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9.158

A Structure of Generating the Fan-made Works in Korean Idol  

Chung, Eun-hye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Han, Hye-won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text generation of the fan-made works in Korean idol. The subjects of the study adopted the fan-made works of 'BTS' and 'EXO'. This is applied the concepts of 'Apparatus-Operator' and 'Technical form' in Vilém Flusser. Idol contents build a database of fan-made works and create the storyworld through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fan's interpretations. By decontextualizing and recontextualizing the idol contents, fans reinforce and extend the original texts.
Keywords
Idol Contents; Fandom; User Generated Contents; Apparatus-Operator; Technical for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s://www.kpop-radar.com/brief/34, 2020.08.15.
2 지인해, 한류나우(Hanllyu NOW) 한류 심층 분석 보고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Vol.35, 2020.
3 마르틴 졸리, 이선형 옮김, 이미지와 기호 , 동문선, 2004.
4 헨리 젠킨스, 정현진 옮김,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5 강보라, 서지희, 김선희, "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프로듀스101시즌2> 팬덤을 중심으로," 미디어,젠더&문화, 제33권, pp.5-20, 2018.
6 강준만, 강지원, 빠순이는 무엇을 갈망하는가? : 소통공동체 형성을 위한 투쟁으로서의 팬덤 , 인물과 사상사, 2016.
7 베르비기에 마티유, 조영한, "케이팝(K-pop)의 한국팬덤에 대한 연구: 해외 팬들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7호, 제1호, pp.272-298, 2017.
8 K. Yoon, "Global Imagination of K-Pop: Pop Music Fans' Lived Experiences of Cultural Hybridity," Popular Music & Society, Vol.41, No.4, pp.373-389, 2017.   DOI
9 고혜리, 양은경, "남성 아이돌 그룹의 여성혐오 논란과 여성 팬덤의 분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506-519, 2017.   DOI
10 David C. Oh, "K-Pop Fans React: Hybridity and the White Celebrity-Fan on YouTub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1, pp.2270-2287, 2017.
11 김남옥, 석승혜,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Journal of Korean Culture, 제37호, pp.191-226, 2017.
12 류정월, "에로스의 기호학: 팬픽(fanfic)의 기호학적 분석," 기호학연구, 제23호, pp.195-212, 2008.
13 소유정, "이토록 열렬한 마음:여성 서사의 아이돌/팬픽-읽기를 통한 나/주체-다시쓰기," 문학동네, 제27 권, 제1호, pp.1-20, 2020.
14 유진희, "팬픽:동성(성)애 서사의 여성 공간," 여성문학연구, 제20권, pp.163-184, 2008.
15 김수정,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언론정보연구, 제55권, 제3호, pp.47-86, 2018.
16 한혜원, "한국 온라인 팬픽의 인물형상화 방식,"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4호, pp.294-328, 2013.
17 김문정, 김면, "K-POP 아이돌 음반의 스토리텔링전략 사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pp.27-36, 2018.
18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강남스타일>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84-120, 2013.
19 이승목, 신재권, 이상우,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 및 아이돌 우상화가 아이돌 광고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328-338, 2014.   DOI
20 조은하, "한.일 아이돌 시스템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221-231, 2019.   DOI
21 https://archiveofourown.org/, 2020.08.15.
22 한유희, "BTS 팬덤 콘텐츠로서 아미피디아 연구 : 아이돌 팬덤에서 코스모피디아는 존재하는가," 인문콘텐츠, 제52호, pp.143-161, 2019.
23 조민선, 정은혜, "한국 아이돌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제52호, pp.223-245, 2019.
24 이재헌, 이준희, "ARG(Alternate Reality Game) 기반의 아이돌(Idol) 홍보 전략 연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13권, pp.55-67, 2015.
25 빌렘 플루서, 김성재 옮김, 코무니콜로기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6 이동연, 아이돌 , 이매진, 2011.
27 장 보드리야르, 하태환 옮김, 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
28 Ryan, Marie-Laure, Narrative Theory, Literature, and New Media , NY: Routledge, 2016.
29 요한 하위징아, 이종인 옮김,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0.
30 아즈마 히로키, 이은미 옮김,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문학동네, 2001.
31 https://youtu.be/JTE21Bd9EWA, 2020.08.15.
32 https://blog.naver.com/riverkimm/221723254508, 2020.08.15.
33 https://blog.naver.com/422minwoo/221720375601, 2020.08.15.
34 https://youtu.be/a7yr_k_kWlk, 2020.08.15.
35 Karen Hellekson and Kristina Busse, Fan Fiction and Fan Communities in the Age of the Internet : New Essays, McFarland, 2006.
36 이졸데 카림, 이승희 옮김, 나와 타자들 , 민음사, 2019.
37 남명희, "스핀오프, 컨텐츠 시대에 어울리는 속편 제작형태 제안: 이야기의 확대와 연장 개념에서 바라보는 크로스오버와 스핀오프," 영화연구, 제29호, pp.39-70, 2006.
38 박현수, "시의 지배적 특질로서 '탈맥락성'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제54권, pp.229-256, 2018.
39 방탄소년단, @BTS_twt, 2020.08.15.
40 shitty watercolour, @SWatercolour, 2020.08.15.
41 김유나, 팬픽션의 생성 구조 연구 : <스타트랙(Star Trek)>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42 https://youtu.be/_b7esGfULug, 2020.08.15.
43 https://youtu.be/0Ux5_uXqQ1, 2020.08.15.
44 https://youtu.be/OC13Cb0zldM, 2020.08.15.
45 https://youtu.be/A70oD2g3j9c, 2020.08.15.
46 Marie-Laure Ryan, Possible World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arrative Theory, Indiana University Blooming & Indianapolis Press, 1991.
47 마리 매클린, 임병권 옮김, 텍스트의 역학, 한나래,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