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7.587

Effect of Income on Depression of Korean Babyboomers: Testing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Gender  

Song, Inuk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Won, Seojin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effect of income on depression of Korean babyboomers according to gender. It also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income-depression relationship. Researchers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6th wave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llected in 2016. Researchers found gender differences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hile, in the male model, incom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depression, i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o depression of female babyboomers.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the female model that advocacy and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activity moderated the income-depression relatio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for policy and service development; in specific, researchers suggest expanding elderly jobs for female babyboomers and support groups for male babyboomers.
Keywords
Babyboomer;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Income; Depression; Social Capita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지은정, "베이비부머는 빈곤위험으로부터 안전한가: 노동경력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24권, 제2호, pp.365-291, 2018.
2 윤혜진, "베이비부머와 이후 세대들의 관광활동과 행복감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4호, pp.333-359, 2018.
3 이영라, 이숙종, "고령층의 자산빈곤과 소득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베이비붐 세대와 해방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57권, 제2호, pp.111-157, 2018.
4 김현정,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유형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3호, pp.115-145, 2018.   DOI
5 김수린, 주경희, 정순둘,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5권, pp.103-136, 2018.
6 김진현,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3호, pp.181-201, 2015.
7 서지원, "중년기 및 노년기 사회자본의 경제적 복지효과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제51권, 제2호, pp.207-218, 2013.   DOI
8 최민정,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령대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24-163, 2015.   DOI
9 N. Lin,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Vol.29, No.6, pp.785-795, 2000.   DOI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빈곤통계연보, 2017.
11 나지나, 백승애, 신은경, 김미혜,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29-54, 2010.
12 박미진, "사회적 활동 잠재계층 유형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191-214, 2017.
13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4 박소영,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154-190, 2018.
15 OECD, 2019년 국가별 노인 빈곤율 현황, 2019.
16 정선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생애학회지, 제8권, 제3호, pp.117-136, 2018.   DOI
17 송진영,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64-192, 2015.   DOI
18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제12권, 제3호, pp.311-339, 2010.
19 이현주, 정은희,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건강: 초기 성인기 및 중년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다중매개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53-84, 2016.   DOI
20 H. Brockmann, "Why Are Middle-aged People So Depressed? Evidence from West Germany,"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7, No.1, pp.23-42, 2010.   DOI
21 H. Tanaka, Y. Sasazawa, S. Suzuki, M. Nakazawa, and H. Koyama, "Health Status and Lifestyle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Japanese Adults: A Seven-year Follow-up of the Komo-Ise Cohort Study," BMC Psychiatry Research Paper, pp.11-20, 2011.
22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edited by J. D. Richardson, New York: Greenwood, 1986.
23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8.   DOI
24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s, Vol.4, No.13, pp.35-42, 1993.
25 R.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Touchstone Book, 2000.
26 신미정, 이양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정책연구, 제29권, 제2호, pp.185-207, 2018.
27 김진현, "사회자본과 건강행태가 노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가구 노인과 일반가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1호, pp.9-32, 2016.
28 I. A. Sarmiento and E. V. Cardemil, "Family Functioning and Depression in Low-income Latino Coup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35, No.4, pp.432-445, 2009.   DOI
29 한국고용정보원, "고령화연구패널조사", http://survey.keis.or.kr 2019.
30 한국고용정보원, 2019년 고령화연구패널이용자가이드.
31 변진숙, "성공적 노후 결정 요인연구: 2차 베이비부머 여성의 사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제5권, 제2호, pp.231-247, 2015.
32 최장훈, 이태열, 김미화,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소득: 1, 2차 베이비부머 간 은퇴 시 자산 적정성 비교분석,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2017.
33 통계청, 2018 고령자 통계, 2018.
34 정순둘, 구미정, "우울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 베이비부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05-324, 2011.
35 문필동, 이정화, "고령장애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제27권, 제3호, pp.133-16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