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791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Vacant Houses and their Accessibility : Focused on the Vacant Houses in Okcheon-gun, Chungcheongbuk-do  

Lee, Jong-Soo (충북연구원 공간창조연구부)
Kim, Sun-Duck (충북연구원 충북도시재생지원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Korea, the cities continue to deteriorate, while the vacant houses in the small local towns emerg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Despite the vacant houses emerg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small local towns as well as in the large cities, the basic researches into them are yet to be conducted on a full scale. Thus, in order to know abou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vacant houses, this study conducted the square analysis and the kernel density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cant houses in Okcheon-gun had certain crowding forms and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the vacant houses in terms of the accessibility to the living SOC facilities, the GIS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major facilities and road network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to the living SOC facilities such as medical and well-being was, the ratio of the vacant houses was lower.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the accessibility to the obligatory facilities such as public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did not have any important effects on the distribution of the vacant houses. All in all, through this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vacant houses in the small local town and their accessibility to the major SOC facilities could be analyzed.
Keywords
Vacant House; Spatial Characteristics; Quadrat Analysis; Kernel Density Analysis; GIS Network Analysis; Living SOC Facilities; Accessi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V. C. Morckel,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pplied Geography, Vol.48, pp.8-16, 2014.   DOI
2 노민지, 유선종,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부동산연구, 제26권, 제2호, pp.7-21, 2016.
3 정재준, 노영희,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0권, 제3호, 2007.
4 남지현, "일본의 빈집형성의 원인과 대처 방안," 지역사회연구, 제22권, 제4호, pp.187-215, 2014.   DOI
5 김광중,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3권, 제2호, pp.43-58, 2010.
6 박성남, 변은주, 이은석, 여혜진, 성은영, 빈집을 활용한 마을재생,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7 성병준, 배규한, 유환희, "진주시 교통사고의 시계열적 공간분포특성 분석," 대한공간정보학회지, 제23권, 제2호, pp.3-9, 2015.   DOI
8 손순금, 김호철, "QGIS를 활용한 소도시 고령자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분석," 지역연구, 제36권, 제2호, pp.37-49, 2020.   DOI
9 최정민, 박동찬, "주거환경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제18권, 제1호, pp.1-20, 2020.
10 길혜민, 박혁서, 박지윤, "GIS기반 커널밀도함수분석과 LISA분석을 활용한 요양병원 입지선정요인분석," 주거환경, 제13권, 제4호, pp.283-299, 2015.
11 이병길,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은행점포 네트웍 평가방법," 국토지리학회지, 제40권, 제3호, pp.461-468, 2006.
12 김현중, 성은영, 여관현, "빈집의 선제적 관리를 위한 근린환경 요인 탐색,"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21권, 제6호, pp.137-150, 2020.
13 마세인, 김흥순,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70권, pp.61-75, 2011.   DOI
14 손은정, 맹희영, 이희연, "공폐가 밀집지역의 시.공간 패턴과 근린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분석, 제1권, 제1호, pp.71-90, 2015.
15 Priemus, "Recent Changes in the Social Rented Sector in the Netherland," Urban Studies, Vol.36, pp.1891-1908, 1996.   DOI
16 전영미, 김세훈,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제17권, 제1호, pp.83-100, 2016.
17 이종길, 농촌지역의 빈집 발생 공간패턴 분석 및공간 계획적 관리방안 연구,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8 엄현태, 우명제,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제49권, 제5호, pp.51-66, 2014.
19 D. Wilson, H. Margulis, and J. Ketchum, Spatial aspects of housing abandonment in the 1990s: The Cleveland experience, Housing Studies, p.493-510, 1994.
20 유근배, "점패턴분석을 이용한 수치지형도의 점사상일반화," 대한공간정보학회, 제6권, 제1호, pp.11-23, 1998.
21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이론과 실습, 법문사, 2011.
22 박기용, 김재환, 김보은, 황재훈, "입지패턴에 따른 커피전문점의 특성 분석," 주거환경, 제15권, 제1호, 2017.
23 송미령, 김광선, 박주영, 기초생활권 생활 서비스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24 김현중, 이종길, 정일훈,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 예측," 주거환경, 제14권, 제3호, pp.15-27, 2016.
25 손정렬, 오수경,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3권, 제5호, pp.576-594, 2007.
26 조영우, 최유빈, 박찬,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제23권, 제2호, pp.33-47, 2020.   DOI
27 정재준, 노영희, "GIS 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화 지역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0권, 제3호, pp.319-331, 2007.
28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문우사, 2013.
29 김선덕, 빈집 발생영향요인과 지역적 입지특성,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