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538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roduction on Domestic Epidemic Movies : Focusing on The flu, Train to Busan, and Deranged  

Lee, Kang-Suk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uses a epidemic film that is being re-illuminated due to the recent appearance of COVID-19. In particular, The flu, Train to Busan, and Deranged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Epidemic Genre" in domestic disaster films, and their performance reports are different. Researcher set the pandemic film as one aspect of the genre film, and analyzed and compared three films in terms of three elements of the genre film: formula, convention, and iconography. An important element in the epidemic film was the improvement of reality through 'suspension of suspense' and 'ambiguity in the epidemic setting'. Lastly, Researcher hope the Korean film industry will develop more deeply through the "Epidemic Genre," a new genre of Korean films that has been spotlighted by the COVID-19 incident.
Keywords
Epidemic Movies; Direction of Production of Movies; COVID-19; Genre Film; Suspens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성훈, "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컨벤션 변형 연구 - 영화 "마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141-152, 2015.   DOI
2 P. Georgios, S. Savvas, A. Nikolaos, and T. Epaminondas, "Infectious Diseases in Cinema: Virus Hunters and Killer Microbe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37, No.7, pp.939-942, 2003.   DOI
3 N. Loman and G. Jennifer, Contagion: a worthy entrant in the outbreak film genre, Biochemistry on screen, 2015.
4 김지미, "[영화] 코로나19 시대, 낯선 현실과 익숙한 영화 : <컨테이젼>, <감기>, <사냥의 시간>, 찬실이는 복도 많지>," 황해문화, 제107호, pp.289-298, 2020.
5 조흡, "[조흡의 영화이야기] <감기>:영화와 질병의 지구화," 대한토목학회지, 제68권, 제5호, pp.84-86, 2020.
6 황우념, "부산행은 왜 대만 관람객에게 인기인가? 대만 관람객의 평가와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3호, pp.123-145, 2017.
7 주은우, "한국 재난 영화의 탄생과 국가적 트라우마의 반복 - 위기영화로서의 해운대의 판타지 분석 -," 사회와이론, 제33권, 제33호, pp.45-106, 2018.
8 토마스 소벅, 비비안 C. 소벅 지음, 주창규 외 옮김,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9 김재철,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문학과영상, 제14권, 제2호, pp.221-245, 2013.
10 V. Vroom, Work and Motivation, N.Y : John Wiley and Sons, 1965.
11 박미란, "1960년대 스릴러 영화에 나타난 위장된 정체와 불안의 지각 -<마의 계단>과 <불나비>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제73권, 제2호, pp.83-122, 2016.   DOI
12 김경욱, 나쁜 세상의 영화사회학: 21세기 한국영화와 시대의 증후, 서울 : 강, 2013.
13 한송희, "한국 재난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언론과 사회, 제27권, 제2호, pp.98-166,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