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607

The Ethnography Research about the Electronics Panopticon Experience of the Temporary Position Man Laborer and Possibility for the Profanazion  

Noh, Eun-Cheong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Sung, Dong-Kyoo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Jang, Sung-Won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on-regular workers' electronic panopticon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get which meaning of life through that. Seve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is Ethnography Research; Five young workers and two self-employees.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edia system and medium such as the smartphone and social media operate as the electronics panopticon device which constantly being watched. Second, this kind of electronics panopticon experience tries to observe the discipline of itself and experiencing de-extermination which lost its diversity by intended to internalize the actions demanded by the employer. Finally, the participants performed secularization by resisting power devices through smart devices and media and seeking workers' rights and interests through the community. Therefore, this research confirms the media could function as electronic panopticons device and as a device for the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Keywords
Ethnography Research; Electronics Panopticon; Dispositif; Profanaz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채창균, 양정승, 고졸청년의 취업 추이와 향후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2 강순희, "취업청년의 초기 일자리 변동과 고용안정성,"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4호, pp.5-29, 2016.   DOI
3 이동훈,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언론권 주체-전자파놉티콘(전자감시)과 전자시놉티콘(전자 역감시)을 중심으로," 성균관법학, 통권, 제17호, pp.69-92, 2005.
4 박정훈, "전자감시와 프라이버시의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법조, 제59권, 제6호, pp.124-177, 2010.   DOI
5 구윤희, "다망감시로써의 슈퍼 파놉티콘을 통한 현대사회의 시선의 권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102-109, 2009.   DOI
6 박재천, 신지웅, "웹 2.0 플랫폼에서의 집단지성 활용방안 연구: 교육분야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지, 제8권, 제2호, pp.15-20, 2007.
7 G. Agamben, Che cos'e' un dispositivo?, L'amico, Che cos'e' il contemporaneo?, Editora Argos, 2006.
8 한희진, "미셸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 권력, 윤리의 관계," 의철학연구, 통권, 제13호, pp.75-104, 2012.
9 M. Foucault, Discipline and Punish, Alsan Sheridan, 1975.
10 최연희, "'파놉티콘'에서 본 학교의 모습 비판," 초등교육학연구, 제19권, 제2호, pp.203-228, 2012.
11 G. Agamben, Profanazioni, Editions Rivages, 2005.
12 이경희, 김기선, 스마트기기 사용이 근로자의 일과 삶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2015.
13 A. Beaudry and A. Pinsonneault, "Understanding user responses to information technology: A coping model of user adaptation," MIS quarterly, Vol.29, No.3, pp.493-524, 2005.   DOI
14 김동윤, "정보테크놀로지, 전자감시,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기: 푸코와 루크스의 권력개념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18호, pp.43-68, 2006.
15 정하명, "스마트폰의 위치정보와 프라이버시보호: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14권, 제2호, pp.61-85, 2013.
16 이동훈, "소셜미디어 사회에서 촛불집회의 헌법적 의미," 공법학연구, 제18권, 제2호, pp.3-24, 2017.
17 김대건, "중고령 고용률이 청년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저임금 일자리 비율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OECD 20 개국의 고용자료 분석," 노인복지연구, 통권, 제70호, pp.293-317, 2015.
18 진형익, 이미숙, "심층면접조사를 통한 창원시 제조업 청년노동자 실태분석," 한국혁신학회지, 제14권, 제3호, pp.33-57, 2019.
19 강진숙, 질적연구방법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지금, 2016.
20 정용교, "문화기술지의 의의와 교육적 함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17권, 제2호, pp.331-356, 2001.
21 권용란, "주술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근대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통권, 제13호, pp.71-91, 2001.
22 J. P. Spradley, The Ethnographic interview, SigmaPress, 1979.
23 J.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Sage, 1998.
24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12260600055&code=920100
25 이광석, "동시대 청년 알바노동의 테크노미디어적 재구성,"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83호, pp.157-185, 2017.
26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통계청, 2019.
27 오유진, 김교성, "성별, 학력별 청년 노동시장의 이행 궤적과 유형 비교," 노동정책연구, 통권, pp.1-35, 2019.
28 김복연, 최진호, "민간체육시설 정규직과 비정규직 체육지도자가 인지하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서비스품질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제56권, 제3호, pp.283-303, 2017.
29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563&efYd=20181231#0000
30 김영욱, "디지털 프로모션에서 생산소비자와 감시의 작동 원리,"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4권, 제4호, pp.5-57, 2018.
31 방정희, "디지털 사회: 모바일 파놉티콘," 대동철학, 통권, 제85호, pp.223-247, 2018.
32 최현경, "어린이집 CCTV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사례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통권, pp.33-33, 2018.
33 홍성욱, "벤담의 파놉티콘(Panopticon)에서 전자 시놉티콘(Synopticon)까지: 감시와 역감시, 그 열림과 닫힘의 변증법,"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3권, 제1호, pp.69-96, 2001.
34 OECD, Youth unemployment : A report on the high level conference , OECD Publishing, 1978.
35 장효진, "직업훈련이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과 첫 일자리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6권, 제3호, pp.203-237, 2017.
36 김유빈, "청년고용의 현황 및 대응방안," 노동리뷰, 통권, pp.9-22, 2018.
37 최길용, 김호현, "비정규직 청년의 근무환경과 건강영향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170-180, 2016.   DOI
38 조문경, "청년 노동시장의 변화와 특징," 노동리뷰, 통권, 제124호, pp.46-59, 2015.
39 최길용, 김호현, "비정규직 청년의 근무환경과 건강영향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170-180, 2016.   DOI
40 김정숙,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이행 수준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제24권, 제1호, pp.93-117, 2018.
41 전병유, 이상일, 고졸미진학청년층의고용.실업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3.
42 김안국, 신동준, "노동시장: 고졸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과 취업 실태," 산업노동연구, 제13권, 제2호, pp.125-148, 2007.
43 권혁진, 유호선, "청년층의 학교에서 고용으로의 이행 특성: 성, 학력별 이행과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1호, pp.1-3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