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4.267

Analysis of Basic Local Government Ordinance for Supporting Senior Employment : Focused on the Autonomous Ordinances of Seoul City  

Kim, Dae-Gun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 and content of the Ordinance on Job Support for the Elderly, and to verify whether the Ordinance has formal validity and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13 local ordinances of the municipal governments in Seoul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each ordin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 majo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ain form of the regulations such as the purpose of enactment of ordinances and contents of business. However, the scope of the policy application and the provision related to the delivery system were confirmed to be different by each regulation. In particular, residents' rights to services did not exist in all ordinances, and the obligation of local governors to provide jobs for the elderly was lacking in specificity and needed improvement.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re are no provisions related to the delivery system or the mandatory nature of the regul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and supplement of the ordinances.
Keywords
Basic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Elderly Jobs; Seoul; Elderly Poverty; Social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보건복지부, 2018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2018.
2 http://kostat.go.kr/
3 김대건, "중고령 고용률이 청년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70, pp.293-317, 2015.
4 고준기, "노인복지법상 노인일자리 관련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양법학, Vol.40, pp.83-111, 2012.
5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2012.
6 김광병, 지역사회복지 규범으로서 사회복지조례입법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의 자주조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 윤찬영, "지역복지의 규범으로서 조례의 가능성과 한계," 비판사회정책, Vol.4, pp.53-74, 1998.
8 이재필, 지방자치단체 공공서비스 품질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민원서비스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이익섭, 이윤로, 사회복지조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10 https://stats.oecd.org/
11 윤찬영, 사회복지법제론, 개정5판, 나남, 2010.
12 최환용, "자치입법의 현황과 과제," 지방자치법연구, Vol.8, No.4, pp.71-96, 2008.
13 정준현, 장병일, 김수용, 사후입법평가를 통한 국민불편법령 개폐의 체계화.효율화방안, 법제처, 2010.
14 홍준형, 법정책의 이론과 실제, 법문사, 2008.
15 김대건, "중고령층의 사회참여 지원을 위한 기초자치단체 조례 연구," 지방행정연구, Vol.32, No.2, pp.239-266, 2018.   DOI
16 윤기연, 정새날, 홍정아, 2016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6.
17 장우찬, "노인일자리사업과 지속가능한 노동," 노동법학, Vol.63, pp.65-101, 2017.
18 서정희, 오욱찬, 박경하, "사회복지 영역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근로자성 비교 연구," 노동정책연구, Vol.13, No.2, pp.95-126, 2013.   DOI
19 www.moleg.go.kr/
20 강은나, 백혜연, 김영선, 오인근, 배혜원, 노인일자리 정책효과 분석 연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7.
21 박윤근, 한은영, "전국 지방자치단체 장애인 인권조례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315-320, 2014.
22 김광병, "인천시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조례 분석," 인천학연구, Vol.19, pp.7-49, 2013.
23 현외성, "한국 사회복지 관련 법률상 권리구제 제도와 쟁송의 실태," 사회복지연구, Vol.6 pp.149-164, 1996.
24 박정선, "사회적 기본권과 권리구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6, pp.265-295, 2013.
25 김우주, 노인일자리사업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16.
26 박명옥, 문재우, "노인일자리 참여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pp.629-637, 2019.   DOI
27 이은숙, "독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pp.393-408, 20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