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167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Effects and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Park, Sun-Mi (서울장신대학교 교양학과)
Choi, Hyo-Jin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effects and academic stress of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April 15 to May 10, 2021,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ursing students, 179 third-graders students and 121 fourth-graders, totaling 300 students. Using the SPSS (ver.25)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t-test for differences in forest activity effect recognition and academic stress, inclu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forest activities effects was 3.89 points (out of 5 points) and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was 3.41 points (out of 6 points). Comparison results by grade level, the current health status was positively perceived by the 3rd grade students, the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effects was higher in the 4th grade students, and the academic stress was higher in the 4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effects, grade, current health status, and appropriateness of forestry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It may be conclude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programs that can practice forest activities to improve health and reduce academic stress.
Keywords
Forest; Stress; Health; Nursing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송정희, 차진경, 이차연, 최연숙, 연평식,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여자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반응 및 영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와 경험,"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09-125, 2014.   DOI
2 R. A. Pandey and H. N. Chalise,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among nursing student," Kathmandu University Medical Journal, Vol.13, No.4, pp.298-302, 2015.   DOI
3 박지현, 김은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8권, 제9호, pp.193-202, 2017.
4 차남현,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24-131, 2016.   DOI
5 박선미, "산림치유 활동이 정신건강 및 신체적 건강 자각 정도에 미치는 영향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4권, 제3호, pp.83-97, 2020.   DOI
6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010004, 2021. 3. 19.
7 김윤희, "SNS 빅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치유의 인식 분석," 인간식물환경학회지 제9권, 제3호, pp.214-248, 2016.
8 김윤희, "성인 여성의 숲 방문 빈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반응 사이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권, p.58, 2015.
9 윤소영, 최자윤, "S-PBL의 연계순서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학섭성과 비교: 무작위 교차설계," 한국간호과학회지, 제49권, 제1호, pp.92-103, 2019.
10 이주은, 신원섭,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안정과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6호, pp.748-757, 2019.   DOI
11 박현수, 신창섭, 연평식, 김주연, "산림치유의 스트레스 회복 효과 비교,"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8권, 제21호, pp.13-24, 2014.
12 김미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5-44, 2017.
13 오미향, 천성문,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 효과," 인간이해, 제15권, pp.63-96, 1994.
14 최효진, 이은주,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2-269, 2012.
15 문미영,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더어논문지, 제8권, 제8호, pp.161-170, 2018.
16 김효신, 김민영, 문미영,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정신건강상태, 학업적 실패내성,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41-151, 2019.
17 이미현, 박미숙, "간호대학생의 통합성과 학업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63-872, 2014.   DOI
18 이예원, 이은성,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햐아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35-47, 2019.   DOI
19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3호, pp.589-607, 2008.
20 J. Shehadeh, A. M. Hamdan-Mansour, S. N. Halasa, M. H. B. Hani, M. M. Nabolsi, I.. Thultheen, and O. S. Nassar, "Academic stress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academic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Open Nursing Journal, Vol.14, No.1, pp.92-99, 2020.   DOI
21 C. Jimenez, P. M. Navia-Osorio, and C. V. Diaz.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2, pp.442-455, 2010.   DOI
22 손영주, 최은영, 송영아,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345-351, 2010.
23 차남현, "간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통제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77-185, 2013.   DOI
24 W. M Chernomas and C. Shapiro,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tion Scholarship, Vol.10, No.1, pp.1-12, 2013.   DOI
25 김경목, 신원섭, 박범진, 오도교, "산림공간유형이 기분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6권, 제1호, pp.87-92, 2012.   DOI
26 조혜경, 정수경,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외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간호학과 편입생과 일반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7권, 제5호, pp.2779-2793, 2015.
27 F. Faul, E. Erdfelder, and A. G, Lang, "G*Power 3.1: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