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6.379

Change of the Age of TV Cooking Programs  

Chung, Tae-Sub (청운대학교 융합경영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t is a study of the changing times of cooking programs that were broadcast and aired on TV. The media has shown a lot of changes in appearance, and it's also showing a lot We want to look 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in the times through programs on cuisine and food that many people now prefer. In the preceding study, we looked at changes in media formats and changes in social changes and programs until the 2000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hanges of the cooking progra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nges were divided into cooking and historical changes, which were divided and examined by the period.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hange in the cooking program in an era where changes in diet are mixed with changes in culture. It was possible to see the change through programs that consumers could feel, not unilateral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o see the change from the era of experts to culture. Further,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challenge of local culture through food, subsequent research aims to see changes and social phenomena caused by the division of programs.
Keywords
Media Change; TV Cooking Program; Social Change; Broadcast Contents; Commun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5 소비자형태조사보고서, p.14, p.30, 2015(12).
2 박신자, TV음식프로그램의 포맷과 서사성의 의미구조:KBS〈한국인의밥상〉에대한 기호학적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 김아영, 텔레비전 음식프로그램의 변화와 사회: 1981년부터 현재까지 지상파 음식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19, p.23, p.25, 2014.
4 홍유진, 음식프로그램 시청 동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 마남, "음식프로그램의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 및 관련행동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차수정, 리얼리티 TV 요리프로그램의 포맷 특성연구: <한식대첩>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7 장민영, TV시청 동기에 따른 요리 프로그램 이용실태 및 발전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 박세현, 소비자 혁신성, 신뢰와 유희성, 기술수용 모형이 TV요리방송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9 김현혜, 음식의 일상성, 요리준비의 즐거움:tvN〈삼시세끼〉리얼리티프로그램의 기호 및 정념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0 노은구, 웰빙(well-being)음식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요구도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문희수, (A) study on counter trend for food TV channe l: campaign for food TV,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오원환, 허철, "소프트 다큐멘터리 장르의 영상미학 연구," 미디어와 경제문화, 제8권, 제4호, pp.103-143, 2010.
13 사)미디어미래연구소, 미디어 환경병화에 따른 콘텐츠 산업전망과 정책과제, 문화체육관광부, 2009.
14 주영하, 음식인문학, 휴머니스트, 2011.
15 박석준 외,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미래 인문학 트랜드, 아날로그, 2016.
16 사)미디어미래연구소, 미디어 환경병화에 따른 콘텐츠 산업전망과 정책과제, 문화체육관광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