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0.712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Joo, Eunjee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Choi, Insun (호서대학교 청소년문화.상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llege students from nationwid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326 valid on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Also, attachment avoida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han attachment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attachment anxiety was fully mediated and attachment avoidance was partially mediated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mediated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verified the importance an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increasing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Finally,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ight in terms of developing education and program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session.
Keywords
Adult Attac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llege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 S. A. Mulaik, L. R. James, J. Van Alstine, N. Bennett, S. Lind, and C. D. Stilwell,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5, No.3, pp.430-445, 1989.   DOI
3 J. H. Steiger and J. C. Lind,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1980.
4 신지욱, 애착,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김종운, 김남희,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0호, pp.529-551, 2019.
6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1.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1973.
7 한나리, 이동귀, "한국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1호, pp.137-156, 2010.
8 김종운, 양민정,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2, pp.283-299, 2014.
9 B. H, Spitzberg and W. R. Cupac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ew York: Springer-Verlag, 1989.
10 박선우, 설정희, 천성문,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723-738, 2017.
11 N. Garnefski and V. Kraaij,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3, No.3, pp.141-149, 2007.   DOI
12 하유미, 박성연,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 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2호, pp.175-195, 2012.
13 H. S. Sullivan,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1953.
14 권석만, 김지영, "자기 및 타인 표상과 대인관계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1, No.4, pp.705-726, 2002.
15 C. Hazan and P. R.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No.3, pp.511-524, 1987.   DOI
16 K. A. Brennan, C. L. Clark, and P. R. Shaver,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46-76. New York: Guilford Press, 1988.
17 A. Fenny and P. Noller,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2, pp.281-291, 1990.   DOI
18 강민경,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대인관계 및 부적정서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9 김민정,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J. Cassidy and R. R. Kobak, "Avoid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defensive proces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300-323, Hillsdale, NJ: Erlbaum, 1998.
21 신은미, 이종우, 이화성,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4호, pp.177-183, 2021.   DOI
22 F. G. Lopez and K. A. Brennan, "Dynamic processes underlying adult attachment organization: Toward an attachme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healthy and effective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3, pp.283-300, 2000.   DOI
23 M. Mikulincer, and P. R. Shaver,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2007.
24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6, 2001.   DOI
25 아영아, 이명희,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1호, pp.89-106, 2016.
26 이성원, 조인경,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 이해와 심리지원 방안: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제26권, 제1호, pp.1-24, 2021.
27 이민선, 채규만,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2권, 제1호, pp.63-75, 2012.
28 C. Higgins and E. Kran,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A development network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264-288, 2001.   DOI
29 N. Garnefski, V. Kraaij, and M. Van Etten, "Specificity of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sychopathology," Journal of Adolescence, Vol.28, No.5, pp.619-631, 2005.   DOI
30 염정의, 정남운,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반추,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1, No.1, pp.81-103, 2019.   DOI
31 배경덕,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대인관계능력 사이의 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2 강수진, 최영희,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8권, 제3호, pp.53-68, 2011.
33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gac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4, pp.478-484, 1991.   DOI
34 안하얀, 서영석,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3호, pp.577-603, 2010.
35 신아영,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7 권두리, 신나나,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39권, 제3호, pp.113-125, 2018.   DOI
38 김지연,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9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3, No.4, pp.269-307, 1991.   DOI
40 김혜원, 오인수, "청소년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pp.37-62, 2016.
41 박수정,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2 D. Buhrmester, W. Furman, M. T. Wittemberg, and H. T. Reis,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5, No.6, pp.991-1008, 1988.   DOI
43 김창대, 김수임,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학생연구, 제35권, 제1호, pp.83-9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