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435

Public Opinions on the Welfare Policie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Choi, Youseok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Choi, Changyong (KDI 국제정책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How do Korean people recognize major welfare policie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Using a survey of 1,000 adults conducted in December 2018,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public thinks about major issues related to welfare policies and what factors are related to variations in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welfare policies. Results show that the public recognized the roles of government in providing welfare in a positive way. The positive opinion on expanding the coverag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was the highest. Regarding the resolutions of fiscal problems of the National Pension Plan, there were substantial oppositions to reforms such as insurance premium increase, benefits cut, and increase in the age of receipt of pension benefits. Both efficiency and equality were perceived as important when government makes decision for allocating budgets. Only one-third of respondents agreed Korean government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happiness of Korean peopl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welfare policies were discussed.
Keywords
Moon Jae-in Government; Welfare Policy; Health Insurance; National Pension; National Happi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해봉, 한정림, "소득계층별 다층노후소득보장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사회보장연구, 제33권, 제4호, pp.211-239, 2017.
2 김원섭, 강성호, 김형수, 이용하,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보편적 중층보장체계로의 재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4호, pp.1-29, 2016.
3 박종민, "한국인의 정부역할에 대한 태도," 한국정치학회보, 제42권, 제4호, pp.269-288, 2008.
4 이강국, "소득분배와 경제성장," 구갑우 외 편, 좌우파 사전, 위즈덤 하우스, 2010.
5 O. Knutsen, "Value Orientations, Political Conflicts and Left-Right Identification: A Comparative Study,"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8, pp.63-93, 1995.   DOI
6 P. Rehm, "Risks and Redistribution: An Individual-Level Analysis,"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Vol.42, No.7, pp.855-881, 2009.   DOI
7 최유석, 세대간 연대와 갈등의 풍경, 한울, 2016.
8 최유석,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가족주의 연대," 한국인구학, 제37권, 제4호, pp.61-87, 2015.
9 이명현, "포용적 복지: 전략과 가능성, 대구는 어떻게 새로운 복지를 시작할 것인가?," 사회복지정책 지역순회(대구) 토론회 자료집, 2018.
10 이상록, "문재인 정부의 포용적 복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포용적 복지의 성격과 쟁점," 사회복지정책 지역순회(전주) 토론회 자료집, 2018.
11 진재문, "포용적 복지와 부산지역 사회복지정책 현안, 부산의 복지, 포용과 지역돌봄의 새길 찾기," 사회복지정책 지역순회(부산) 토론회 자료집, 2018.
12 김교성, 김윤민, "복지태도의 이중성,"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2호, pp.27-51, 2016.   DOI
13 김사현, "정부지출에 대한 태도이중성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4호, pp.35-66, 2017.
14 김수완, 김상진, 강순희, "한국인의 복지정책 선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2호, pp.67-90, 2014.
15 김영순, 여유진, "한국인의 복지태도: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91권, pp.211-240, 2011.
16 류만희, 최 영,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91-210, 2009.
17 박찬웅, 정동철, 조선미, 김노을, "복지인식의 사회적 배태성: 영역별 국가의 복지책임지지 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1호, pp.105-141, 2014.
18 손병돈, "집단간 복지태도의 차이 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5-34, 2016.   DOI
19 우명숙, 남은영, "공적 제도 인식이 친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보장연구, 제30권, 제1호, pp.167-195, 2014.
20 이지호, 황아란, "복지태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23권, 제1호, pp.257-285, 2016.
21 정세희, 문영규, "복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5권, 제4호, pp.23-46, 2015.
22 주은선, 백정미,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203-225, 2007.
23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관계부처협동,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비전과 전략: 국민의 삶을 바꾸는 포용과 혁신의 사회정책, 2018.
24 김미곤 외, "포용적 복지국가 비전과 정책방향," 정책보고서: 2017-9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5 김연명, "문재인 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343-361, 2018.
26 한국개발연구원(KDI), "정책기획위원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책연구기관과 공동으로 국제컨퍼런스 개최," 보도자료, 2018. 5. 10.
27 김윤태, 서재욱, "노동시장의 이중화가 불평등 완화의 국가책임 지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44권, 제1호, pp.137-169, 2018.
28 최균, 류진석,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사회복지연구, 제16권, pp.223-254, 2000.
29 최유석, "한국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분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1호, pp.57-83, 2011.
30 노혜진, 이현옥, 김윤민,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4권, 제1호, pp.79-105, 2018.
31 허수연, 김한성,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2권, 제3호, pp.203-235, 2016.
32 김교성, 김성욱, "복지의 양적 확대와 체계적 축소: 이명박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3호, pp.117-149, 2012.
33 김원섭, 남윤철, "이명박 정부 사회정책의 발전: 한국복지국가 확대의 끝?," 아세아연구, 제143권, pp.119-152, 2017.
34 김순영, "이명박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의 후퇴?," 현대정치연구, 제4권, 제1호, pp.127-152, 2011.
35 김영순, "노무현 정부의 복지정책: 복지국가의 제도적.정치적 기반 형성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82권, pp.161-185.
36 대한민국 정부, 100대 국정과제, 2017.
37 보건복지부, 제4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을 바탕으로한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2018.
38 최유석, 오유진, 문유진,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28-241, 2014.   DOI
39 박지영,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432-448.   DOI
40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에서 2020. 1. 19.에 인출,
41 우해봉, 한정림,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의 소득 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4호, pp.161-18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