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030

The Effects of One Person Media Broadcasting Use Motivation and Social Viewing on Consumer Brand Attitudes,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Namgung, Jin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Lee, Jin Kyun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New media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transmitting, producing, editing, and sharing video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ne person media broadcasting use motivation and social viewing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brand,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fond that motives such as differentiation,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viewers, mutual interaction with BJ, information-seeking, and new fun-seeking positively affected brand attitudes. Also, the same motives except fun-seeking positively affected brand engagement. Only mutual interaction with BJ and information-seeking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Meanwhile, para-social relationships, social presence, and subjective norm positively influenced on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each. Also, para-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pres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brand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in detail.
Keywords
One Person Media Broadcasting; Use Motivation; Social Viewing; Brand Attitude; Brand Engagement; Purchase Inten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해원, 강혜원, 백지연,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9권, 제2호, pp.49-59, 2018.
2 안민지, 1인 미디어 전성시대, 월간샘터, 2017.
3 안진, 최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pp.5-53, 2016.
4 한명우,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자들의 시청만족도 및 재시청의도에 관한 연구: 시청 동기,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 정재민, 김영주, "노인층의 텔레비전 이용행태와 충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3호, pp.172-200, 2007.
6 김종무, "인터넷 라이브 방송 시청 동기가 시청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41-152, 2017.
7 반옥숙, 박주연, "인터넷 개인 방송 지속 이용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pp.59-95, 2016.
8 하평평, 인터넷 개인 방송의 시청자 특성과 시청 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명 연예인의 인터넷 개인 방송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9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식 조사, 2017.
10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92-225, 2010.
11 https://news.joins.com/article/23297541, 2019. 11.04.
12 https://www.sedaily.com/newsview/1kxmigwvnu, 2019.11.04.
13 진보래, 지혜원, "드라마 시청은 로맨스에 대한 환상을 조장하는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09-109, 2012.
14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어린이⋅청소년 인터넷 개인방송 이용실태조사, 2018.
15 D. Horton and R. Richard Wohl, "Mass communication and para-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s on intimacy at a distance," Psychiatry, Vol.19, No.3, pp.215-229, 1956.   DOI
16 권상희, 조은정, "TV프로그램 장르별 의사사회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51-101, 2009.
17 배진아, 2018 미디어 산업 보고서 시즌 2, 한국전파진흥협회, 2018.
18 J. Short, E. Williams, and C.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New York: Wiley, 1976.
19 박형근, 온라인 개인 방송의 상호작용성, 의사인간관계, 사회적 실재감, 대화 패턴, 이용시간이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0 L. J. Marks and M. A. Kamins, "The use of product sampling and advertising: Effects of sequence of exposure and degree of advertising claim exaggeration on consumers' belief strength, belief confide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5, No.3, pp.266-281, 1988.   DOI
21 최영문, 한상설, "SNS 구전정보특성이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사회적 유대관계의 조절효과," 마케팅논집, 제25권, 제3호, pp.131-147, 2017.
22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pp.179-211, 1991.   DOI
23 D. Jimenez-Castillo and R. Sanchez-Fernandez, "The role of digital influencers in brand recommendation: Examining their impact on engagement, expect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49, pp.366-376, 2019.   DOI
24 김재휘, 김연정, "사이버 공간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지각과 공격행동,"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0권, 제3호, pp.83-101, 2004.
25 이윤재, "브랜드의 SNS 활용에 있어서 사회적 실재감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뢰와 즐거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제33권, 제2호, pp.97-121, 2018.
26 B. Lu, W. Fan, and M. Zhou, "Social presence, trust, and social commerce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resear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6, pp.225-237, 2016.   DOI
27 심홍진,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과 동류집단압력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8권, 제3호, pp.6-52, 2012.
28 박현선, 김상현, "기술, 개인, 상황 특성이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6호, pp.105-115, 2018.   DOI
29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on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0.
30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 research," Reading, MA: Addison Wesley, 1975.
31 심홍진,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이론, 제8권, 제3호, pp.6-52, 2012.
32 하충룡, 이유경, "소비자의 문화성향과 주관적규범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제34권, 제2호, pp.247-271, 2009.
3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언론수용장 의식조사, 2016.
34 A. Andrew and A. Mitchell, "The effect of verbal and visual components of advertisements on brand attitudes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1, pp.12-24, 1986.   DOI
35 성다혜, 이형석, "인터넷 개인방송 BJ와 시청자 간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거리감, 전문성이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설득지식모델을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연구논문), 제11권, 제4호, pp.87-120, 2018.
36 김설예, 유은, 정재민,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 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제19권, 제3호, pp.57-84, 2016.
37 DMC MEDIA, 2018 1인 방송 시청 행태, 2018.
38 http://pnnews.co.kr/news/view.php?idx=540, 2019.08.31
39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인터넷 개인방송 및 유튜버 관련 조사, 2018.
40 오대영, "수용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이용 동기, 성격이 유튜브의 장르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22-162, 2017.
41 이지혜, MCN의 비즈니스 전략과 이에 따른 기회와 위협, KCA 트렌드리포트, 2018.
42 박상철, 이신형, "샌드박스네트워크 MCN(Multi-Channel Network) 시장 진입 전략," 한국경영학회, 제23권, 제3호, pp.99-123, 2019.
43 하평평, 인터넷 개인 방송의 시청자 특성과 시청 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명 연예인의 인터넷 개인 방송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4 손승혜, 박주연, 김해원, 반옥숙, 이혜민, "인터넷 개인방송 콘텐츠의 규제 정책에 대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분석: 정책 평가와 자율 구제 실현 방향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103호, pp.137-167, 2018.
45 최명호, "개인방송 서비스 동향과 전망,"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33권, 제4호, pp.64-70, 2016.
46 고찬수, "MCN(Multi Channel Network)의 약진, 성장 가능성 및 미래 예측," 한국방송협회, 제404호, 2016.
47 김기윤, "1인 미디어의 산업적 특성과 이용 현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술 활용 진화의 관점에서 MCN 사업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16권, 제1호, pp.213-248, 2017.   DOI
48 조윤희, 임소혜, "실시간 인터넷 1인 방송의 상호작용성이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 동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105호, pp.82-117, 2019.
49 한영주, 하주용, "미디어 이용 동기, 개인적 성향, 인지된 개혁의 특성이 1인 방송 시청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과 개혁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107호, pp.152-190, 2019.
50 유현주, 김헌, "1 인 미디어 콘텐츠의 인플루언서 요인이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45-59, 2020.
51 석보라, 김활빈, "유튜브 (YouTube) 1 인 미디어 뷰티 채널의 이용 동기가 채널 평가,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1권, 제4호, pp.168-198, 2019.
52 최윤정, "예능 프로그램 수용 방식의 변화: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과 수용자 공중 등장,"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2호, pp.7-37, 2015.   DOI
53 E. Katz, "Mass communications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An editorial note on a possible future for this journal,"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Vol.2, pp.1-6, 1959.
54 오대영, "수용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이용 동기, 성격이 유튜브의 장르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22-162, 2017.
55 서희정, 2018 해외 미디어 동향: 크리에이터 전성시대, 진단과 전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56 이영주, 송진,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용 특성과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Vol.96, pp.68-103, 2016.
57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간의 이용 동기와 만족 비교,"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1호, pp.5-32, 2013.
58 이윤우, 노원희, 정연승, "브랜드 SNS의 특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매개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제23권, 제3호, pp.53-76, 2015.
59 고전미, 신지예, 고은주, 채희주, "패션 브랜드 이미지 기반 SNS 가 플로우,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즐거움 감정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6권, 제6호, pp.908-920, 2014.   DOI
60 안광호, 이지은, 전주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형성의 이중경로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5호, pp.67-89, 2009.
61 최윤슬, 유승엽, "웹툰 인게이지먼트 구성요인이 PPL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PPL침입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7권, 제6호, pp.241-266, 2016.
62 A. M. Muniz and T. C. O'guinn, "Brand commun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7, No.4, pp.412-432, 2001.   DOI
63 주선희, 고보라, "1인 미디어콘텐츠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기성 추구성향 상호작용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167-176, 2018.   DOI
64 N. Park, K. F. Kee, and S. Valenzuela,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outcomes," Cyberpsychol Behavior, Vol.12, No.6, pp.729-733, 2009.   DOI
65 T. F. Wagner, C. V. Baccarella, and K. I. Voigt, "Framing social media communicati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brand post appeals on user interaction," European Management Journal, Vol.35, No.5, pp.606-616, 2017.   DOI
66 D. R. Glerum, The attitude-engagement model within-persons: An ESM study of attitudes and behavioral engagement,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Doctoral Dissertation, 2017.
67 Y. W. Ha, M. C. Park, and E. H. Lee, "A framework for mobile SNS advertising effectivenes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ur perspective,"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33, No.12, pp.1333-1346, 201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