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2.049

A Systematic Review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amily Resilience Programs : Focusing on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  

Lee, Eun-Hee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amily resilience programs focusing on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 to provide basic data on development of future family resilience programs, and present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I analyzed the contents of 16 published papers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2016.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program and the development factors. The six sub-areas of program execution factors are subjects of study, research design, program duration and time, facilitator, research method, scales and effect analysis. The three sub-areas of the program development factors are the development base, the purpose of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main content of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amily resilience program considering the various problems of each family and the specific environment in the future.
Keywords
Family Resilienc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 Systematic Review;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 A. McCubbin and H. I. McCubbin,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C, B. Harmel-Bissell & P. Winstead-Fry(Eds.), Family, health, and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St. Louis MO;Mosby, pp.21-63, 1993.
2 이재택,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308-318, 2016.   DOI
3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4.
4 http://www.kostat.go.kr, 통계청, "2017년 인구동태 통계표(이혼)," 2018(11).
5 김미라, 김명찬, "가족해체 위기를 겪은 다문화아동의 집단상담경험에 대한 상담자의 자문화기술지," 복지상담교육연구, 제7권, 제2호, pp.121-146, 2018.
6 J. M. Patterson, "Intergrating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Theor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4, pp.349-360, 2002.   DOI
7 F. Walsh,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Crisis and Challenge," Family Process, Vol.35, No.3, pp.261-281, 1996.   DOI
8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양옥경, 김미옥, 최명민 [공]역 나남출판, 2002.
9 D. R. Hawley and L. DeHaan,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Vol.35, No.2, pp.283-298, 1996.   DOI
10 김안자, "가족레질리언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27권, pp.73-102, 2009.
11 이은희 "가족탄력 모델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가족의 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1권, 제41호, pp.173-200, 2000.
12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8권, pp.9-23, 2001.
13 양옥경, 김연수,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호, pp.225-261, 2004.
14 송자경, "간질아동 가족통정감(Family Coherence)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제15권, pp.157-184, 2005.
15 송순인, 장덕희, "정신장애인 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제15권, 제2호, pp.87-106, 2010.
16 W. R. Saltzman, "The focus family resilience program: An Innovative Family Intervention for Trauma and Loss," Fam Process, Vol.55, No.4, pp.647-659, 2016.   DOI
17 H. I. McCubbin, M. A. McCubbin, A. I. Thompson, S. Y. Han, and C. T. Allen, "Families under stress: What makes them resilient,"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Vol.89, No.3, pp.2-11, 1997.
18 양옥경, 김연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제11권, pp.115-147, 2003.
19 이인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정신장애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1-239, 2004.
20 주소희, "정신장애가족을 위한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 증진 프로그램 개발," 복음과 실천, 제36권, pp.383-407, 2005.
21 양옥경, 김연수, 권자영,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143-173, 2006.
22 최정숙, "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예비입양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20권, pp.361-397, 2007.
23 최정숙, "결혼초기부부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23권, pp.103-152, 2008.
24 최정숙, "중년기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27권, pp.175-208, 2009.
25 김연수,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4권, pp.189-222, 2008.
26 김고은, "장애아동 아버지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2호, pp.443-465, 2011.
27 김명수, 김윤전, 김정수, 김정옥, 서경, 신나라, 이성은, 이현정, 조영진, 최호찬, 한순영, "한부모 가정을 위한 가족 레질리언스 증진 프로그램 제안," 연세상담코칭연구, 제2권, 2014.
28 양무희, 윤경자, "암환자와 그 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1호, pp.121-139, 2012.   DOI
29 김은정, "한부모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37-159, 2013.
30 임희수, 한금선, "만성조현병 환자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1호, pp.133-142, 2013.   DOI
31 석혜경, 최정숙,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가족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3호, pp.499-523, 2015.
32 최정숙, 전명의, 양혜원, 김희수, "이혼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가족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제23권, 제1호, pp.23-53, 2015.
33 방미란, 김옥수,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성인간호 학회지, 제28권, 제1호, pp.71-82, 2016.
34 김정은, "저소득 가족의 통합적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중학교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제8권, 제4 호, pp.199-214, 2016.
35 박혜란, 전귀연,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현황과 과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059-1081, 2012.   DOI
36 김석선, 조현미,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4호, pp.89-98, 2018.   DOI
37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frame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 Family Relations, Vol.51, No.2, pp.130-137, 2002.   DOI
38 김영림, "뇌교육 감정노동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동향 고찰," 뇌교육연구, 제19권, pp.7-30, 2017.
39 김연수, "가족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9-90, 2010.