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352

How Did the Press Report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Framing and Signifying Strategies  

Park, Young Heum (협성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Chung, Je Hyuk (KBS 보도본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whether the South Korean press reported the issue of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a way consistent with their journalistic value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rame analysis and textual analysis for the articles of three press(Chosun Ilbo, Hankyoreh and KBS) from the three major branches of conflict (Korea's Supreme Court's ruling on forced labor compensation in October 2018, the Japanese government's decision to regulate exports in July 2019 and the Korean government's decision to end GSOMIA in August 2019) to one week. There were many superficial reports of simply relaying conflicts around the occurrence and outcome of events, and there were few reports that analyzed the context in depth or suggested alternatives. And partisan reporting, which is cited as a key issue in the Korean journalism, has been strongly revealed in the midst of a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 national emergency situation.
Keywords
Journalism; Korea-Japan Relationship; Japan; Frame Analysis; Textual Analysis; Partisanship;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3rd Ed, Sage. 2009.
2 이완수, 배재영, 박경우, "아베 내각의 일본 과거사인식 문제에 대한 한국 언론의 시각: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에 나타난 보도 프레임의 역동적 과정,"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9호, pp.104-138, 2016.
3 채영길, 장시연,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주요 언론보도 경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446-458, 2018.   DOI
4 E. Goffman, Frame Analysis, New York: Free Press, 1974.
5 T.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Unmaking of the New Left,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6 W. R. Neuman, M. R. Just, and A. N. Crigler, Common Knowledge: News and the Construction of Political Mean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7 W. A. Gamson and A. Modigliani,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A constructionist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5, pp.1-37, 1989.   DOI
8 G. Tuchman,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The Free Press, 1978.
9 R. M. Entman,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No.4, pp.51-58, 1993.   DOI
10 최믿음, 태보라, "국내 신문의 스캔들 보도 프레임 분석: 실재의 사회적 구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98-109, 2017.   DOI
11 S. Iyenger, Is Anyone Responsible: How TV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12 최수진, "한류에 대한 미.중 언론보도 프레임 및 정서적 톤 분석: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505-532, 2014.
13 B. van Gorp, "Strategies to take subjectivity out of framing analysis," in P. D'Angelo, & J. A. Kuypers, (eds.). Doing News Framing Analysis: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Routledge, pp.84-109, 2010.
14 H. A. Semetko and P. M. Valkenburg, "Framing European politics: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0, pp.93-109, 2000.
15 오대영, "한국과 일본신문의 한일강제병합 100주년 뉴스 프레임 차이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1호, pp.140-168, 2011.
16 이준웅, 황유리,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 시스템,"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3호, pp.232-292, 2004.
17 반현, 우형진, 김성해, 미디어에 나타난 FTA: 한미일 언론의 한미 FTA 보도 분석,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7.
18 김희범, 우형진, "한국과 일본 신문의 '일본군 위안부' 보도 프레임 유형 특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1권, 제2호, pp.81-123, 2016.
19 유승관, 강경수, "한국과 일본 신문에 나타난 상대국 관련보도 특성에 대한 연구,"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제31호, pp.275-307, 2013.
20 박형준, "한일 신문의 프레임과 주관적 표현 비교를 통한 갈등 조장 여부 분석,"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7-66, 2014.
21 김동윤, 오명원, "한일 언론과 일본군위안부: 보도양상 및 미디어 프레임 분석," 일본근대학연구, 제50호, pp.141-168, 2015.
22 김동윤, 이현주, 정연주, "한일 언론의 상대국 국가정상에 대한 보도양상과 이미지 프레임 연구: 언론 미디어의 국적과 이념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제51호, pp.239-268, 2016.
23 양정혜, "대중매체의 의미화 전략과 헤게모니-엘리트 갈등에서 언론의 역할에 대한 사례연구," 언론과사회, 제29권, pp.43-84, 2000.
24 A. McKee, Textual Analysis: A Beginner's Guide, Los: Sage, 2003.
25 T. Lindlof and B. C. Taylor, Qualitative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3rd Ed. Sage, 2011.
26 김애린, 임혜빈, 장한슬, 박주화, 기승연, 정윤정, 김수진, 신주영, 이기형, "헬조선 현상의 특징과 함의 분석하기: 보수언론과 진보언론 간의 재현작용에 대한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0호, pp.40-114, 2016.
27 윤태진, 질적 연구방법의 복합적 활용, 한국언론정보학회(편),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서울: 컬처룩, pp.489-51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