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636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upport for Woman Scientists and Technicians with Career Breaks: A Preliminary Study  

Park, Rang-Gyu (아이코리아 아동발달교육연구원)
Yun, Jin-Young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help put the women with career breaks in Science and Technique back to work and keep on working.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8-session group counseling for woman scientists and technicians with career break: Self-Growth group an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Group. A total of 14 people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The most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lowered self-esteem,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colleagues, and psychological pressure and distress.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Group Counseling showed positive changes at stress coping strategies. From this study, the women with career breaks in Science and Technique will be expect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career breaks wisely, demonstrate and confirm their competence, and restore from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Career Breaks; Woman Scientist and Technicians; Program for Group Counsel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015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 정희정, 탁진국, "구직관련 개인자원증진 커리어 그룹코칭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1권, 제3호, pp.611-641, 2018.
3 허미연, 여성인적자원개발기관과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현정, 이순화, 천성문,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지역과 세계, 제42권, 제1호, pp.153-174, 2018.
5 이찬구, 손주연, 김은미, 조연주, "여성과학기술인력육성.지원정책의 정책변동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035-1057, 2017.
6 이찬구, 손주연, 김은미,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여성과학기술인력 육성 및 지원정책,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2017.
7 이희정, 김금미, "진로상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비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623-640, 2010.   DOI
8 김민선, 서영석,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1호, pp.63-88, 2016.
9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No.2, pp.36-49, 2000.   DOI
10 주혜진, "수퍼우먼의 비애," 한국사회학, 제48권, 제5호, pp.243-284, 2014.
11 박소정, 수퍼우먼신드롬을 가진 취업기혼유자녀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 이현아, 중장년 여성인적자원 개발이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국미애, 김지영, 김창연, 서민자, 이원형, 홍지명, '일/가족 성별화'와 기혼여성의 노동: 30, 40대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민우회 토론회 자료집, 2005.
14 최경화, 탁진국,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제1권, 제1호, pp.73-97, 2017.
15 이진아, 경력개발에서 여성의 자신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엄경애,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송경신,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서동희,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 방안 연구, 정부와 정책, 제9권, 제2호, pp.27-45, 2017.
19 손강숙, 정소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3호, pp.451-468, 2018.
20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1 A. M. Pines, and E. Aronson,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Free Press, 1988.
22 C. D. Spielberger, R. L. Gorsuch, and R. E. Lushene, Manual for the Strait-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Inc. 1970.
23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호, 제1권, pp.1-14, 1996.
24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1권, 제2호, pp.163-186, 2006.
25 황인성,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6 J. Blascovich and J. Tomaka, "Measures of self-esteem,"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Vol.1, No.2, pp.115-160, 1991.   DOI
27 황금중,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한국교육철할연구, 제41권, 제3호, pp.219-257, 2019.
28 S. G. Kohlstedt, "Sustaining gains: Reflections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th-century United States," NWSA Journal, Vol.16, No. 1, pp.1-26, 2004.   DOI
29 L. F. Fitzgerald and L. W. Harmon, Women's career development: A postmodern update. In F. T. L. Leong & A. Barak (Eds.), Contemporary models in vocational psychology, pp.207-230, Erlbaum, 2001.
30 김민성, 양지웅, 연규진,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1호, pp.191-216, 2016.
31 최윤정, 김계현, "진로상담: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상담학연구, 제8권, 제3호, pp.1031-1045, 2007.
32 김지경, "젊은 기혼 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3호, pp.91-104, 2004.
33 유영란, 강명희, "공학계열 여대상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225-247, 2015.
34 W. M. Williams and S. J. Ceci, "When scientists choose motherhood," American Scientist, Vol.100, No.2, pp.138-145, 2012.   DOI
35 전찬열,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1호, pp.1-14, 2003.
36 D. B. Kandel, M. Davies, and V. H. Raveis, "The stressful of daily social roles for women: Marital, occupational and household rol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6, No.3, pp.64-78, 1985.   DOI
37 장서영, 은혜경, 최미정, "경력단절여성 경력개발지원 프로그램 개발,"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1-21, 2008.
38 장서영, 안선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성인교육학회, 제10권, 제4호, pp.25-4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