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0.522

A Subjectivit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ystem  

Shin, Moung Joo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공행정학과)
Lee, Jei Young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5th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ystem(GEPS) in the near future. This article surveyed the civil servants cognition in three different levels(validity, feasibility, efficiency) by Q methodology. The value and mean of GEPS in the validity level,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GEPS reform process in the feasibility level, and contribution rates, benefit rate, replacement rate of GEPS in the efficiency level were analyzed. There is no successful policy without securing compliance and acceptance of implementation organization and target group. So next 5th GEPS reform could proceed successfully when it took into account civil servant's-who is the implementation group and target group- thought about variances of the 3 levels of GEPS.
Keywords
Policy Chang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ystem; Acceptance Perception; Ought to; Feasibility; Efficiency; Q Methodology; Subjectivity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선우동훈, "Q방법론에 의한 소비자행동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광고연구여름호, 제11호, p.7, 1991.
2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3 S. J. Simmon, "Health: A Concept Analysis," Int. J. Nurs. Study Vol.26, No.2, pp.155-161, 1989.   DOI
4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p.18, 1968.   DOI
5 박현숙, 임정도,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48-260, 2012.   DOI
6 허범, "새로운 공공정책의 모색: 민본행정의 이념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제1차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100-133, 1988.
7 E. Jantsch, "From forecasting and planning to policy sciences," Policy Sciences, 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 Vol.1, pp.31-47, 1970.   DOI
8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p.45, 1990.
9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 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
10 박근후, 강근복, 김재관, 박정택, 정책학, 서울 : 대영문화사, 2016.
11 신명주, "정책변동의 영향요인연구: 제4차 공무원연금 개혁을 중심으로," 의정논총, 제14권, 제2호, pp.211-247, 2019.
1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286&cid=40942&categoryId=31713
13 배용수, 주선미, "제4차 공무원연금 개혁정책의 형성과정 분석 : 복합흐름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09-141, 2016.   DOI
14 공무원연금연구센터, 연금개혁의 전략과 방법- 공무원연금개혁 정책결정과정 분석, 공무원연금관리공단, 2008.
15 이용하, 김원섭,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평가와 향후 개편방향," 응용통계연구, 제28권, 제4호, pp.827-845, 2015.   DOI
16 행정안전부, 공무원연금제도의 현황과 이슈, 2016.
17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3/24/2015032400976.html
18 인사혁신처, 2015년 공무원연금개혁백서, 2017.
19 정창률, 김진수, "한국 공무원연금 개혁 평가 및 발전 방안," 한국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4호, pp.227-252, 2015.
20 이정우, 김희년,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개선방향," 비판사회정책, 제58호, pp.7-52, 2018.
21 김대철, 박승준, "공무원연금 개정이 재정건전성 및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2015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제도와 경제, 제31권, 제4호, pp.227-252, 2016.
22 김용하, 공무원연금개혁방안, 한국연금학회 공무원 연금개혁을 위한 정책 토론회 발표 자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