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1.368

Memory Transmission and the Phases of Trauma in Vietnam War novels  

Eum, Yeong-Cheol (삼육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paper, the transmission and the phases of the memories in the novels dealing with Vietnam War have been studied. As a research method, Aleida Assmann's memory theory which plays a role in culturoloy theory is utilized. This study shows firstly that the others' voices excluded from the official memories of Vietnam War have emerged. Vietnam War novels released after 1990s actively reflecting the others' voices transmitted fresh the cultural memories. As the stories of civilian massacre, defoliant victims, and children of mixed bloods, Lai Daihan excluded from the official memories have emerged as a main them in the Vietnam War novels, they have become resistant memories. Existence and Formality, a Vietnam War novel by Bang Hyeonsuk brings up how to remember Vietnam War. His another novel, Time to Eat Lobster shows that without the fundamental retrospect and introspection of Vietnam War, Korea can't help but have the identity of America. Secondly, this paper shows that the tragedy of Vietnam War remains as a trauma that human bodies remember. White War by Ahn Jeonghyo shows that the memory moves back to the past in the process of struggle. In the novel, Slow Bullet by Lee Daehwan the phases of demage from defoliants lead to the family's tragedy. The Red Ao Dai by O Hyeonmi shows how a Korean-Vietnamese overcomes negation of his father and win his identity. In A Sad Song in Saigon shows that a mixed blood, Sairang who suffered from the confusion of his identity and his story fell down to a romance novel because of the weakness of narrative.
Keywords
Vietnam War; Massacre; Defoliant; a Mixed Blood; Resistent Memory; Trauma;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도담, "문화적 기억과 장소에 관한 성찰 : A. 아스만의 기억의 공간을 중심으로," 철학과 문화, 제36집, pp.71-91, 2017.
2 황보영조, 기억의 정치와 역사, 역락, 2017.
3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한다, 휴머니스트, 2005.
4 고명철, "베트남전쟁 소설의 형상화에 대한 문제," 현대소설연구, 제19집, pp.291-312, 2003.
5 윤애경,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전 2세의 형상화 양상," 우리어문연구, 제50집, pp.249-277, 2014.
6 정찬영, "한국과 베트남소설에 나타난 베트남전쟁 담론 연구," 한국문학논총, 제58집, pp.379-422, 2011.
7 윤충로, "한국의 베트남전쟁 기억의 변화와 재구성," 사회와 역사, 제105집, pp.7-40, 2015.
8 최정기,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 민주주의와 인권, 제9집, pp.65-92, 2009.
9 김종곤, "'역사적 트라우마' 개념의 재구성," 시대와 철학, 제24권, 제4호, pp.37-62, 2013.
10 최문규, 고규진, 김영목, 김현진, 박은주, 이해경, 조경식,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11 전진성, 빈딘성으로 가는 길, 책세상, 2018.
12 전진성, 이재원, 기억과 전쟁, 휴머니스트, 2009.
13 조너선 닐 지음, 정병선 역, 미국의 베트남 전쟁, 책갈피, 2004.
14 박태균, 베트남전쟁, 한겨레출판, 2015.
15 비엣 타인 응우엔 지음, 부희령 역,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다, 더봄, 2019.
16 황석영, 무기의 그늘, 창비, 1992.
17 방재석, "베트남전쟁을 통한 의식의 변화양상 비교연구," 현대소설연구, 제46호, pp.395-426, 2011.
18 안정효, 하얀 전쟁, 세경, 2009.
19 피에르 노라, 김인중, 유희수 역, 기억의 장소, 나남, 2010.
20 김은하, "남성성 획득의 로망스와 용병의 멜랑콜리아," 기억과 전망, 제31호, pp.8-39, 2014.
21 이경재,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전 기억의 변모 양상-안정효의 하얀전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64호, pp.35-69, 2016.
22 주디스 허먼, 최현적 역, 트라우마, 열린책들, 2012.
23 도미니크 라카프라, 육영수 역, 치유의 역사학으로, 푸른역사, 2008.
24 조윤정, "베트남전쟁을 둘러싼 한국, 베트남, 미국 작가의 글쓰기 의식-안정효, 바오 닌, 팀 오브라이언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57집, pp.179-211, 2014.
25 이대환, 슬로우 불릿, 실천문학사, 2001.
26 조르조 아감벤, 박진우 역,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27 방현석, 랍스타를 먹는 시간, 창비, 2003.
28 오현미, 붉은 아오자이, 영림카디널, 1995.
29 조하나, 박은혜, "혼혈에 대한 사회적 의미 : 1950년-2011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4권, pp.367-407, 2013.
30 하림, 사이공의 슬픈 노래, 황금가지, 2003.
31 바오 닌, 하재홍, 전쟁의 슬픔, 아시아, 2012.
32 이은선, "한-베 수교 이후 한국 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심상지리와 전쟁-관광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제32호, pp.257-28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