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2.271

A Comparative Study on Sandplay Educational Analysis and Verval Educational Analysis of Counselors with a Focus on Their Development  

Koo, Sae-Kyoung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Han, Yu-Jin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nt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before and after sandplay education analysis and verbal education analysis. Ten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sandplay education analysis and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verbal education analys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at received the verbal education analysis, and the three groups that received the language education analysis. A nonparametric test,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pre-parametric test, and a nonparametric test, Wilcoxon signed tank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re-post test result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development of counselors and in case of case, in the whole of sandplay education analysis groups, while those that received verbal education analysis and those that did not receive education analysis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unselors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es that sand play education analysis i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Keywords
Sandplay Education Analysis; Verbal Education Analysis; Counselor's Development Lev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신종임, 천성문, 이영순, "상담경력수준에 따른 개인상담 슈퍼비전 교육내용 요구, 실제 및 만족도 분석," 한국동서정신과학학회, 제7권, 제1호, pp.83-101, 2004.
2 Yuval N. Harrari,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더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병근 옮김, 서울 : 김영사, 2019.
3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발달," 상담학연구, 제4권, 제2호, pp.367-380. 2003.
4 이재창, "전문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1-26, 1996.
5 Gerald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옮김,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1.
6 권혜영, 상담자의 원가족건강성이 상담자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 Gerald Corey, 제럴드 코리에게서 배우는 성장하는 상담전문가의 길, 김인규 옮김, 서울 : 학지사, 2014.
8 심흥섭, "상담자 발달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8, 1992.
9 이미정, 박승민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발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29, 2015.
10 김경희, 이희자, 모래상자 놀이치료, 서울 : 양서원, 2005.
11 종연영. 상담자의 교육분석에 관한 질적연구: 정신분석상담사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 김준혜, 상담자발달수준, 마음챙김 및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박형인,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유형에 따른 자아 탄력성과 내재적 동기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4 김민정, 조화진,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 수준 비교연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67-84, 2015.
15 심흥섭, "상담자의 교육분석," 인간이해, 제12권, 1991.
16 강나리,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송영혜, 이정자, "모래상자를 이용한 자기분석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과정 분석:놀이치료사 훈련생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제11권, 제3호, pp.129-140, 2007.
18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슈퍼비전의 현재," 대학생활연구, 제17권, 제1호, pp.1-18, 1999.
19 김보애, 모래놀이 여행, 서울 : 사단법인 모래놀이상담협회, 2016.
20 S. A. Armstrong, 인본주의적 인간중심 모래상자 치료, 전애영 옮김, 서울 : 원미사, 2013.
21 송영혜, 모래상자 놀이치료, 대구 : 에버그린북스, 2016.
22 구세경, 모래놀이 상담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3 송영혜, 김현주, "모래상자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인탐색," 놀이치료 연구, 제14권, 제1호, pp.21-32, 2010.
24 장세미, 상담자의 특성, 역전이 관리능력 및 상태 불안의 관계,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5 이상리, 상담자 발달과 원가족 경험, 자기자각,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정문주, 조한익, "상담자발달과 관련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제17권, 제6호, pp.141-164, 2016.
27 조경숙, "초심상담자의 상담수행능력 자기평가 요인탐색,"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여구, 제20권, 제10호, pp.639-664, 2020.
28 손은정, 이혜성, "상담자 발달 수준별 사례개념화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3호, pp.563-580, 2002.
29 송영혜, "모래상자놀이의 과거와 미래-상담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 놀이치료연구, 제16권, 제2호, pp.1-15, 2012.
30 Barbara Labovitz and E. Anna Goodwin, 모래놀이치료, 이진숙, 심희옥, 한유진 옮김, 서울 : 학지사, 2012.
31 현민홍, 홍혜영, "슈퍼바이저의 지지가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01-319, 2018.   DOI
32 Harriet S. Friedman and Rie Rogers Mitchell, 모래놀이치료 수퍼비전, 장미경, 이미애, 이상희, 채경선, 홍은주 옮김, 경기도: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2008.
33 김보애, 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2011.
34 송은화, 정남운, "슈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17-33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