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223

A Study on the Effect of Professional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on  

Jung, Yeon-Jung (시민교육과 사회정책을 위한 마중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mong 809 social workers in I c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collabor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Moreover, the study has been assessed with resources and data to reliably attain the results. Accordingly, the data findings for the research was used with SPSS 25, to examine its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 and other necessary measure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autonomy, collaboration, and job satisfaction. Second, professional autonomy has directly influenced the social workers without the mediator variable on their job satisfaction. Lastly, the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autonomy had also shown decis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level.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need a sustainable strategy and advanced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autonomy to enhance and reform our current social service system.
Keywords
Professional Autonomy; Job Satisfaction; Collabor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소정, 사회복지서비스조직 일선종사자의 전문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 유범상 정연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3.
3 박병현, 최송식, 황보람, "한국사회복지정책의 변화과 정 분석: 사회진보의 결과인가 사회통제의 결과인가?," 사회복지정책, 제29호, pp.169-194, 2007.
4 김형용,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와 사회복지관-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찾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5, No.1, pp.169-195, 2013.
5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위험관리전략: 복지국가의 재설계," 사회보장연구, Vol.24, No.1, pp.1-26, 2008.
6 백승호, 안상훈, "한국 복지국가의 구조와 성격에 관한 비교사회정책연구-공공사회복지지출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35, pp.337-362, 2007.
7 정연정, "한국 사례관리 실천의 딜레마 : 상이한 진단과 대안 모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6, No.1, pp.55-88, 2014.   DOI
8 박영희, 전문상담교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구 : 전문상담교사가 지각하는 자율성과 소속 기관장의 리더십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오정석, "지적분야 종사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분석," 한국지적학회지, 제20권, 제2호, pp.83-98, 2004.
10 송경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직무특성과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남대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2.
11 최보윤, 입학사정관의 직무특성과 역할지각이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조경호, "한국공무원의 조직몰입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선형구조 모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Vol.27, No.4, pp.1203-1225, 1993.
13 옥원호, 김석용,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4호(2001 겨울), pp.355-373, 2001.
14 정연정,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연구, 인천광역시 인천복지재단, 2019.
15 송재준, 김문중, "팀 협업과 정보교류체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Vol.27, No.3, pp.45-72, 2013.
16 김선완, 구성원간 협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7 최성광, 하명신, "물류기업의 관계특성이 협업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7, No.3, pp.13-39, 2011.
18 이혜경, "민간 사회복지부분의 역사와 구조적 특성,"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소 동서연구, Vol.10, No.2, pp.26-48, 1998.
19 김영종, "한국 사회복지에서의 공공과 민간 부문의 협력체계,"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6, No.1, pp.1-34, 2004.
20 김순양, "일선 복지행정 전문 관료의 재량행위 분석: 사회복지관 시설의 위탁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Vol.36, No.2, pp.291-312, 2002.
21 정윤수, "비영리단체에 대한 정부지원 분석," 정부학연구, Vol.6, No.2, pp.129-154, 2000.
22 주재현, "정부와 자원조직간 협력관계: 종합사회복지관 위탁운영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24, pp.149-186, 2004.
23 P. E. Spector,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Sage publications, 1997.
24 E. A. Locke and G. P. Latham,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Psychological Science, Vol.1, No.4, pp.240-246, 1990.   DOI
25 김홍기,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1992.
26 정광호, 김태일,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동패널 연구 (KLIP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Vol.12, No.3, pp.1-29, 2003.
27 신유근, 인간존중의 경영, 서울: 다산출판사, 1997.
28 유기현, 조직행동론, 서울: 무역경영사, 1983.
29 F. J. Landy, "Performance rat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87, No.1, p.72, 1976.   DOI
30 R. M. Steer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2, pp.46-56, 1977.   DOI
31 민원홍, 이형섭, 김현민, "보호관찰관의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보호관찰학회, Vol.10, No.2, pp.189-225, 2010.
32 이서영, 임효연,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pp.238-247, 2013.   DOI
33 E. R. Lai, Collaboration: A literature review, Pearson Research Report, 2, 2011.
34 R. M. Linden, Working across boundaries: Making collaboration work in governmen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2003.
35 M. McGuire,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 Assessing what we know and how we know i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6, pp.33-43, 2006.   DOI
36 B. Gray, Collaborating: Finding common ground for multiparty problem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9.
37 송재준, 김문중, "조직의 협업모형설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국제경상교육연구, Vol.9, No.4, pp.384-386, 2012.
38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Organization, Land McNally, 1990.
39 신은혜, 정혜숙, 김아래미, "아동학대 보호현장의 전문직간 협력 효과와 학대피해아동 지원 업무 실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9, No.3, pp.209-233, 2017.   DOI
40 A. A. Lee, S. N. Lee, and M. Armour, "Drivers of change: Learning from the lived experiences of nursing home social workers," Social work in health care, Vol.55, No.3, pp.247-264, 2016.   DOI
41 진창남, 사회자본이 지역복지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
43 R. H. Hall,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3, No.1, pp.90-104, 1968.
44 W. A. Anderson and P. Y. Martin,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in the Social Service: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Conflict and Congruity,"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Vol.5, No.2, pp.33-50, 1982.   DOI
45 김유경, 사회복지종사자의 보수수준 및 근로여건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 2017.
46 이향수, 이성훈, "민간기업사례분석을 통한 협업환경에 대한 연구 : 공공부문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9, pp.1-7,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