187-212, 2016.
8 이지영, 정원호, "감정노동자의 행복이 직무성과를 이끄는가?: 감정노동전략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행복의 매개 효과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7호, pp.1155-79, 2019.
9 박종철, 이광옥,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성 지능에 따른 감정노동이 직무성과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 연구, 제30권, 제6호, pp.85-109, 2015.
10 김정기, 직무 즐거움과 조직적 지원, 감정노동이 종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놀이공원 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김태인, 호텔 고객서비스 접점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감정 지능과 성격유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2 박석희, 송윤정, "조직원들 감정노동의 직무성과와의 관계: 차원, 영향 및 시사점,"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0권, 제1호, pp.1-24, 2013.
13 남현아,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9권, 제4호, pp.69-79, 2014.
14 정상진,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 지지와 근무환경의 매개 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5 S. Y. Kang and C. H. Le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of employee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37, No.2, pp.53-72, 2011.   DOI
16 이미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감성 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순복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7 민숙희, 대학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상사의 감성 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 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 마지순, 안라리, 이선애, "유아 교사의 행복감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3-62, 2018.   DOI
19 문영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자원보존이론과 감정규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283-315, 2014.   DOI
20 어흥선, 이종숙,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6호, pp.501-511, 2020.   DOI
21 김용훈, 노인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매개 효과 -,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2 김태룡, 안희정 "성과개념의 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007호, pp.1-14, 2007.
23 추교선, 사회복지관의 자율성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과 리더십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2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 mediator distinction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
25 김태춘, 독거노인 생활 관리사의 감정노동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26 A. R. Hochschild,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85, No.3, pp.551-575, 1979.   DOI
27 왕태규, "조직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제4권, 제1호, pp.63-90, 2007.
28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 노동과 개인과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9 김보연, 신효정,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 부조화와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한국 교육학연구, 제22권, 제1호, pp.211-232, 2016.
30 Brewer, Selden,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Vol.10, 2000.
31 도운섭,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 행정학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3권, 제3호, pp.45-95, 2005.
32 김지영, "융복합 관점에서 임상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사회적 지지, 이직 의도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과학회, 제14권, 제8호, pp.331-347, 2016.
33 H. G. Rainey,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5th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14.
34 S. Cohen, and H. M. Hov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DOI
35 송유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를 통한 직무만족도 증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11권, 제22호, pp.147-170, 2005.
36 이종호, 허희영,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적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31-147, 2012.
37 C. M. Brotheridge and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 No.3, pp.365-379, 2003.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