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1.268

The Feminism Narrative in TV Drama : Breaking the Cliché and Overturning the Order of the Patriarchy  

Kim, Mi-Ra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narrative strategies in TV drama utilized in order to support the recent feminism movem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is TV drama breaks away from the clichéd patriarchal drama series. It portrays the main characters are not the sons but the two daughters-in-law, and represents the women challenging the order of the patriarchy, and resolving the issues. In this drama, men's power was removed and female agents were held up to ridicule. In addition, it eradicates the traditional female conflict structures and creates a strong bond between the females. With this storyline, TV series concludes with two achievements. One, the stepmother and the mother co-parent the child instead of the father, suggests that a non-blood related matriarchal family is possible. Two, the heir to the chaebol family, which is traditionally a patrilineal structure, is not the oldest son or the immoral son, but the lesbian daughter-in-law, overturning the idea of heteronormativity that is dominant in the patriarchal system.
Keywords
TV Drama Series; Narrative Analysis; Patriarchy; Feminism; Female solida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훈순, 김미선, "여성 담론 생산의 장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244-270, 2008.
2 김훈순, 텔레비전 드라마 속 여성들의 일상: 사랑, 가족, 일,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p.214-215, 2013.
3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김경수 역, 민음사, 1978.
4 T. Todorov and R. Howard, The Poetics of Prose, Ithaca: Cornell University, 1977.
5 H. Newcomb and P. Hirsch, Television as cultural forum: Implication for research, Quarterly Review of Film Studies, Summer, p.566, 1983.
6 허주영, "미디어에서의 퀴어 섹슈얼리티 재현 불가능성과 탈규범의 가능성," 여성이론, 제41집, pp.29-30, 2019.
7 김미라, "멜로드라마 <밀회>의 코드 파괴(code-breaking)와 그 함의: '불륜'에 대한 재현관습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5집, p.309, 2014.
8 김미라, "포스트페미니즘 드라마의 서사와 정치적 함의: TV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65집, p.306, 2019.
9 D. Meehan, Ladies of the evening: Women characters of primetime television, Metuchen, N. J.: Scarecrow Press, 1983.
10 이희승, "최근 TV 가정드라마 텍스트의 젠더 폴리틱과 여성 수용자 연구: <소문난 칠공주>에 대한 여성적 독해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3호, pp.244-270, 2008.
11 M. White, 이데올로기 분석과 텔레비전, In R. Allen(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김훈순 역, 나남, pp.185-230, 1987.
12 https://www.segye.com/print/20210706515266, 2021. 7. 7.
13 오혜란, TV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언론홍보학과, 석사학위논문, 1991.
14 김환희, 이소윤, 김훈순,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미더어 젠더 & 문화, 제30권, 제3호, pp.5-40, 2015.
15 김훈순, 김명혜,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제12호, pp.6-50, 1996.
16 http://program.tving.com/tvn/mine/7/Contents/Html, 2021. 8. 1.
17 부정남, 대중매체에 나타난 여성성과 모성,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 삶, 정체성, 나남출판, 1999.
18 A, McRobbie, "Post-feminism and popular culture," Feminist Media Studies, Vol.4, No.3, pp.255-264, 2004.   DOI
19 윤석진, "텔레비전 드라마 <착하지 않은 여자들>에 나타난 가족주의," 한국극예술연구, 제65집, pp.41-69, 2019.
20 정지은, "TV드라마의 젠더 관계 재현 방식: 연상녀 연하남 커플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9권, 제4호, p.85, 2014.
21 홍지아,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재현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6호, pp.284-323, 2009.
22 김윤서, "'불륜' 드라마에 내재된 여성인물의 정념 고찰: TV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제11권, 제5호, pp.323-358, 2020.
23 황혜선, "주말 TV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여성이론, 제7집, pp.236-237,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