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7.467

The Effect of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Exhaustion on Retention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Oh, Eun-Ju (문성대학교 간호학과)
Jeong, Kyeong-Sook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motional exhaustion for the clinical nurs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This study used 209 questionnaires from nurses in B city to collect data from November 1, 2017 to December 15. Data were analyzed by SPSS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job stress level was 3.48(${\pm}0.46$),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level was 3.13(${\pm}0.31$), emotional exhaustion level was 3.95(${\pm}1.18$) and retention intention level was 4.54(${\pm}1.29$). Retention intention was a significant correlated between job stress(r=-21, p=.003),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r=.25, p<.001), emotional exhaustion(r=-40, p<.0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were emotional exhausti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total career and age. it was explained by 23.7%.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retention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 reduce emotional exhaustion, as well as a plan to help them recognize a positiv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o fine ways to manage long-term careers.
Keywords
Job Str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motional Exhaustion; Retention Intention; Nurs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R. Liou and C. Y. Cheng, "Organisational climate, organis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amongst hospital nurses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9, No.11, pp.1635-1644, 2010.   DOI
2 신주영,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상연구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대한임상약리학회, 제15권, 제1호, pp.57-70, 2007.
3 C. Maslach, "Burn-out," Human Behavior, Vol.5, No.9, pp.16-22, 1976.
4 A. M. Pines, E. Aronson, and D. Kafry,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A Division of Macmillian Publishing Co. pp.202-222, 1981.
5 변창자, 강윤숙, 강익화, 고명숙, 김기경, 김태숙, 간호관리학 총론, 수문사, 2002.
6 R. Lavandero, "Burnout Phenomenon: A descriptive study among nurses," American J. of Nursing, Vol.81, No.2, pp.356-364, 1981.   DOI
7 권정애, 임상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재직의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8 김양신, "상급초보 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21-228, 2018.
9 박진옥, 정귀임, "상급초보간호사의 소명의식,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37-147, 2016.   DOI
10 조경숙, 이은희, 손행미, "간호사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역할갈등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90-299, 2017.   DOI
11 김민정,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백기령, 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착근도, 간호조직문화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구미옥, 김매자, "간호사가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14 최은정,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유형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김문실, 한수정, 김지현, "간호조직문화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75-184, 2004.
16 A. E. Tourangeau and L. A. Cranley,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determinants," J. of Advanced Nursing, Vol.55, No.4, pp.97-509, 2006.
17 유나래,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재직의도의 관계, 경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16.
18 이금재, 이에리쟈,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 임파워먼트,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관의 관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30-14, 2011.
19 K. Christmas,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J. of Advanced Nursing, Vol.17, No.2, pp.1369-1376, 2008.
20 D. V. Tesone, Handbook of Hospitality Human Resources Management, New York, USA: Routledge, 2013.
21 C. Maslas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 out," J. of Occupational behavior, Vol.2, pp.99-113, 1981.   DOI
22 C. Maslash, "What have we learned about burn ort and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Vol.16, pp.607-611, 2001   DOI
23 E. F. Wanicki and R. L Schwab, "A cross-validation study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41, pp.1167-1174, 1981.   DOI
24 L. S. Cowin, "The effects of nurses'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 an Australian perspective," J.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2, No.5, pp.283-291, 2002.   DOI
25 강정숙, 임지영,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263-273, 2015.   DOI
26 최선임, 병원간호사의 세대경험분석-포커스집단 면접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7 박문영, 대학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업무환경지각이 업무스트레스와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류경, 김종경,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39-450, 2015.   DOI
29 어용숙, "임상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사회적지지,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간의 경로분석," J.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7권, 제3호, pp.1683-1697, 2015.
30 조경숙, 이은희, 손행미, "간호사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역할갈등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90-299, 2017.   DOI
31 김인순,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15-526, 2009.
32 병원간호사회, 2018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9.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33 통계청, 보건사회복지 종사자의 이직률, 2018. http://kostat.go.kr
34 김인숙, 장금성, 이명하, 하나선, 이태화, 김정숙, 강경화, 김미영, 최신간호관리학, 현문사, 2009.
35 박은경,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간호업무 수행성과에 대한 소진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6 양남영, 최정실, "간호사의 국제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평가 관련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9, 2014.   DOI
37 김순영, 권인선, 조영채,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759-1768, 2012.
38 김문실, 전미수, 방희숙, 한수정, 김정아, 박현태, 이순희, "병원 간호조직문화 규명을 위한 연구(2)," 한국간호행정학회지, 제5권, 제1호, pp.87-97, 2009.
39 A. Brown, Organizational Culture, London : Pitman, 1995.
40 박재산, "국립병원 간호조직문화 유형과 직무만족, 이직의사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제19권, pp.97-118, 2005.
41 허영미, 암 병동 간호사의 소진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