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636

A Study on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Residing in Shelter  

Lee, Jeoung-Sil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essence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institutionalized after childbirth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unmarried mothers from October 1, 2016 to February 2017 and this is qualitative research using Cola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The living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institutionalized after childbirth had 15 themes in 4 theme clusters: 'childbirth and parenting,' 'living in women's refuge,' 'becoming independent as proud mother,' and 'disentangled thread.' Conclusion: After childbirth, unmarried mothers experienced psychological pressure from the need to cope with lonely and wearing reality by themselves but struggled to overcome the reality together with their child. Unmarried mothers hoped to live the life they chose proudly and happily together with their child.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give residential and environmental support to unmarried mothers in pursuit of their stable living and to change the awareness in the whole society with the aim of removing negative social attitude and discrimination, accepting differences, and living together.
Keywords
Unmarried Mothers; Delivery; Live; Qualitative Resear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 배영미, "청소년 미혼모의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여성연구소 연구논총, 제10권, 제1호, pp.51-88, 2001.
3 윤미현, 이재연, "한국 10대 미혼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제23권, 제3호, pp.149-169, 2002.
4 이정실, "출산 전 양육비혼모 삶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57-668, 2018.   DOI
5 석지효, 사회보장법적 관점에서의 미혼모 보호법제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 L. F. Berkman, Y. Zheng, M. M. Glymour, M. Avendano, A. Borsch-Supan, and E. L. Sabbath, "Mothering alone: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later-life disability and health among women who were single mothers," Journal of Epidemiol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69, No.9, pp.865-872, 2015.   DOI
7 T. Crosier, P. Butterworth, and B. Rodgers,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single and partnered mothers. The role of financial hardship and social support,"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Vol.42, No.1, pp.6-13, 2007.   DOI
8 C. Campbell-Grossman, D. B. Hudson, K. A. Kupzyk, S. E. Brown, K. M. Hanna, and B. C. Yates, "Low-Income, African American, Adolescent Mothe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J Child Fam Stud, Vol.25, No.7, pp.2306-2314, 2016.   DOI
9 M. Subramaniam, R. O. Prasad, E. Abdin, J. A. Vaingankar, and S. A. Cong, "Single mothers have a higher risk of mood disorders," ANNANS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Vol.43, No.3, pp.145-151, 2014.
10 M. Scharte and G. Bolte, "Children of single mothers: health risks and environmental stress," Gesundheitswesen, Vol.74, No.3, pp.123-131, 2012.   DOI
11 정경순, "십대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 경험,"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4권, 제2호, pp.186-194, 2008.
12 통계청,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2015.
13 여성가족부,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조사, 서울, 2010.
14 김혜영, 안상수, "미혼부모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인식," 제52차 여성정책 포럼: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과 지원방안, 2009.
15 김은지, 2018년 한부모가족 태조사 사전 연구, 연구보고 2017-36, 2017.
16 박혜경, 고문희, "시설거주 청소년 미혼모의 엄마 되어가는 과정의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지, 제2권, pp.1-22, 2017.
17 양민옥,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이용우,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사회정책학회지, 제3권, pp.97-115, 2017.
19 여성가족부, 미혼모.부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 안내, 서울, 2016.
20 이은주, "미혼모 아동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아동과 권리, 제17권, 제4호, pp. 625-642, 2013.
21 이준일, "미혼모 관련 법제도의 분석과 평가," 안암법학, 제42권, pp.1-28, 2013.
22 권태균, 이금희, 강은별, 문정이, 정주애, "시설에 거주하는 미혼모에게 적용된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위한 중재의 통합적 문헌고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제16권, 제1호, pp.45-54, 2019.   DOI
23 성정현, 김지혜, 신옥주, "미혼모의 임신출산위기 경험과 위기해소를 위하 지원시스템 개선 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7권, 제2호, pp.277-309, 2015.   DOI
24 한진숙, 문영숙, "한국 미혼모의 임신 체험 연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5권, 제2호, pp.206-223, 2002.
25 김지혜, "미혼모의 현황과 정책 과제," 지역사회, 제69권, pp.100-106, 2013.
26 임해영, 이혁구,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연구-해석학적 근거이론방법,"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3호, pp.35-69, 2014.
27 성정현, 김지혜, 신옥주, "미혼모의 임신출산위기 경험과 위기해소를 위한 지원시스템 개선 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지, 제17호, 제2호, pp.277-309, 2015.
28 이은주, 최규련, "시설미혼모의 양육/입양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47-260, 2014.   DOI
29 강라현, 박정란, 황세인, "지역사회거주 양육 미혼모의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생애학회지, 제9권, 제3호, pp.95-113, 2019.   DOI
30 허명숙,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미혼모의 자녀 양육경험,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1 김혜영,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 차별의 기제와 특징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6권, 제1호, pp.7-41, 2013.
32 방경숙, 김성재, 정예슬, 송민경, 이금희, 임지희, "국내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분석," 스트레스연구, 제27권, 제4호, pp287-297, 2019.
33 김희주, 권종희, 최형숙,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제36권, pp.121-155, 2012.
34 H. M. Mikkonen, M. K. Salonen, A. Hakkinen, M. Olkkola, A. K. Pesonen, K. Raikkonen, C. Osmond. J. G. Eriksson, and E. Kajantie, "The lifelong socioeconomic disadvantage of single-mother background - the Helsinki Birth Cohort study 1934-1944," BMC Public Health, Vol.16, No.1, p.817, 2016.   DOI
35 안경천, "시설거주미혼모에 대한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 제5권, pp.223-223, 2018.
36 이동귀, 강승림, 박종철, 이수지, 손하림, "시설에서 자립을 앞둔 청소년 미혼모의 불안과 욕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24권, 제2호, pp.105-124,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