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0.138

The Narrative of Catastrophe and the Ethics of Infection in the NETFLIX Drama, The Sweet Home  

Eum, Yeong-Cheol (삼육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paper, the basic narrative of The Sweet Home is the story that the residents of the apartment fight and survive the monsters in the isolated circumstances from the outside. This paper analysed the narrative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FLIX drama, The Sweet Home, and dealt with the ethics of contagion, core issue of the drama. Firstly, in the drama Sweet Home, the boundary between the men and the monsters collapses from the contagion. The drama shows the aspects of the apocalyptical world through the optical images, and reveals the main contagion cause is the desire and fury of the human to dominate the others. In the drama, we can see the duality that the characters sometimes stand in solidarity with, and often abuse the others. This story reflects the times after 2000s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man and the monster eclipses. Secondly, the drama shows that the ethics of the others popping up after the contagion is violent and thus can go to the totalitarianism. When the residents are shot by the troopers of the nation, the governmental authority shows its brutality. In this situation, the residents recognize their past behaviors and embrace the others. However, in the point that the characters' selfless behaviors could cover up the complaints and the fury of young generations after 2000s, The Sweet Home is a problematic drama.
Keywords
Monster; OTT; NETFLIX; The Sweet Home; Narrativ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기초과학연구원, 코로나 사이언스, 동아시아, 2020.
2 프랭크 M, 스노든, 이미경, 홍수연 역, 감염병과 사회, 문학사상, 2020.
3 유발 하라리, 김명주 역, 호모 데우스, 김영사, 2017.
4 이동신, "좀비 반, 사람 반: 좀비서사의 한계와 감염의 윤리," 문학과영상, 제18집, pp.33-51, 2017.
5 https://news.daum.net/covid1, 2021.06.28.
6 정진희,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 서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7 오현주, 괴물의 사회문화적 의미작용-2000년 이후 한국 괴물 영화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8 김민영, "플랫폼의 확장과 좀비 서사의 구현 연구-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즌1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77집, pp.61-85, 2019.
9 리처드 커니, 이지영 역, 이방인, 괴물, 신, 개마고원, 2004.
10 조르조 아감벤, 박진우 역,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11 https://news.pabii.co.kr/2020/12/22/easyilbo32904/ 2020.12.22.
12 송아름, "괴물의 변화: 문화세대와 한국형 좀비의 탄생," 대중서사연구, 제19호, pp.185-223, 2013.
13 문형준, "괴물서사란 무엇인가?-괴물서사에서 파국서사로 나아가기 위한 일곱 개의 단편," 비교문화연구, 제50집, pp.31-51, 2018.   DOI
14 복도훈, "빚짐의 도착적인 유대, 또는 속죄의 판타지 (없)는 좀비민국의 아포칼립스-연상호 감독의 <부산행>(2016)과 <서울역>(2016)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8집, pp.7-31, 2017.
15 최지운, "한국 사극 속 좀비 캐릭터 연구: <창궐>과 <킹덤>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6집, pp.105-122, 2020.
16 최은영, "한국 영화에 나타난 은유 방식-<감기>(2013), <부산행>(2016)을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제26집, pp.401-421, 2019.
17 이정진, "좀비의 교훈: 새로운 정치적 주체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부쳐," 안과 밖, 제34집, pp.239-275, 2013.
18 박하림, 2000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9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장진 역, 두려운 낯설음, 열린 책들, 1996.
20 송현희 "좀비, 본능(食)에서 자기 인식(識)으로의 변화: <워킹 데드>와 <킹덤>," 동서비교문학저널, 제48집, pp.127-147, 2019.
21 김회재, "포스트넷플릭스, 한국드라마의 전망과 전략," 방송문화, 제416집, pp.80-105, 2019.
22 김형식, "한국사회의 예외상태의 지속과 회복되지 않는 일상-연상호론, <부산행>과 <서울역>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3권, 제2호, pp.187-222, 2017.
23 윤복실, "OTT 드라마 <킹덤>의 서사 전략 연구-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43호, pp.103-123, 2020.
24 장시기, "한류 대중영화의 탈근대 미학: 괴담(怪談)과 기담(奇談)의 시간적 종합," 社會科敎育, 제52집, pp.1-12, 2013.
25 장성규, "파국과 종말의 상상력: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19집, pp.189-211, 202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