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6.064

Analysis of Love Narratives and Discourse of Web Drama : Focusing on the Web Drama  

Tae, Bo-Ra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wanted to examine what narratives and discourse were being formed in web drama contents young generations were going crazy abou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ove epics and to know what narratives were being formed based on narrative structures and comments, this research specifically used the web drama produced up to the season 4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web drama history with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views. It was found that the narratives of the drama composed the romantic relationships of four couples as independent episodes, and realistically highlighted separations and reunions of those couples, and suggested concrete methods to solve agonies and conflicts they would experience in such relationships. And, in user comments, there emerged relational narratives confusing friendship and love between partners of opposite sex, narratives regarding the third person as enemy, and narratives on typical sex roles in such romantic relations. And, the culture seeking subjective love style and shar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love histories also appeared.
Keywords
Web Drama; Love Narrative; Discourse Analysis; Loveplayli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은하,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이야기구조와 남녀주인공의 특성: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48-59, 2014.   DOI
2 김정애, "<겨울나무 구해준 도령>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특성과 긍정적 연애서사의 가능성," 고전문학과 교육, 제19호, pp.31-57, 2010.
3 김수아, "드라마에 나타난 사랑과 분노: 아침 일일 연속극 내러티브와 여성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7권, 제1호, pp.133-167, 2014.
4 김지혜, "TV드라마에 나타난 연애 각본의 변형과 젠더/섹슈얼리티 재현에 대한 연구," 젠더와 문화, 제7권, 제2호, pp.7-40, 2014.
5 백선기, 미디어 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6 P. Brian, Discourse analysis, Bloomsbury, 2012.
7 N. Fairclough,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8 N. Faircl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ongman, 1995.
9 정재철,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소통학보, 제28권, pp.297-322, 2015.
10 김은성, 강지영, "새로운 장르로서 웹드라마의 가능성 고찰-장르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69-83, 2016.
11 류재형, "웹드라마 <오구실>의 내레이션 기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399-413, 2018.   DOI
12 박수철, 반옥숙, 박주현,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2015.
13 김동하, 남정숙, "웹드라마의 등장과 한국 포털의 대응전략-네이버의 영상 서비스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3권, 제3호, pp.35-50, 2015.
14 차동민, 성정환, "온라인 동영상 시청 플랫폼의 정보구조 탐색-웹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135-143, 2019.   DOI
15 김미라, 장윤재,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98-330, 2015.
16 김은성, 강지영, "새로운 장르로서 웹드라마의 가능성 고찰-장르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69-83, 2016.
17 정지윤, 웹드라마의 부상과 모바일 콘텐츠로서의 가치, KT 경제경영연구소, 2014.
18 문선영, "웹으로의 이동과 확장, 최근 학원물 드라마의 경향," 한국극예술연구, 제62호, pp.95-122, 2018.
19 강여경, 양옥빈, 임성준 "한국 웹 드라마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략경영연구, 제21권, 제3호, pp.1-28, 2018.
20 유세경, 김명소, 이윤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동기와 태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245-288, 2004.
21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2 김인식, "롤랑 바르트의 초기 기호학: 바르트의 기호학적 모험1," 기호학연구, 제1권, 제1호, pp.39-61, 1995.
23 김지운, 방정배, 정재철, 비판 커뮤니케이션 비판이론.정치경제.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4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5 전경란,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63-489, 2015.
26 정윤경, "웹드라마의 선택 요인과 소비 집중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28권, 제1호, pp.53-85, 2016.   DOI
27 C. S. Lee, "Web Series, YouTube, and Politics: Affective and Emotional Dimensions of WIGS Lauren's User Comments," Social Media+Society, Vol.5, No.1, pp.1-12, 2019.
28 S. Kruger and G. C. Rustad, "Coping with Shame in a Media-saturated Society: Norwegian Web-series Skam as Transitional Object," Television & new media, Vol.20, No.1, pp.72-95, 2019.   DOI
29 M. Tofler, C. Batty, and S. Taylor, "The comedy web series: Reshaping Australian script development and commissioning practices," The Australasian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8, No.1, pp.71-84, 20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