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368

A Study on War Documentary Photography : Focusing on the D-DAY Photo of 'Robert Capa'  

Im, Sang-Wuk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Yang, Jonghoon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Lee, Sangeun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unctum' and 'studium' in war documentary photography work on the audience through 'D-DAY' photographs taken by Robert Kappa and a U.S. army photographer. As a method of research,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audience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punctum and studium experiences. Studies have shown that audiences feel a greater punctum experience in war documentary photographs of 'Robert Capa' than those of U.S. army photographers. Even if the same situation was taken in the same place, the audience could confirm that the photo could be a means of distortion because it did not show reality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hotographer who took 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distortion of war documentary photography and the audience's punctum experience by examining the audience's experience of war documentary photograph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Keywords
Punctum; Studium; Robert Capa; D-DAY; Documentary Phtograph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지현, 조재경, "디지털 이미지시대의 푼크툼(punctum) 표현방법 연구," 한국디지인문화학회지, Vol.23, No.1, p.139, 2017.
2 이광수, 사진인문학, 알렙, 2015.
3 그레이엄 앨런, 문제적 텍스트 롤랑 바르트, 송인영(역), 앨피, 2006.
4 최윤필, 종군 사진작가 로저 펜튼의 전장, 한국일보, 2019. 8. 8.
5 J. Paul Getty Museum, https://www.getty.edu/museum/, 2020. 6. 21검색
6 이재구, 예술로서 다큐멘터리사진 미학에 관한 연구: 워커 에반스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8).
7 박상수, 포토저널리즘의 이해, 나남, 2001.
8 김영철, 로버트 카파와 카파이즘, 교수신문, 2013. 9. 30.
9 C. Brothers. War and Photography, New York, Routledge, 1997.
10 송수정, "전쟁의 속도에 반(反)하는 전쟁사진의 스펙터클화," 한국영상문화학회, No.25, p.143, 2014.
11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https://www.marines.mil/Photos/2020. 6. 21검색
12 Magnum Photos website, https://www.magnumphotos.com/, 2020. 6. 21검색
13 장 다비드 모르방 등, 로버트 카파 : 살아 남은 열한장의 증언, 2018.
14 http://165spc-ww2pr65ir.weebly.com/
15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https://www.archives.gov/research/military/ww2/photos, 2019. 10. 26 검색
16 조용환,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17 Guba & Lincol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1994. 최욱 회, 질적연구 핸드북, 아카데미프레스, 2014.
18 박상원, 다큐멘터리사진에서 푼크툼 스투디움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9 김성민, 포토저널리즘의 몇 가지 단상, 사진강좌, 2006.
20 이영준, 사진의 담론과 역사의 담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999(12).
21 전갑생, "한국전쟁 포로와 사진 : '동양공산주의자' 인종 프레임과 폭력성 재현," 이화사학연구, 제56권, 제56호, pp145146, 2018.
22 한현석,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천황가의 이미지와 제국주의 선전," 일본문화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제67호, pp.9093, 2018.
23 정의진, "정근식,강성현 저,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국제비교한국학회, 제24권, 제2호, pp.275276, 2016.
24 심진호, "'가드너의 남북전쟁 사진집' 에 나타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매체성," 한국사상과 문화, 제79권, 제79호, pp. 510512, 2015.
25 김화자,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진실: 현상학적.정신분석적 이해, 철학과 현상학 연구," 한국현상학회, 제70권, 제70호, pp.262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