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0.449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Death Anxiety  

Kim, Hye-Kyung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학부)
Kim, Ji-Hye (천안시종합사회복지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e aged society,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assessed by life satisfaction is important for successful aging.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including social support and death anxie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We analyzed the data which has obtained from 282 senior center users in Choong-chung-nam-do. A multiple hierarchical analysis showed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social support and death anxie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s. In addition, we found a interaction effect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ocial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death anxiety as well as preparation for old age for successful aging.
Keywords
Life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Old Age; Social Support; Death Anxie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서미경, 김정석, "한국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제15권, 제2호, pp.40-59, 1995.
2 J. F. Moore and O. S. Mitchell, "Projected Retirement Wealth and Saving Adequacy," Forecasting Retirement Needs and Retirement Wealth, Edited by O. S. Mitchell, B., Hanmmond, and A. Rappaport, Pension Research Council.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ilvania Press, pp.68-94. 2000.
3 R. K. Haveman, B. W. Holden, and S. Sherlund, "Do Newly Retired Workers in the U.S. Have Sufficient Resources to Maintain Well-being?," Economic Inquiry, Vol.44, No.2, pp.249-264, 2006.   DOI
4 L. Hodges, The Relationship of Migr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in a Cohort of Middle-Aged Adult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tah State University, 2004.
5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6 김혜경, 박천만, 中嶋和夫, "노인부양의 사회화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학생과 부모조사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1호, pp.170-194, 2010.
7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8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38-747, 2013.   DOI
9 정순둘, 이현희,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노인세대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209-232, 2012.
10 박창제, "중고령자의 재무적 노후준비경향과 영향요인 연구: 1998년, 2007년, 2011년, 2017년,"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4호, pp.217-248, 2018.   DOI
11 이윤경, "로짓모형을 이용한 노후준비의 결정요인 분석: 노후생활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8권, 제1호, pp.117-146, 2019.   DOI
12 유재남,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9권, pp.183-200, 2019.
13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325-352, 2012.
14 송기영, "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593-600, 2019.   DOI
15 L. F. Berkman and S. L. Syme, "Social networks,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09, pp.186-204, 1979.
16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 Wesley Pub. Co. 1981.
17 정일영, "과거 노후준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9권, 제3호, pp.161-191, 2015.
18 김인태, 호스피스자원봉사자의 동기와 욕구충족도가 자원봉사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죽음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35, 2018.
19 서혜경, 노인죽음학개론, 경춘사, p.54, 2009.
20 김연숙, 김지미,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죽음불안의 세부영역을 중심으로," 노인간호학회지, 제29권, 제1호, pp.275-289, 2009.
21 서혜경, "죽음불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죽음불안도 4가지 영역에 따른 노년층과 비노년층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09-125, 2007.
22 J. Hickson et al, "The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age, and sex to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in older persons/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0, pp.191-199, 1988.   DOI
23 P. L. Damm,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death anxiety, life satisfaction, and locus-control, The Wright Institute, 1993.
24 임승희, 노승현,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1권, 제1호, pp.1-14, 2011.
25 김기태, 송진영, 정종화,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125-153, 2018.
26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6.
27 박광배,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학지사, 2003.
28 김윤정, 생태학적 관점을 통해서 본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도서, 어촌, 농혼, 도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자 지원과제 미간행보고서, 2006.
29 James Lubben, "Performance of an Abbreviated Version of the Lubben Social Network scale Among Three Europea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Populations," The Gerontologist, Vol.46, No.4, pp.503-505, 2006.   DOI
30 고효진, 최지욱, 이홍표, "Templer 죽음불안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2, pp.315-328, 2006.
31 송기영, "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pp.593-600, 2019.   DOI
32 J. Hickson et al, "The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age, and sex to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in older persons/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0, pp.191-199, 1988.   DOI
33 P. L. Damm,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death anxiety, life satisfaction, and locus-control," The Wright Institute, 1993.
34 임승희, 노승현,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Vol.31, No.1, pp.1-14, 2011.
35 이종욱, 우영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2, pp.225-243, 2016.
36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pp.738-747, 2013.   DOI
37 송기영,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1호, pp.469-503, 2018.
38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pp.364, 2019.
39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3-261, 2013.   DOI
40 최태을, 권경주, 최미영,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노후준비, 사회적지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가족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1 M. P. Lawton,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s," in J. E. Birren et al(eds.),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pp.3-29), CA: Academic Press. 1991.
42 윤진, "성공적 노화와 삶의 질: 한국 노인 대상연구에 서 고려할 측면들," 한국심리학회 1995년 춘계심포지움, pp.47-75, 1995.
43 임주영, 전귀연,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배우자 유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71-87, 2004.
44 공수자, 이은희, 하미옥,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제30권, pp.141-169, 2005.
45 한정화, 노년기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6 송기영,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1호, pp.469-503, 2018.
47 김명자,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20, No.3, pp.45-54, 1982.
48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