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6.623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ime Use in Leisure Activity and Social Gathering of the Youth - Focused on the Effects of Engaging Role Types of the Youth -  

Joung, Eun-Hee (한국보건사회연구원)
Joo, Eun-Sun (경기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time use in leisure and social gathering activiti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ngaging role types of the youth, for example housekeeping and care giving, or working on the paid job are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time use in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 factors related to time use in social gathering activities are the engaging role types of youth as well as the socializing opportunity. Compared to the other role types of the youth, the youth who are preparing for a job and is not engaged in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NEET) spend more time in media leisure, travel and cultural activities, sports and reports activities, however spend less time in social gathering compared to students. The youth who have a job spend the least time in all of the leisure activities except trave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a weekend. Policy should remove the barriers in leisure activities and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socializing.
Keywords
The Youth; Leisure Time; Social Gathering Time; Role Type; Barrier Factors; Opportunity Facto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재명, 류재린, 김균, "관계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사회경제평론, 제46권, pp.103-141, 2015.
2 김기헌, 하형석, 신인철, 청년의 사회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3 황서연, "청년의 나이는 몇 살일까," 위클리펀치 581,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7.
4 정해식, 김성아,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제227호, pp.75-88, 2015.
5 김정운, 이장주,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5, 2005.
6 이려정,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대학생활만족 연구: 대학생의 일상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2권, 제5호, pp.119-135, 2010.
7 차승은, "여가시간, 얼마나 움직이십니까?: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 분석," 여가학연구, Vol.15, No.1, pp.1-24, 2017.
8 박성익, 류장수, 김종한, 조장식,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4, pp.853-86, 2017.
9 구재선, 서은국,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43-166, 2011.   DOI
10 이명우, 홍윤미, 윤기웅, "여가활동이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 논총, 제30권, 제2호, pp.266-289, 2015.
11 강은주, "청년 1인가구의 여가 생활시간,"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211-211, 2018.
12 M. Csikszentmihalyi, "Activity and Happiness: Towards a science of occup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Vol.1, No.1, pp.38-42, 1993.   DOI
13 J. Gershuny,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0.
14 진미정,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제20권, 제3호, pp.187-212, 2008.
15 R.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16 이진숙, 이윤석, "비혼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한국인구학, 제37권, 제4호, pp.1-24, 2014.
17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개요, 통계청, 2015.
18 염주희, 정홍원, 최준영, 손정렬, 권규상, 빈곤층 라이프스타일 분석 및 복합적 커뮤니티케어 제공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9 서지원, "맞벌이가정의 시간사용 실태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87-103, 2015.
20 John. F. McDonald and R. A. Moffitt, "The Uses of Tobit Analysi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62, No.2, pp.318-321, 1980.   DOI
21 A. C. Cameron and P. K. Trivedi,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Stata Press Publication, College Station, Texas, 2009.
22 W. H. Green, Econometric Analysis (Third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997.
23 http://kosis.kr
24 권혁철, 김상문, "노인의 사회적 교제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1권, 제3호, pp.121-141, 2017.
25 차승은,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 한국인구학, 제34권, 제2호, pp.65-90, 2011
26 통계청,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 분석: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중심으로," 2012.
27 Unter, Lynette and Jerome B. Kerman, "On the Meaning of Leisure: An Investigation of Some Determinan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No.4, pp.381-392, 1983.   DOI
28 류재린, "관계재가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3권, 제3호, pp.29-57, 2017.
29 김균, "이스털린 역설과 관계재". 사회경제평론, 제42권, pp.19-48, 2013.
30 B. Bunger, "The demand for relational good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 Vol.57, pp.177-198, 2010.   DOI
31 김진욱, 고은주,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 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2호, pp.135-161, 2015.
32 김미영, 박미려,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시간빈곤 수준과 삶의 질: 개인유지시간을 기준으로 한 시간빈곤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제55권, 제1호, pp.45-55, 2017.
33 S. E. Iso-Ahola,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Brown, 1980.
34 박예은, 윤미, 이예솔, 이효진, 정익중, "시간빈곤이 일가족양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취학자녀를 둔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2호, pp.35-56, 2016.
35 노혜진,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2호, pp.71-102, 2018.   DOI
36 J. Firestone and B. Shelton, "An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Women's Work on Available Leisure Time," Journal of Family Issues, Vol.9, No.4, pp.478-495, 1988.   DOI
37 J. B. Nash, Philosophy of Recreation and Leisure, W.C. Brown, 1960.
38 손지연, "세대별 여가시간과 일-여가생활 간 균형,"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125-140, 2018.
39 민경선, "경제활동하는 남녀의 여가생활 격차와 만족도,"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3권, 제3호, pp.5-42, 2018.
40 이혜정, 유규창, "Y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 세대별 일의 가치를 통해 본 의미 및 역할," 노동정책연구, 제13권, 제4호, pp.11-31, 2013.
41 윤소영, 정영금, "1인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2018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42-47, 2018.
42 김유빈, 강동우, 오선정, 유동훈, 이지은, 청년 삶의 질 제고방안 연구, 노동연구원, 2018.
43 J. Cote and J. M. Bynner,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 the UK and Canada: The role of structure and agency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1, No.3, pp.251-268, 2008.   DOI
44 차승은, "니트 청년의 시간활용에서의 특이성과 차별성: 청년기 가족연구에 대한 시사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9권, 제2호, pp.75-95, 2014.
45 김광득, "한국의 여가 정책,"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pp.8-32,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