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2.162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Big Data  

Kang, Min-Jung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You, Hee-Jung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extom big dat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young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online text data using the keywords 'young children+disaster+safety education' from portal websites from 2014 to 2017. The raw data were then subjected to first and second data refinement process.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50 keywords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keywords were converted into matrix data for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 together with young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was 'education', followed by 'experience', 'kindergarten', 'prevention', and 'school.' Second,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analysis of centrality also were 'education', 'experience', and 'prevention'. In addition, keywords like 'prevention', 'life', and 'evacuation' appear higher in connection-centricity than frequency ranking, which means that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the words i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children need education in during early childhood in order to improve their disaster safety skills, and disaster safety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prevention' and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eywords
Big Data; Disaster Safety Education; Network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허병이, 김성중, "교육시설 재난사고 실태 분석에 따른 재난안전 평가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1권, 제3호, pp.25-35, 2012.
2 국민안전처, 재해연보, 서울: 국민안전처, 2014.
3 최경철,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요인분석 : 국민안전처 출연금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 정건희, "재난 위험도 평가과정에 재난안전교육이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pp.366-372, 2014.
5 배천직, 재난안전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보고서, 제5호, pp.75-98, 2016.
6 박소연, 구원회, 백민호, "교육기관 재난관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제13권, 제3호, pp.405-412, 2017.
7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8 심진아, 어린이집별 맞춤형 재난대비 매뉴얼 구축을 위한 재난안전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개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한명옥, 유아안전교육을 위한 상황중심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 L. Peterson and L. Mori, "Prevention of child injury: An overview of targets, method, and tactics for psychologis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3, pp.586-595, 1985.   DOI
11 김경중, 최대훈, 윤준영,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 조망," 예술인문 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5권, 제4호, pp.631-648, 2015.
12 성미영, 재난유형별 영유아교육기관 비상대피훈련 매뉴얼 개발, 서울:학지사, 2019.
13 이병호, 박윤주, 이재림,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학교시설에 대한 재난안전관리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제17권, 제2호, pp.11-21, 2018.
14 임은옥, 자연재해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사고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5 A. S. Kendrick, R. Kaufmann, and K. P. Messenger, Healthy young children : A manual for programs, NAEYC, 1988.
16 김준호, 초등학교 안전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7 강욱, 조준택, "모든 위험 접근법을 활용한 유소년 재난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제29권, 제2호, pp.93-108, 2018.   DOI
18 김성제, 초등학교 저학년 참여식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9 뉴시스, 유.초.중.고 학기당 안전교육 51시간 이상 의무화, 2016. 3. 13.
20 고정완, 상황역할극 중심의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1 김선아, 전래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2 M. E. Ast, Preschool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safety and moral ru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University, Norman, 1995.
23 최선미, 아동 안전 관련법에 기초한 문제 상황활동이 유아의 안전능력에 미치는 변화과정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4 김혁곤,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체험교육 시설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5 최상경, 문정민, "재난 대응력 향상을 위한 아동 재난안전 교육과 안전체험 교실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57권, pp.23-37, 2019.
26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 동아, 2018.
27 N. Coppens and B. McCabe, "Promoting children's use of bicycle helmet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Vol.9, No.2, pp.51-58, 1995.   DOI
28 이강훈, 제희선,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창의 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4호, pp.121-144, 2018.
29 박은미, 영상매체를 활용한 재난안전 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0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World Economic Forum, 2016.
31 김동완, "빅데이터의 분야별 활용사례," 경영논총, 제34권, pp.39-52, 2013.
32 최현주, 최연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 인성 교육 방안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601-627, 2016.
33 강승지, 이연선,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45-72, 2017.
34 김병만,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보통합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2호, pp.17-39, 2019.
35 조화순, 조은일, "빅데이터 정책과 새로운 기술 거버넌스의 모색," 국가정책연구, 제29권, 제2호, pp.1-21, 2015.
36 서현정 조부경, "빅데이터에 나타난 인성교육 책임덕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465-484, 2016.
37 최윤정, 권상희,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제31권, 제1호, pp.241-286, 2014.
38 송태민,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복지정책 동향분석," 보건복지포럼, Vol.213, pp.101-113, 2014.
39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013.
40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J. C. Johnson, Analyzing social network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3.
41 김용학, 김진, 사회연결망 분석(4판), 서울: 박영사, 2016.
42 서영임, 만2세 영아의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3 D. Glik, J. Kronenfeld, and K. Jackson, Perceived risk of childhood injury among parents of preschooler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990.
44 성외옥, 소방안전교육이 영아의 소방안전지식 및 소방안전문제 해결능력과 소방대피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5 이미경,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6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교육과정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8.
47 유정민, 영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운영 실태 :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8 이설자, 어린이집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교육 및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9 주영미, 영아교사의 안전교육 실태 및 인식조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0 최원희, 유아교육기관유형에 따른 안전교육실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1 한국산업안전공단, 어린이 안전교육의 중요성, 서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