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7.223

Investigating the Trends of Research for the Age of Youth at 20s  

Bang, Mi-Hyun (숙명여자대학교 인력개발정책학과)
Lee, Young-Min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articles for the age of youth at 20s during 10 years through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In results, 'incomes', 'program', 'business start-up', and 'culture' were selected as main keywords, and the research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six topics, which wer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values, unstable lif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religious views, and business start-up support services. Additionally, we found the youth at 20s had higher rate of efficacy for digital technology, pursued efficient consumption of digital information, showed meaningful and athetical patterns of consumption, tried to search for their identity, and showed realistic action in daily. Finally, we raised some questions for value gap among aging groups, in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income inequality and suggested long-term youth policies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of youth at 20s.
Keywords
Those in Their 20s; Topic Modeling; Keyword Network Analysis; Research Tren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범일, 송민, 조화순,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신문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15-334, 2013.   DOI
2 안정은, 한국의 세대투표와 미디어의 영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 성동규, 김인경, "다중매체 이용실태에 따른 광고전략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47-284, 2011.
4 이혜경, 고은영,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45-156, 2015.
5 황성원, 일상화된 연예인 소비 행위의 문화 정치,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최재붕,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포노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7 김나경, 2011년 대한민국 2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 LGERI리포트, 2011.
8 이영민, "20대의 정치의식 특성과 정치성향의 형성경로," 사회연구, 제11권, 제1호, pp.9-43, 2010.
9 김슬기, 전범수, "20대 문화 소비의 다양성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762-771, 2016.   DOI
10 대학내일 20대연구소,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0, 위즈덤하우스, 2019.
11 사이람,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교육 자료, 2020.
12 이주영, 통일의식의 세대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이근 외 7인, 디지털사회 2.0, 21세기 북스, 2019.
14 이지은, "에듀테크로 촉발되는 고등교육의 위기와 기회," Korea Business Review, 제24호, pp.151-171, 2020.
15 구교준, 이용숙, "뉴노멀 시대의 경제환경과 다양성," 정부학연구, 제22권, 제2호, pp.27-50, 2016.
16 이찬영, 조세형, 류재준, "광주지역 청년층 인재유출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지역개발연구, 제48권, 제1호, pp.117-142, 2016.
17 김재홍, "대졸자의 취업이동과 지역인재유출," 힌국지방자치연구, 제19권, 제4호, pp.69-90, 2018.
18 이호건, "한국 에듀테크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제12권, 제1호, pp.99-116, 2019.
19 stdict.korean.go.kr
20 김영선, "연령집단구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8호, pp.279-305, 1999.
21 Wohl, Robert, The generation of 1914,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2 주경희, 김주현, 정순둘, 임병우,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와 연령통합 인식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3호, pp.71-93, 2017.
23 홍일선, "세대간 정의와 평등," 憲法學硏究, 제16권, 제2호, pp.453-484, 2010.
24 이호영, 조성은, 오주현, 김석호, 이윤석, 디지털세대와 기성세대의 사고 및 행동 양식 비교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2.
25 예지은, 진현, "신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2권, 제2호, pp.67-86, 2009.
26 지승학, "Z세대를 위한 주체성 담론 고찰," 영상문화, 제33호, pp.127-148, 2018.
27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제1권, 제31호, pp.10-34, 2009.
28 최인영, 최혜경,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81-109, 2009.
29 왕정하, 청년층 좋은 일자리와 삶의 질,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0 정수남, 김정환, "잠재적 청년실업자'들의 방황과 계급적 실천," 문화와 사회, 제23호, pp.195-264, 2017.
31 안정임,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69-78, 2014.   DOI
32 임홍택, 90년생이 온다, 웨일즈북스, 2018.
33 유계숙, 강민지, 윤지은,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가족과 문화," 제30권, 제3호, pp.42-69, 2018.
34 김가영, "밀레니얼(Millennial)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09-230, 2019.
35 이종원, 한국사회 20대 청년의 생활인식 실태와 정책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
36 고민좌, 김혜숙,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 배경변인과 가족관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21권, 제2호, pp.301-322, 2016.
37 진미정, 한준, 노신애,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가족과 문화, 제31권, 제1호, pp.166-18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