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5.193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Highschool Stud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Jo, Eun-Jung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Kim, Ye-Jin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Kwon, Eun-Bi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Lee, Dong-Hun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In detail, this study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on 375 students at 4 high schools in the capital area were used in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hool adjustment, psychological distress. To find out if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re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the model was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mart-phone addiction is found to have an advers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Keywords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School Adjustment; Psychological Di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J. D. Elhai, R. D. Dvorak, J. C. Levine, and B. J. Hall, "Problematic smartphone use: A conceptual overview and systematic review of relation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patholog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07, pp.251-259, 2017.   DOI
2 이만제, 장해순,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71-96, 2009.
3 정민,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6권, 제3호, pp.103-131, 2015.
4 김태량, 최용민,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3호, pp.185-210, 2016.
5 유명옥, 주세진, 김주현,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충동성에 관한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4호, pp.409-418, 2014.   DOI
6 Y. S. Yang, J. Y. Yen, C. H. Ko, C. P. Cheng, and C. F. Yen, "The association between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nd risky behaviors and low self-esteem among Taiwanese adolescents," BMC Public Health, Vol.10, No.217, pp.1-8, 2010.   DOI
7 백혜원, 신윤미, 신경민,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제53권, 제5호, pp.320-326, 2014.   DOI
8 이현주, 하은혜, "중학생의 정서강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제19권, 제1호, pp.35-51, 2016.
9 정미영, 조옥희,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위험 정도에 따른 사회 심리적 건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366-376, 2013.   DOI
10 A. T. Ebata, A. C. Petersen, and J. J. Conger,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in adolesc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1 A. E. Kazdin, "Adolescents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s," American Psychologist, Vol.48, pp.127-141, 1993.   DOI
12 김명식,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제1권, 제2호, pp.53-67, 2009.
13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DOI
14 S. A. Flojd, E. S. Nissinen, M. U. Pelkonen, M. J. Marttunen, A. M. Koivisto, and R. Kaltia lala-Heio, "Depression and school performance in middle adolescent boys and girls," Journal of Adolescence, Vol.31, No.4, pp.485-498, 2008.   DOI
15 신찬환, 박영호,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양식 유형과 정신건강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교육이론과실천, 제15권, pp.187-212, 2005.
16 이해경, 김수연, 김혜원, "남녀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불안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4호, pp.129-156, 2013.
17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 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005-1015, 2012.
18 신용태, 황순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통한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인과관계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2호, pp.1-19, 2016.
19 장성화, 함성수, "사관생도들의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16권, 제2호, pp.329-351, 2016.
20 장성화, 오은정, "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수산해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259-268, 2009.
21 국민안전처, 재난 분석을 통한 심리지원 모델링 개발, 2016.
22 강승희, "중학생의 부, 모애착, 우울,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제58권, 제3호, pp.1-29, 2010.
23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24 강민채, "특수교육 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의존 정도의 관계 연구," 교육종합연구, 제17권, 제4호, pp.109-127, 2019.
25 L. P. Hernandez,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1993.
26 김소현, 정인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중독인식간의 일치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91-101. 2014.
27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200
28 L. Haddon, The social consequences of mobile telephony: Framing questions, NJ: Transaction Publisher, 2000.
29 여성가족부, 청소년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서울: 여성가족부, 2018.
30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2019.
31 김지선, 백지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3권, 제1호, pp.53-64, 2015.
32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08-217. 2013.   DOI
33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34 R. Gupta and J. L. Derevensky, "Adolescents with gambling problems: From research to treatment," Journal of Gambling studies, Vol.16, pp.315-342, 2000.   DOI
35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DOI
36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K 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005-1015, 2012.
37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1.
38 박은미.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이 학교 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327-339, 2015.   DOI
39 L. R. Derogatis, Brief symptom inventory 18, Johns Hopkins University, 2001.
40 김성희, "대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가유형에 따른 정신건강과 신체의식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5호, pp.287-302, 2004.
4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2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5.
43 허지민, 이충현,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스마트폰 앱 활용 방안," 외국어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229-261, 2019.
44 R. Emanuel, R. Bell, C. Cotton, J. Craig, D. Drummond, S. Gibosn, A. Harris, M. Harris, C. Hatcher-Vance, S. Jones, J. Lewis, T. Longmire, B. Nash, T. Ryans, E. Tyre, D. Walters, and A. Williams, "The truth about smartphone addiction," College Student Journal, Vol.49, No.2, pp.291-299, 2015.
45 서인균, 이연실, "청소년기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4호, pp.857-875, 2016.
46 박현선, "심리사회적 학교환경이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2권, pp.105-129, 1999.
47 신호경, 신지명, 이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SNS)에서의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제42권, 제1호, pp.137-156, 2011.   DOI
48 정순복, 김수진, "일 도시 중학생의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0권, 제3호, pp.352-367, 2001.
49 손선옥, 박현용, "청소년의 우울 및 신체화 증상의 하위유형과 학교 적응: 성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50권, 제4호, pp.185-210, 2019.
50 구현영, 박현숙,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6-65, 2010.
51 신광우, 김동일, 정여주, 고정현, 엄나래,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52 박두환, 백지숙,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자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기반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3호, pp.37-47, 2014.
53 문종훈, 전민재, 송이슬,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177-186, 2019.
54 하태현, 백현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건강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147-159, 2014.   DOI
55 김진영,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상담연구, 제3권, 제2호, pp.63-79, 2013.
56 강경미, 장정임, 김성봉,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395-416, 2014.
57 구현영,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예측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03-210, 2010.
58 고기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우울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제32권, pp.189-216, 2015.
59 김경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42권, pp.31-56, 2018.
60 박미진, 김광웅,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과 개인 심리적 요인 및 임상적 개입에 대한 논의: 2011년-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놀이치료연구, 제18권, 제2호, pp.97-113, 2015.
61 김금순, 김은미,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제38권, pp.33-57. 2015.
62 임숙희, 신현지,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5권, 제11호, pp.273-286, 2020.
63 성은모, 강경균, "한국의 아동. 청소년 놀이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과 과제 탐색," 청소년복지연구, 제20권, 제1호, pp.35-65, 2018.
64 임숙희, 신현지,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5권, 제1호, pp.273-286, 2020.
65 김영지, 김희진, 이민희, 박선영,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V,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66 황옥경,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II: 아동.청소년의 놀 권리: 현실과 대안,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