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8.069

Exploring the Effect of Television Audiences' Age and News Credibility on their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he period of the President Park Guen Hye's Political Scandal  

Woo, Hyung Jin (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viewers' ages and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credibility and viewers'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otal 1,026 participants(206 adolescents, 518 college students, and 302 adults) during President Park, Guen Hye's political scanda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s on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College students shows the higher scores of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followed by adolescents and adults. Secondly, the higher score of credibility on KBS and MBC news, the lower scores of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the higher scores of credibility on SBS and JTBC news, the higher score of political involvement and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Keywords
Ages; Credibility; Political Involvement; Resistant Behavioral Inten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55547.
2 권혁남, "2012 국회의원 총선에서 나타난 미디어 이용, 정치 냉소주의, 투표 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1권, pp.28-51, 2012.
3 M. J. Robinson, "Public Affairs Television and the Growth of Political Malaise: The Case of The Selling of the Pentag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70, No.2, pp.409-432, 1976.   DOI
4 손용석, JTBC 최순실 태블릿PC보도 사례 연구-현장 취재기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KAIST 석사학위논문, 2017.
5 우형진,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이 시청자의 성형수술 행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획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4호, pp.480-513, 2008.
6 정용준, "JTBC와 미디어 공론장, 가능성과 한계 모색," 한국방송학보, 제31권, 제4호, pp.205-234, 2017.
7 김병진, 이상은, 양종훈, "박근혜 대통령 탄핵보도 편향성에 관한 연구-MBC와 JTBC의 저녁종합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554-566, 2017.   DOI
8 P. Norris, A Virtuous Circl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9 L. Bowen, K. Stamm, and F. Clark, "Television Reliance and Political Malaise: A Contingency Analysi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44, 1-1, 2000.   DOI
10 M. Strama, "Overcoming Cynicism: Youth Participation and Electoral Politics," National Civic Review, Vol.87, No.1, pp.71-77, 1998.   DOI
11 K. G. Wilkins, "The role of media in public disengagement from political lif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44, pp.569-580, 2000.   DOI
12 이재헌, "정치에 무관심한 한국 청년세대-정치 왕따 벗어나기, 청년세대의 도발," 충북 Issue & Trend, Vol.29, pp.31-34, 2017.
13 유태건, "정치효능, 정치심리, 정치참여의 이론과 현실,"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2호, pp.243-267, 2010.
14 조성동, 나은경, "매체의 이용장르와 기능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심 및 사회자본 변인의 역할을 고려하여,"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1호, pp.242-286, 2011.
15 임성호, 송경재, "네트워크 사회의 세대와 정치참여: ICT활용능력과 세대구분을 중심으로," 세계지역논총, 제36권, 제1호, pp.203-228, 2018.
16 송종길, 박상호, "뉴스미디어 이용이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에서 나타난 유권자의 정치 뉴스 이용과 투표행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126-163, 2005.
17 정일권, SNS를 통한 정치참여, 한국언론학회(편), 정치적 소통과 눈, 서울: 나남, pp.107-132, 2012.
18 C. Z. Hovland and W. Weiss,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5, pp.635-650, 1951.   DOI
19 김여라,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브랜드 자산평가가 뉴스신뢰도, 선호도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6호, pp.87-125, 2009.
20 송종길, 박상호,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TV 토론 이용 동기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3호, pp.417-44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